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이 추구하는 주된 가치-‘공정과 안전’ 정의, 신뢰, 통합 順 <정치분야> 소셜 빅데이터 분석으로 본 ‘2019 시대정신’ 본문듣기
작성시간
첨부파일
관련링크
본문
민의 반영된 공정사회, 한반도 평화와 국방력 강화를 통한 안전사회
‘드루킹 등 현 정권과 관련된 언론 및 수사 공정성 요구’ 여론 높아
적폐청산 정책, ‘이전 정권에 대한 정치보복 행위인가?’ 논란 지속
◈ 정치 분야 이슈 & 가치 구조
정치 분야에서 현재 국민이 추구하는 주된 가치는 공정과 안전이며, 정의, 신뢰, 통합이 그 뒤를 잇고 있다. 국민들은 사회 질서가 확립되고 민의가 반영되는 공정한 사회, 한반도 평화와 국방력 강화를 통한 안전한 사회를 요구하고 있다.
◈ 정치 이슈 TOP10
2017년 하반기부터 2018년 하반기까지 총 146개의 정치 이슈를 분석한 결과, 정치권의 부정/비리 관련 이슈가 47%로 절반 가까이 차지하고, 이어 외교/안보 이슈, 정책/소식 이슈가 그 뒤를 이었다.
분석 기간 중 가장 많은 주목을 받은 이슈 10개는 △남북정상회담 개최 △혜경궁 김씨 사건 수사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실시 △이명박 전 대통령 구속 △개헌안 발의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 △북미정상회담 개최 △北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양승태 전 대법원장 사법농단 수사 △기무사 계엄령 문건 수사 등이다.
▲정치 이슈 TOP10
|
||
1위
|
남북정상회담 개최
|
2,271,887
|
2위
|
혜경궁 김씨 사건 수사
|
2,082,670
|
3위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실시
|
1,890,682
|
4위
|
이명박 전 대통령 구속
|
1,804,720
|
5위
|
개헌안 발의
|
1,148,935
|
6위
|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
|
1,148,368
|
7위
|
북미정상회담 개최
|
982,778
|
8위
|
北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
840,168
|
9위
|
양승태 전 대법원장 사법농단 수사
|
765,630
|
10위
|
기무사 계엄령 문건 수사
|
674,105
|
◈ 반기별 이슈
외교/안보, 부정/비리, 정책 크게 세 개의 카테고리로 나누어 분석을 진행한 결과, 2017년 하반기에는 국가안보 관련 이슈가 두드러졌고, 2018년 하반기에는 다수의 정치권 비리 사건에 세간의 이목이 집중됐었다.
▲ 2017년 하반기 분석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사드 발사대 추가 배치 등 국가안보 관련 이슈가 화제가 되며 안보에 대한 불안감 심화됐다. 따라서 국민들은 한반도 정세 안정을 통한 안전한 사회를 소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를 단계별 분석으로 나눠보면 원인은 북한의 미사일 발사 및 사드 이슈 관련 안보 불안 심화되고, 적폐청산에 대한 시대적 요구가 지속적으로 존재함에 따라 욕구는 국가 안전에 대한 시대적 요구가 만연하고, 적폐청산을 통해 사회질서가 확립되어야 한다는 목소리 증대했다. 이를 토대로 한 시대정신인 가치는 북한의 위협으로 부터 안전한 사회 및 사회질서 확립을 통한 공정 사회의 촉구로 나타났다.
10대 이슈를 국민욕구별로 집계해 보면 ⇨ 안전 44.07%,공정 28.24%,정의 13.59% 신뢰 9.79% 통합 4.31%로 나타났다.
2017하반기 TOP10
|
|
1위
|
북한,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
2위
|
국정원 댓글 공작 사건
|
3위
|
사드 발사대 추가 배치
|
4위
|
유엔 대북제재
|
5위
|
다스 실소유주 논란
|
6위
|
안철수 국민의당 당대표 선출
|
7위
|
이언주 의원 파업노동자 막말 파문
|
8위
|
MB 정부 블랙리스트 공개 논란
|
9위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방한
|
10위
|
‘문재인 케어’ 파문
|
▲ 2018년 상반기
남북정상회담 등 북한 관련 외교 이슈와 더불어 정치권 비리 사건에 이목이 쏠렸고, 이는 평화에 대한 기대와 비리 사건에 대한 분노를 배경으로 국민들은 비리 없는 청렴한 정치와 이를 통한 공정 사회 도달을 촉구하고 있다.
