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에서는 연구진의 논문 및 자료와 함께 연구원 주최 세미나의 주제발표 및 토론내용 등을 PDF 파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2019 시대정신은 ‘공정’ ‘안전’ ‘민생안정’ - 소셜 빅데이터 분석<1.총괄>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9년04월17일 09시00분
  • 최종수정 2019년04월17일 09시00분

메타정보

  • 15

첨부파일

본문

e19e16adfec8ed36fda15abdf9368c2f_1555403

질서가 확립되고 민의가 반영되는 공정한 사회를 염원

강력범죄, 갑질, 성차별 등으로부터 자유로운 신체적, 정신적 안전사회

주거불안 및 고용불안 해소, 삶의 질 개선 등을 통한 민생안정 

정부정책 불신 만연으로 정책 신뢰성 및 일관성 제고 요구 “높다”

“이전 정부와 뭐가 다른가?”에 대한 국민의혹과 불신 충분히 설명돼야 


시대정신이란 어떤 시대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보편적인 정신자세나 태도

 

 시대정신은 어떤 시대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보편적인 정신자세나 태도를 말하는 것이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한 시대를 사는 국가공동체의 구성원들이 느끼는 결핍감과 그에 관한 희망을 의미한다. 구성원들이 보여주는 이러한 결핍감과 희망을 통해 나타나는 일련의 태도 및 행동에는 구성원들이 추구하는 가치가 내재되어 있어 이를 밝혀 대처하는 것은 국가발전과  긍정적 시대변화를 이끌어 가는 첩경일 것이다.

 

국가미래연구원 빅데이터 전문업체인 (주)타파크로스에 의뢰해 분석한 ‘소셜 빅데이터로 보는 2019 시대정신’은 지난 2017년 1월 박근혜 정부시절 1차 조사에 이어, 이번이 2차 조사로 시대정신, 즉 국민들의 욕구와 희망이 변화하는 내용을 살펴볼 수 있어 그 의미가 더욱 크다.

우선 조사기간 중 주요 이슈에 대한 국민들의 주목도를 분야별로 보면 기간 중 사회이슈 주목도 분석대상의 57%, 정치는 36%, 경제는 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투 운동, 갑질, 성 관련 범죄 (몰카, 데이트 폭력 등), 평창동계올림픽 등 사회 이슈에 대한 주목도가 가장 높았고, 정치 이슈로는 2018년 상반기 남북정상회담과 이명박대통령구속, 드루킹 댓글조작 사건 등에 대한 주목도가 높았다. 경제 이슈로는 부동산 대책, 최저임금 등이 화제가 됐던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시대정신은  ‘공정한 사회’, ‘정신적 신체적 안전’,‘민생안정 및 신뢰정부’ 등으로 요약해볼 수 있다.

 

정치 : 민심이 반영되는 공정한 사회, 한반도 평화와 국방력 강화를 통한 안전한 사회 갈망

 

◈정치분야 시대정신은 ‘공정’ 

국민들이 원하는 시대정신은 민의(民意) 반영을 통한 정권 교체를 겪고 난 이후 국민 청원 등을 통해 민심이 반영되는 공정한 사회에 대해 염원하며, 한반도 평화와 국방력 강화를 통한 안전한 사회를 소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우선 사회 질서가 확립되고 민의가 반영되는 공정한 사회를 염원

적폐세력 청산, 범죄 사안에 대한 엄중 처벌을 통한 사회 질서 확립을 요구함

정치권과 언론이 공정함을 유지하고, 청와대 국민 청원에 대한 담론이 상승하며, 민심이 반영될 수 있기를 소망함

▲남북 관계 개선을 통한 국가 안전 염원

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 등 남북관계 개선 관련 이슈가 크게 화제가 됐고, 평화 기류에 호응함

