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에서는 연구진의 논문 및 자료와 함께 연구원 주최 세미나의 주제발표 및 토론내용 등을 PDF 파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국제정치와 글로벌 거버넌스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0년05월27일 17시00분
  • 최종수정 2020년05월27일 17시00분

작성자

메타정보

  • 6

첨부파일

본문

 이 보고서는 세종연구소가 발간한 ‘세종정책브리프 2020-04’(5.22)에 실린 것으로 연구소의 동의를 얻어 게재하는 것입니다.<편집자>​

 

 ▲이상현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핵심 요약>

1.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해 대체로 그동안 선진강국으로 여겨졌던 미국과 유럽의 피해가 심각한 반면, 아시아 국가들은 대체로 양호한 대응을 한 것으로 평가

 

2. 주요국들의 코로나19 대응을 평가해보면, 대체로 다음의 세 가지 요인이 차이를 초래

 

첫째, 거버넌스 역량(민주주의, 언론 자유, 정보의 공개와 투명성)

둘째, 공공의료 체계의 수준(공공의료 서비스 수준, 의료보험)

셋째, 리더십의 판단과 결단력(적시 대응의 중요성)

 

3. 코로나 팬데믹이 초래한 국제정치적 변화

 

① 반세계화 정서의 부각, 반이민 정서 심화

② 미중 갈등 심화로 인한 글로벌 리더십의 약화와 탈-G2 현상 가속화

③ 서구 우월주의의 후퇴

④ 레짐 붕괴(regime meltdown) 현상의 가속화

⑤ 경제적 침체로 인한 세계 대공황 도래 가능성

⑥ 기근 팬데믹(hunger pandemic)의 우려

⑦ 국가의 귀환(return of state), 혹은 빅브라더(big brother) 정부의 등장 

 

4. 향후 글로벌 거버넌스 개선을 위한 제언

 

① 미국과 중국의 협력 촉구 - 코로나19 사태 수습을 위한 글로벌한 노력의 중심축은 미국과 중국의 긴밀한 협조이지만 현재 두 나라는 서로에 책임을 떠넘기며 상호비방에 열을 올리고 있고 양국 관계는 악화일로

② 다자주의에 대한 인식 제고 및 구체적 행동 촉구 - 바이러스에 효과적인 유일한 대응이 다자주의적인 것이란 점은 명확

③ 국제제도의 개선 - WHO에 대한 비판을 넘어 제도적 개선을 위한 협력 확대 필요

④ 국가안보 이슈로서 신흥안보 이슈의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 조성을 위한 국제적 행동의 필요성

 

5. 한국은 다음과 같은 정책적 고려사항에 유의할 필요

 

① 미중 패권경쟁 가열에 대비한 국가전략 방향성 확립 – 미중 무역전쟁 악화와 디커플링 가능성에 대비

② 중견국의 역할 제고를 통한 위기관리 국제 거버넌스 구축에 적극 참여

③  코로나19의 성공적인 방역으로 제고된 한국의 위상을 활용, 유사입장 국가들의 중견국 리더십 확보 기회로 활용 — 이른 바 ‘K-방역’ 성과를 활용

④동북아 다자협력에 대한 새로운 조망과 동력 창출을 주도

⑤ 민주주의와 대중/대량 감시체계의 조화 문제를 한국 민주주의의 질적 성숙을 위한 장기적인 과제로서 고려

<끝>

 

6
  • 기사입력 2020년05월27일 17시00분
  • 최종수정 2020년05월27일 10시15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