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에서는 연구진의 논문 및 자료와 함께 연구원 주최 세미나의 주제발표 및 토론내용 등을 PDF 파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한국 영화산업 현황과 국제 경쟁력 강화 전략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5년10월29일 20시26분
  • 최종수정 2015년10월29일 20시26분

메타정보

  • 52

첨부파일

본문

 

극장영화 침체, 디지털온라인이 대안이다

영화공동제작 펀드 조성, 해외진출 강화

시나리오․ 기획 등 전문인력 양성 

 

1. 한국영화산업매출액은 극장매출 82% 디지털온라인매출 및 해외매출 18%로 구성된다. 즉매출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극장매출인데 향후 디지털 온라인 매출은 포화상태가 된 극장매출의 대안이 되어야하는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극장매출은 금액규모로는 전체매출액 1조 6,641억 원이며 우리나라 GDP의 0.11%에 해당된다. 디지털온라인매출은 최근 산업적 중요성인 부각되면서 조금씩 상승세를 타고 있다.

극장영화의 총관객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3년부터는 총관객수 2억 명을 넘겼고 2014년에는 2억1506만명을 기록하며 최다 관객수를 갱신했다. 우리나라는 인구 1인당 연평균 극장관람횟수는 4.19회를 기록하며 전 세계 가장 많이 영화를 보는 국가로 기록됐으며 한국영화관객점유율은 2005년부터 10년 동안 50%를 상회한다. 

 

2. 한국영화의 1편당 연평균 제작비는 20억 원이며 한해 평균 200편이 제작된다. 이 가눙데 총제작비 10억 원 미만의 작품은 157편이며 전체 작품의 72.3%를 차지한다. 

한국영화의 높은 성장률에도 불구하고 투자 수익은 상당히 저조한 편이다. 투자수익률이 저조한 원인은 ▲한국영화의 관객수 감소, 즉 외화에 더 많은 관객이 몰린다.▲중박영화의 실종 ▲ 블록버스터 영화의 흥행부진이다.

 

3. 배급사의 점유율 및 멀티플렉스 현황을 보면 배급사 관객점유율은 주요 영화 배급사인 CJ, 롯데, 소니, 워너, 폭스, 등의 순으로 관객을 점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체 극장 중 멀티플렉스 극장은  93%의 점유율을 가지고 있으며 그중 CJ 42%, 롯데시네마 31%, 메가박스 20%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성숙기에 접어든 극장산업은 더 이상의 성장은 기대하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4. 한국영화산업의 문제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지나친 내수의존도 및 낮은 수익률

  ②부가시장의 극심한 침체 및 극장 상영 시장의 팽창

  ③성장둔화 속에서도 국산영화제작편수의 증가

  ④대기업의 수직계열화

  ⑤중소제작사의 불안정성과 영세성

  ⑥저예산독립영화의 상영기회부족

 

5. 세계 영화산업 현황 및 수출현황을 보면 우선 세계영화시장규모는 2013년 94조원이지만  2018년 118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캐나다, 유럽, 중동, 아프리카, 시장의 성장률은 20% 중반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남미 시장은 41% 성장률이 기대된다. 

한국은 세계시장의 3%를 점유하고 있으나 낮은 성장률(8.3%)로 점유율이 감소 추세에 있다. 

 

 전세계 영화시장은 극장매출보다 디지털온라인매출로 재편되고 있다. 특히 미국은 디지털온라인시장이 급성장할 것으로 보이고 특히 OTT서비스 산업의 급속한 성적이 영화산업 성장의 동력이 될 것이다.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6.한국영화 해외진출 현황을 보면 유럽지역은 등락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아시아 지역 수출액은 꾸준히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지역 수출액 증가세는 계속되고 있다.

일본, 베트남 지역의 한국 멀티플렉스 지점을 통한 직배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서비스 분야 수출액도 아시아에 집중되어 있다. 

완성작품 수출액은 전년대비 29%감소하고 서비스분야수출액은 전년대비 64% 증가했다. 

 

 

7. 한국영화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방안을 점검해 보면 우선 한국영화시장의 가장 큰 특징은 부가시장의 극심한 침체와 극장상영 시장의 팽창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디지털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채널이 등장하는 상황에서 이에 대비해야 한다. 

특히 성장둔화 속에 국산영화제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대기업의 독과점현상이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영화의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고 해외시장 진출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이를 구제적인 방안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단기적인 전략보다 중장기적인 전략 수립

  ②동남아시아와 FTA협상으로 영화시장 상호개방을 추진

  ③영화공동제작 펀드를 조성

  ④해외시장진출을 위한 컨설팅 강화

  ⑤시나리오 및 기획에 필요한 (해외진출에 맞는) 인력양성

  ⑦디지털온라인 매출을 위한 시스템 강화

  ⑧산업시스템의 차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쟁대비 강화  

52
  • 기사입력 2015년10월29일 20시26분
  • 최종수정 2016년02월29일 20시40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