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에서는 연구진의 논문 및 자료와 함께 연구원 주최 세미나의 주제발표 및 토론내용 등을 PDF 파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 행정명령 발동 시작- 최근 국제금융동향 <2025.2.3. 분석>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5년02월02일 11시01분
  • 최종수정 2025년02월02일 11시01분

메타정보

  • 1

첨부파일

본문

1. 주요국 주가는 미국 견조한 성장, 유럽 금리인하로 상승 

   - 미국 주가는 작년 4분기 소비지출 증가 및 일부 기술주 강세

   -유럽은 ECB 금리인하로 상승

 

2. 달러지수는 미국의 관세 부과 계획으로 상승

   - 원화는 2024년말 대비 하락하였으나 최근 다시 상승 

 

3. 채권금리는 미국 작년 4분기 GDP 증가세 둔화 등을 반영

 

4. 유가는 배럴당 70달러대 중후반으로 상승

50a3ac3758f9cf1e7fff596c9021da69_1738461
5. 2025년 1월 FOMC 회의 결과

 

  - 정책결정 : 1.28~29일 FOMC 회의에서는 정책금리 목표범위를 동결(4.25~4.50%)하고 대차대조표를 계속 축소하기로 결정(만장일치)

  - 순번상 올해 FOMC 회의에서 의결권을 행사하는 4명의 지역 연은 총재들은 보스턴(Susan M Collins), 시카고(Austan D Goolsbee), 세인트루이스(Alberto G Musalem) 및 캔자스시티(Jeffrey R Schmid) 연은 총재임

 

6. 트럼프 대통령 행정조치 주요 내용

 

 - 1.20(월) 취임한 미 제47대 트럼프 대통령은 당일 행정명령 등 46개 행정조치(presidential action)에 서명

        행정명령(26건), 교서(12건), 선언(4건)과 기타(인선 관련 4건)로 구분

 - 주요 행정조치는 통상, 기후 및 에너지, 국경 및 이민 등과 관련된 내용이었으며, 이로써 바이든 행정부의 행정명령 78건이 취소됨

 - 바이든 행정부의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정책, 기후변화 대응, 세계보건기구(WHO) 및 파리기후협약 재가입 등이 취소됨

 

<ifsPOST>​ 

1
  • 기사입력 2025년02월02일 11시01분
  • 최종수정 2025년02월02일 11시08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