이를 단계별 분석으로 나눠보면 원인은 MB정부, 드루킹 등 정치인의 비리 사건 및 도덕성 부족 등에 대해 분노하며, 만연한 적폐세력이 문제의 원인이라고 지적에 따라 국민 욕구는 각종 비리 및 정치인 도덕성 문제로 적폐의 대상에 혼란이 야기되며 사회질서가 어지럽다는 인식이 팽배했다. 이에 따른 가치는 사회 질서가 바로 잡힌 신뢰할 수 있고 공정한 사회를 소망하는 것이다.
⇨공정 33.65%,안전 28.21%,정의 17.38% 신뢰 10.88% 통합 9.88%
2018상반기 TOP10
|
|
1위
|
남북정상회담 개최
|
2위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실시
|
3위
|
이명박 전 대통령 구속
|
4위
|
개헌안 발의
|
5위
|
북미정상회담 개최
|
6위
|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
|
7위
|
이재명 경기지사 여배우 스캔들
|
8위
|
김기식 금감원장 외유성 출장 논란
|
9위
|
이재명 경기지사 형수 욕설 파문
|
10위
|
양승태 전 대법원장 사법농단
|
▲ 2018년 하반기
혜경궁 김씨 사건, 양승태 사법농단 등 비리 사건에 대한 관심이 높았고, 국민들은 권력 남용 없는 정치 투명성 확보와 엄중한 처벌을 통한 사회질서 확립을 요구하며 공정 사회 도달을 소망했다.
그 원인은 미해결 비리 사건에 대한 진상규명 등 진실이 명백히 밝혀지기를 촉구하며, 사회의 불투명성이 문제의 원인이라고 인식하고, 국민 욕구로 정치 투명성 확보와 엄중한 수사를 통한 사회질서 확립이 촉구됐다. 여기서 도출되는 가치는 사회질서 확립 및 진실이 담보되는 공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사회를 소망하는 것이다.
⇨공정 32.46%,안전 21.31%,정의 20.17% 신뢰 18.50% 통합 7.57%
2018하반기 TOP10
|
|
1위
|
혜경궁 김씨 사건 수사
|
2위
|
평양 남북정상회담 개최
|
3위
|
기무사 계엄령 문건 수사
|
4위
|
양승태 전 대법원장 사법농단 수사
|
5위
|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 투신 사망
|
6위
|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
|
7위
|
이재명 경기지사 조폭 연루 의혹
|
8위
|
심재철 의원-청와대 간 진실공방
|
9위
|
국회 특수활동비 폐지 합의
|
10위
|
남북 철도 공동 조사
|
◈추가분석
국가미래연구원과 (주)타파크로스는 분야별로 주요 주제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태도에 분석과 욕구를 별도로 분석해 보았다. 그 가운데 정치분야에 해당하는 ▲공정 ▲적폐 ▲소통 문제에 대한 분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치> 추가분석
① 공정
2017下-2018下 불공정성과 관련된 주요 이슈는 현 정권과 전 정권에서 고루 나타났으며,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관련된 혜경궁 김씨 사건, 드루킹 등 현 정권과 관련된 언론 및 수사의 공정성을 요구하는 국민의 여론이 높았다.
②적폐
박근혜 정부(2015.01-2016.06)의 '적폐'는 주로 사회 전반의 비리와 부정부패, 불법 행위 등에 대한 분노와이를 해결하지 못하고 또 다른 적폐 행위를 일삼는 정부에 대한 비판 의견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2017.07-2018.12)의 경우, 적폐청산 정책이 이전 정권에 대한 정치보복 행위인가를 두고 논란이 지속되고 있으며, 정부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언론에 대한 비판이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③소통
박근혜 정부에서는 소통과 관련하여 비판 여론이 높았으며, '새누리당', '정치' 등에 대한 담론이 나타나 소통이 안 되는 것이 '정치적인 문제'로 불거지고 있음이 드러났다.