한편 사드 등 외교 이슈, 대북제재 완화로 인한 안보 불안을 해소하고자 함

▲청렴한 정치와 이를 통한 정의 사회 구현을 염원

정치인의 비리 및 범죄 사건에 이목이 쏠리며, 청렴한 정치인의 자세를 요구함

이를 통한 정의 사회 실현을 염원함

 

사회 : 젠더 폭력 및 강력 범죄 불안감과 갑질, 성차별 등으로부터 자유로운 신체적·정신적 안전 열망

 

◈사회분야 시대정신은 ‘안전’

젠더 폭력 및 강력 범죄에 대한 불안감과 갑질, 성차별 등으로부터 자유로운 신체적, 정신적으로 안전한 사회를 열망함

미세 먼지, 케미포비아의 확산으로 건강에 대한 우려가 급증하여 건강이 보장되는 안전한 사회를 추구함 

국민들이 원하는 시대정신은 사회질서가 확립되어 신체적, 정신적 안녕이 보장되는 안전한 사회임

▲사회 질서가 확립되어 젠더 폭력 및 범죄 등으로부터 안전한 사회

남성과 여성 간 성차별 문제 및 신체적 안녕을 위협하는 폭력 및 강력 범죄 때문에, 사회적 질서 확립에 대한 대중의 목소리 확산

▲미세먼지 등으로부터 건강이 보장되는 안전한 사회

외교적 문제까지 거론되는 미세먼지 문제가 최근 초미세먼지 비상발령까지 이어지며 국민의 신체적 안녕에 대한 불안 증대

생리대 등의 생활 제품에 신체에 유해한 성분이 발견되며, 안전한 제품을 원하는 소비자 

▲갑질, 성차별 등으로부터 자유로운 공정하고 평등한 사회

기업 총수, 관리자의  갑질 논란이 이슈가 되며, 노동자의 비인간적인 처우에 대해 국민적 공분 확대

사회에 만연하던 성차별 등의 그간 사각지대에 존재하던 사회문제에 대한 대중의 문제의식이 환기되며 공정성 및 평등함에 대한 요구가 확대됨

 

경제 : 주거불안 및 고용불안 해소, 삶의 질 개선 등을 통한 민생안정 및 신뢰성 있는 정부 

 

◈경제분야 시대정신은 민생안정 및 신뢰정부

저성장 및 장기적 경기 불황 탓으로 심화된 주거불안 및 고용불안을 해결하여 삶의 균형을 찾고자 하는 니즈가 존재하고, 특히 정부 정책에 대한 불신이 팽배하여 정책에 대한 신뢰성 및 실효성 담보가 촉구된다. 따라서 국민들이 원하는 시대정신은 주거불안 및 고용불안 해소, 삶의 질 개선 등을 통한 민생안정 및 신뢰성 있는 정부라고 말 할 수 있다. 

▲ 주거 및 고용 불안 해결을 통한 안정적 생활 추구

서민 주거 안정과 부동산시장 안정을 위한 주택 공급 대책 소망

최저임금 인상 논란, 한국GM 군산공장 폐쇄 등의 문제를 겪으며 고용 불안을 호소하는 국민 증가

▲ 정부 정책에 대한 불신이 팽배하여 일관성, 신뢰성이 담보된 정책을 최저임금, 부동산대책, 법인세 등 정부가 실시하는 정책의 실효성에 대한 의심

일관되고 신뢰할 수 있는 정책을 통해 불안감을 해소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부 및 사회가 되기를 원함

▲ 무역 전쟁, FTA 재협상 등 경제적 외교 문제 해결을 통한 국가경제 안정 

트럼프발 무역 전쟁이 심화되자 무역 전쟁의 여파에 대한 우려 확대

경제가 매운 어려운 상황에서 안보에 대한 불안감마저 커진다면 경제는 더 악화될 것이 자명하기에 외교 문제 해결에 대한 요구 증가

 

정권 교체가 이뤄졌음에도 불구하고 공정한 사회에 대한 열망은 여전- 이전 정부와 뭐가 다른가?

