국가미래연구원에서는 연구진의 논문 및 자료와 함께 연구원 주최 세미나의 주제발표 및 토론내용 등을 PDF 파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미국-인도 협력 관계 및 2025년 2월 정상회담 주요 내용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5년02월20일 14시57분

메타정보

  • 0

첨부파일

본문

<주요내용>


▶ 트럼프 2기 정부에서도 지난 10년간 이어진 인도와 미국의 긴밀한 협력 관계가 지속될 전망임.

  - 지난 10년간 교역, 투자, 국방, 기술, 개발, 인적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도와 미국의 관계가 강화됨.

  - 미국이 인도의 최대 수출 대상국이고 인도가 미국 내 최대 H-1B 비자 발급 대상국으로 미국의 통상 및 이민 관련 정책 변화가 인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미국과 인도 간 마찰이 간헐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나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견제하는 과정에서 인도가 전략적으로 중요한 점을 고려해 기존 협력 기조를 여러 분야에서 이어 나갈 것으로 예상됨.

 

▶ 2025년 2월 13일 양국 정상은 COMPACT(Catalyzing Opportunities for Military Partnership, Accelerated Commerce & Technology) 전략을 발표하며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합의함.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인도 관계가 그 어느 때보다 강하다고 평가했으며, 모디 인도 총리는 ‘MAGA(Make America Great Again)+MIGA(Make India Great Again)=MEGA Partnership for Prosperity’를 언급하며 협력 강화 의지를 표명함.

  - 미국은 대미국 무역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인도에 공정하고 균형적인 교역을 요청하였고, 양국은 향후 이를 위한 구체적인 해결책을 에너지, 방산을 중심으로 논의하기로 함.

  - △ 안보·방산, △ 무역·투자 △ 화석연료·원자력 관련 에너지 안보, △ 바이오·우주·인공지능·퀀텀·반도체 등 핵심첨단 부문의 기술·혁신, △ 소다자 파트너십, △ 인적교류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협력 계획을 발표함.

 

▶ 인도정부는 미국과의 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교역 부문에서 시장개방 기조를 강화하고, 외국인직접투자 및 민·관·학 기술협력에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할 것으로 전망됨.

  - 인도정부는 미국의 특정 주력 수출품을 선별해 관세율을 점차 인하할 것으로 예상됨.

  - 트럼프 1기 당시에 논의되었던 양자간 무역협정에 대한 협상을 재개할 가능성이 있음.

  - 인도정부는 국영기업을 앞세워 원유 및 방산제품 수입 확대 및 원자력 발전 프로젝트 발주에 대한 의미 있는 협약을 미국 측과 체결하고, 글로벌 기업에 우호적인 투자 환경을 구축해 나갈 것으로 예상됨.

  - 방산, 바이오, 반도체, 우주 등 전략산업에서 양자, 소다자 간 기술협력을 이어 나갈 것으로 전망됨.

 

▶ 한국은 미국과 인도의 전략적 관계 변화를 예의주시하며 인도와 생산기지, 에너지, 첨단기술, 개발협력 부문에서 관계를 고도화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 저자

 ▲ 김경훈 세계지역연구2센터 인도남아시아팀장

 ▲ 윤지현 세계지역연구2센터 인도남아시아팀 전문연구원

 

<ifsPOST>

 ※ 이 자료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발간한 [세계 경제 포커스 25-06](2025.2.19.)에 실린 것으로 연구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편집자>​​

 

 

0
  • 기사입력 2025년02월20일 14시57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