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부파일
관련링크
본문
▶ 최근 글로벌 산업정책 경쟁 격화로 한국형 산업정책의 방향성 설정에 대한 요구가 증대
- 산업정책은 각국의 전략산업 경쟁력 확보, 공급망 강화, 기후 변화 대응 등 복합적인 경제안보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수단으로 부상
- 산업정책의 글로벌 동학에 대한 이해와 경제적 영향에 대한 실증 분석을 통해 한국형 산업정책의 방향성을 제고
▶ 주요국(미국, 중국, EU) 모두 고립주의적 산업정책으로 수렴하는 양상으로 무역, 투자, 연구협력에서 지역간 분절화가 심화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한편, 한국의 정책 경쟁 참여에 대한 경제적 유인도 감소
- 주요국은 산업정책의 고립주의적 기조로 인해 경제안보 확보와 경제적 이익 극대화를 동시에 달성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
-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무역 감소와 상호투자 위축, 연구협력 감소는 모두 산업정책 경쟁 시기의 특징
- 시나리오 분석 결과, 글로벌 산업정책 경쟁은 한국의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이 산업정책 경쟁에 적극 참여할 경제적 유인도 낮은 것으로 확인
▶ 한국은 자유무역의 이익과 경제안보 가치를 모두 극대화할 수 있는 독자적인 산업정책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
- 협력과 공존을 추구하고(Cooperative and coexistent), 개방적(Open), 회복탄력적(Resilient), 효율적이면서 친환경적(Efficient and Eco-friendly)인 CORE 프레임워크를 제안
- 주요 세부 전략으로는 △ 가치기반 녹색 프리미엄 공급국(Green Premium Supplier) 선언, △ 무역 상대국 취약점 보완을 통한 양자협력 증진 및 대세계 공급망 공략, △ 불확실성 감소 및 국제협력 증진을 위한 경제안보 국제공조 주도, △ 산업정책 전략 거버넌스 개선 등을 제언
◈ 저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무역통상안보실 경제안보팀
▲ 조성훈 부연구위원
▲ 한형민 연구위원
▲ 최원석 연구위원
▲ 홍진희 전문연구원
▲ 윤형준 전문연구원
▲ 김현정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국제학과 부교수
<ifsPOST>
※ 이 자료는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발간한 [KIEP 정책연구 브리핑 25-01]에 실린 것으로 연구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편집자> |
- 기사입력 2025년02월18일 13시10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