정부정책에 대한 불신이 만연해 정책 신뢰성 및 일관성 제고에 대한 욕구은 주목해봐야 할 과제

 

◈ 박근혜 정부시절 1차 조사 결과와 문재인 정부 2차 조사결과의 특징 비교

 우선 큰 틀에서 정치이슈와 사회이슈에 대한 관심도 상당히 큰 변화를 보였다. 2014-2016의 경우, 정치 이슈와 사회 이슈에 대한 관심도가 각각 약 46%로 비슷했으나, 2017-2018의 경우, 굵직한 사회 이슈들로 정치 이슈(36%)보다 사회 이슈(57%)에 대한 관심도가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촛불정권이라고 자칭할 정도로 민의(民意) 반영을 통한 정권 교체가 이뤄졌음에도 불구하고 공정한 사회에 대한 열망은 상당히 높은 편이고, 사회계층 간 또는 남녀 간의 젠더 갈등이 고조되는 각종 사회 이슈의 발생으로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안녕을 추구하는 국민들의 욕구는 더욱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박근혜정부 시절 경제안정의 돌파구로서 정권 심판론 및 공정사회에 대한 염원이 절실하게 대두됐으나 정권교체 후에도 여전히 경제 불안은 지속되고 있고,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부작용에 따른 일자리 재난사태 등으로 정부정책에 대한 불신이 만연해 정책 신뢰성 및 일관성 제고에 대한 욕구가 높아지고 있는 것은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결과에 대해 다음과 같은 문제제기도 가능할 것 같다.

 

“촛불의 뿌리가 공정성 확립과 사회 안정, 민생 안전에 있었다면, 문재인정부는 제대로 하고 있는가? 이전 정부와 뭐가 다른가?” 

“한반도 평화와 국방력 강화를 통한 안전한 사회는 이뤄지고 있는가? 안보불안은 없는 것인가?”

“최근의 지지율 하락은 이런 국민 욕구의 반영 아닌가?” 

“드루킹 사건으로 김경수 재판 사건을 전후해서 공정성 이슈가 많이 제기되고 있음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갑질, 성차별 등으로부터 자유로운 신체적·정신적 안전은 진전되고 있는가?

“뜀박질하는 주택가격으로 인한 주거불안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최저임금 대폭 인상으로 고용불안이 심화되고 부동산대책 실패로 인한 정책 신뢰성 저하는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정책기조의 변화를 검토할 여지는 없는가?”

“최소한 이전 정부나 지금 정부가 뭐가 다른가?”  

 

이 밖에도 무수한 의문과 불안을 제기할 수 있는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여야 정치권은 물론 정부 정책당국자들도 이런 문제들에 대해 유의하면서 국민들의 욕구인 시대정신을 충족시키고 정책신뢰성을 높이는 각별한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싶다.

 

 한편 국가미래연구원과 (주)타파크로스는 분야별로 주요 주제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태도에 분석과 욕구를 별도로 분석해 보았다. 대상은 정치분야에서 ▲공정 ▲적폐 ▲소통, 사회분야에서 ▲갈등 ▲남녀갈등, 그리고 경제분야에서 ▲소득주도성장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과 욕구를 분석해 보았다. 이들 내용은 분야별 분석에서 자세하게 소개할 것이다.

 

◈시대정신 변화 분석 요약

 

⇨ 2014-2016의 경우, 정치 이슈와 사회 이슈에 대한 관심도가 각각 약 46%로 비슷했으나, 2017-2018의 경우, 굵직한 사회 이슈들로 정치 이슈보다 사회 이슈에 대한 관심도가 더 높음(사회이슈 57%, 정치이슈 36%)

 

⇨ 정권 교체에도 불구하고, 공정한 사회에 대한 열망은 여전히 존재하며, 각종 사회 이슈의 발생으로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안녕이 추구됨. 또한 새 정부 정책에 대해서도 불신이 만연한 것으로 드러남

 

e19e16adfec8ed36fda15abdf9368c2f_1555403
 

◈ ‘2019 시대정신’ 어떻게 조사했나?