문재인 정부 초기에는 소통을 잘한다는 긍정 반응이 높았으나, 1년이 지나면서 관련 담론도 감소하고 부정 반응의 비중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대화', '노력', '평화' 등의 담론이 상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박근혜 정부와 다르게, 정책적인 측면에서의 소통이 강조되고 있다.<ifs POST>
※추가분석
<정치>
▲ 이슈 심층 분석 1: 공정
2015下 -2016下의 불공정성과 관련된 주요 이슈의 대상은 모두 정부 및 여당과 관련되었으며, 독단적 정치 기조로 정권에 대한 국민의 심판 의지가 강해지며 결과에 책임이 따르는 공정사회로의 전환 욕구가 커짐
2017下-2018下 불공정성과 관련된 주요 이슈는 현 정권과 전 정권에서 고루 나타났으며, 이재명 경기도지사와 관련된 혜경궁 김씨 사건, 드루킹 등 현 정권과 관련된 언론 및 수사의 공정성을 요구하는 국민의 여론이 높음
2017下-2018下 기간의 문재인 정부 및 여당 관련 불공정성 이슈와 박근혜 정부의 불공정성 이슈 분석 결과, 모두 부정 평가가 높았으며, 현 정부와 관련된 이슈의 부정 평가가 약간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남
이재명 도지사와 드루킹 이슈에 대한 명확한 수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으며, 전 정권과 관련하여 이명박, 양승태 등 부정/부패 및 국정 농단 관련 인물과 기관에 대한 엄중한 처벌을 요구하는 비판의 여론이 큼
2017下-2018下 문재인 정부 및 여당 관련 불공정성 이슈
부정평가42.4% 긍정평가 10.7%
2017下-2018下 전정권 및 야당 관련 불공정성 이슈
부정평가46.8% 긍정평가8.8%
▲ 이슈 심층 분석 2: 적폐
적폐 키워드 언급량은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 이슈가 불거진 2016년 10월 무렵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적폐 청산'을 강조한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월 평균 18만 건이라는 높은 수준을 지속함
인물 연관어 분석 결과, 관련 인물로는 '이명박‘, '박근혜‘, '이재명', '문재인' 등이 확인됨. 이 중 '문재인'은 주로 적폐청산 정책과 함께 언급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재용'은 적폐 담론에서 1%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는 유일한 기업인으로 드러남
인물 연관어를 기반으로 설정한 9개 담론 카테고리 가운데, 기타를 제외한 8개 담론에 대해 추이 분석을 진행함
박근혜 정부 관련 담론이 24.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다스 실소유주 논란이 한창인 2017년 하반기에 이명박 정부에 관한 적폐 담론이 크게 확산됨. 자유한국당과 더불어민주당은 비슷한 비중을 보이고 있으나, 자유한국당 담론은 문재인 정부 집권 초기보다 감소한 데 반해, 더불어민주당 담론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박근혜 정부(2015.01-2016.06)와 문재인 정부(2017.07-2018.12)의 적폐 연관어를 비교 분석한 결과, 박근혜 정부의 '적폐'는 사회 전반의 고착화된 부정부패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았고, 박근혜 정부 및 여당인 새누리당 비판에 주로 사용됨
반면, 문재인 정부의 '적폐'는 특정한 정치집단이나 정치세력의 이미지를 갖게 되었으며, '박근혜'와 '한국당'을 포함해 '민주당', '이재명', '국회', '청와대' 등으로 확장되는 추세임
박근혜 정부(2015.01-2016.06)의 '적폐'는 주로 사회 전반의 비리와 부정부패, 불법 행위 등에 대한 분노와, 이를 해결하지 못하고 또 다른 적폐 행위를 일삼는 정부에 대한 비판 의견으로 드러남
문재인 정부(2017.07-2018.12)의 경우, 적폐청산 정책이 이전 정권에 대한 정치보복 행위인가를 두고 논란이 지속되고 있으며, 정부에 대한 비판과 더불어 언론에 대한 비판이 높은 비중으로 나타남
▲ 이슈 심층 분석 3: 소통
박근혜 정부의 소통에 대한 평가는 부정률이 높았으며, 문재인 정부의 소통에 대한 평가는 긍정률이 높은 것으로 드러나 전반적으로 문재인 정부의 소통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판단됨
그러나 문재인 정부에 대해서도 이전 정부와 같이 소통에 문제가 있어 보인다는 부정 의견도 일부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나, 부정 반응의 향방을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음
정부 소통 부정평가 44.6. 긍정평가 26.3%
박근혜 정부에서는 소통과 관련하여 비판 여론이 높았으며, '새누리당', '정치' 등에 대한 담론이 나타나 소통이 안 되는 것이 '정치적인 문제'로 불거지고 있음이 드러남
문재인 정부 초기에는 소통을 잘한다는 긍정 반응이 높았으나, 1년이 지나면서 관련 담론도 감소하고 부정 반응의 비중도 높아지고 있음. 그러나 전반적으로 '대화', '노력', '평화' 등의 담론이 상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박근혜 정부와 다르게, 정책적인 측면에서의 소통이 강조됨 <ifs POS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