 

▲ 분석 프레임

 정치, 사회, 경제 분야에서 이슈(issue) 및 그 이슈가 제기된 원인(cause), 각 원인에 내재된 국민의 니즈(needs), 이를 통해 국민들이 추구하는 궁극적 가치라는 측면에서 접근하면, 국민들이 현재 요구하는 것이 무엇이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가치(value)가 무엇인지를 효과적으로 밝힐 수 있다. 즉 시대정신의 키워드(key-word)를 도출해 낼 수 있는 것이다.

즉 사람들에게 주목받는 이슈는 무엇인가? → 그 이슈가 주목 받은 이유는? → 그 이유에 내재된 국민의 니즈는 무엇인가? → 이를 통해 추구하는 궁극적 가치는 무엇인가? ⇨시대정신 키워드 추출의 단계를 거치게 된다.

 

▲ 분석 방법

문재인 정부 집권 이후 시점인 2017년 6월부터 1년 6개월 간 이슈를 분석하고, 시대정신에 결정적 영향을 주는 정치, 경제, 사회 분야 이슈를 엄선하는 작업이 우선된다. 이어 엄선된 각 이슈별 키워드의 공통어를 추출하는 방대한 분류 작업이 시행되고, 공통어 속에 들어 있는 시민들의 문제 인식과 생각을 시대정신으로 추출하는 과정을 거친다.

 

1단계로는 매스미디어 및 소셜미디어에서 큰 화제가 된 이슈를 매주  화제성 기준 50위까지 리스트업 한 결과 1년 6개월 동안 약 4,000개 이슈 후보 리스트를 확보했고, 해당 후보 리스트 중 매주 화제성 상위를 차지한 최종 분석 대상 리스트 총 780개를 추출했다.

 

2단계는 이슈 리스트 중 정치, 사회, 경제  분야별 화제성 및 중요도가 높은 핵심 이슈 Top10 추출하고, 이에 더해 각 분야의 반기별 핵심 이슈 Top 10 추출했다.

 

3단계는 주요 이슈별 1500위 이슈 키워드 리스트를 작성해 이슈 별로 연관 키워드를 추출했다. 종합 화제 이슈10개 및 반기별 화제 이슈 10개 별로 연관어를 추출하고, 정치/사회/경제를 구분해 각 이슈별 연관어 데이터 탐색에 들어갔다.

 

4단계는 공통 키워드 추출 및 카테고리 화 작업으로 선정된 핵심 이슈에 대한 공통 키워드를 추출해 약 100~150개 내외의 공통어를 분리했다. 이를 기반으로, 국민들이 이슈의 원인으로 지적한 내용과 이를 통한 니즈, 내재된 가치를 구분한다.

 

5단계는 이슈 및 가치의 연결 구조 분석으로 이슈, 이슈의 원인, 이에 대한 니즈, 그리고 내재된 가치에 대한 탐색을 통해 연결 구조를 파악하고, 중요 및 공통 키워드를 도출했다.

이를 통해 시대가 요구하는 정신을 도출한 것이다.

 

▲분석대상

2017년 7월 1일 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의 매스 미디어 및 소셜 미디어 상의 모든 데이터를 분석 대상으로 하며, 이 중 핵심 이슈를 추출하여 연관어 분석을 시행했다.예컨대 매스 미디어는 물론 Twitter, Instagram, Blog/Café, Community, Facebook 등 소셜 미디어를 망라했다.

 

▲분석데이터는 △총 후보 리스트: 약 4,000 개 △ 분석 대상 이슈: 총 780개 △분석 대상 연관어 개수: 135,000개 그리고 △연관어 별 버즈량 총합: 119,574,411개였다.

<ifs POST>

15
  • 기사입력 2019년04월17일 09시00분
  • 최종수정 2019년04월17일 11시29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