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에서는 연구진의 논문 및 자료와 함께 연구원 주최 세미나의 주제발표 및 토론내용 등을 PDF 파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우리 산업에 미치는 영향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5월28일 10시58분
  • 최종수정 2024년05월28일 10시58분

메타정보

  • 2

첨부파일

본문

확전 가능성 낮으나 美대선 이후 추이 변화 가능성

유가 변동 대비 시나리오별 대응책과 장기적 산업구조 전환 필요

 

- 단기적으로 대리전으로의 확전이나 이란의 참전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

- 이번 전쟁이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나 물류비, 유가등 간접비 상승에 미치는 영향 커

- 양측 간 국지전이 지속될 경우 생산비용 상승이 전 산업 0.7%, 제조업 1.2%, 서비스업 0.32%, 호르무즈 해협 봉쇄 시에는 전 산업 3.02%, 제조업 5.19%, 서비스업 1.39%예상

- 미국과 이스라엘의 입장 차이로 美대선 이후 판세 변화가 있을 수 있으므로 장기적인 추이 관망을 통한 시나리오별 대응책 마련 필요

- 단기적으로 모니터링 강화, 장기적으로 유가 의존도 높은 산업구조의 전환 필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으로 인한 비용 상승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산업연구원(KIET, 원장 주현)이 발표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우리 산업에 미치는 영향’보고서는 현 상황을 고려했을 때 전쟁이 대리전이나 이란의 참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작지만, 미 대선 이후 상황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어 장기적인 추이 관찰이 필요하다고 분석하였다. 확전이 되지 않는 한 양국 모두 우리나라 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낮아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물류비, 유가 상승 등 간접적인 영향이 더 크며, 해양플랜트, 유조선, 건설 등 일부 산업에서는 수요 증가가 기대되나 전쟁 추이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제조업 중 정유, 화학, 도로운송, 항공운송 산업의 비용 상승 압력이 큰 것으로 확인되어 단기적으로는 모니터링의 강화, 비용구조 전환, 안정자금 활용 등이 필요하고, 장기적으로는 유가 충격에 대한 취약성을 완화하는 산업구조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의 확전 가능성은 현재로는 매우 낮은 편

 

  확전을 위해서는 이스라엘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레바논과 시리아 혹은 이란의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나, 레바논과 시리아의 현 정세와 이란의 소극적 태도로 볼 때 현재로서 이들의 참전으로 인한 확전 가능성은 매우 낮은 편이다. 또한 이란의 경제난을 고려할 때 자금원인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할 가능성 또한 매우 낮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이스라엘의 보수세력들이 이란을 공격하겠다는 의도를 지속적으로 노출하고 있고, 대립이 심화됨에 따라 이란의 우라늄 농축이 가속화되는 분위기이기 때문에, 미국의 이스라엘 압박 유인이 감소하는 미 대선 이후 이스라엘이 이란을 직접 공격할 가능성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 전쟁이 우리 산업 수출입, 공급망 등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보다 물류비, 유가 상승 등을 통한 간접적 영향이 훨씬 큰 것으로 분석

 

(직접적 영향)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우리나라 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3년 기준 0.28% 미만으로 매우 낮은 편으로 일부 품목의 대(對)이스라엘 수입의존도가 높지만 대부분 다변화가 가능해 공급망 리스크는 크지 않을 것이나, 심리적 요인에 영향을 미쳐 가격 상승이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

 

<표1> 한국의 對이스라엘 수출입 의존도 상위 품목(2023)

                                                                                                  단위: 달러, %

1f46adf28ac4ad39ac6778bf5b011f65_1716859
(간접적 영향➀ 물류비)
작년 10월 이후 아시아-유럽 노선 요금은 284% 올랐고 다른 주요 동서부 노선 요금도 두 배 이상 인상되는 등 물류비 인상은 수출입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단기적으로는 비용 상승과 운송 기간이 늘어나는 것을 염두에 두고 공급 차질과 가격 인상에 대비해야 하며, 장기적으로 물류 비용이 점차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나 확전 상황에도 대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간접적 영향➀ 유가) 우리나라는 경제의 석유 의존성이 매우 높아 국제 유가 상승 시 상대적으로 비용 상승 압력이 더 크게 작용하며, 특히 중동산 원유 의존도가 높아 이번과 같이 중동에서 전쟁이 발생 시 더욱 큰 영향을 받는 구조이다. 미 대선 이후 이란 제재 강화로 유가 상승 압박이 커질 수 있으며, 가능성은 낮으나 확전으로 호르무즈 해협이 봉쇄될 경우 유가는 배럴 당 150달러 수준까지 상승할 수 있다. 

  유가로 인한 생산비 상승 압력은 정유, 화학, 도로운송, 항공운송 등에서 급증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국지전 지속으로 유가가 배럴당 97.5달러까지 상승할 경우에는 생산비용이 전 산업 0.7%, 제조업 1.2%, 서비스업 0.32% 상승할 것으로 추정되며, 생산비 상승 폭은 석유제품(11.0%) 및 화학제품(1.8%), 운송업(1.3%), 비금속광물제품(0.8%) 순으로 클 것으로 나타났다. 

 

<표2> 유가 상승시 산업별 생산비 상승 효과

1f46adf28ac4ad39ac6778bf5b011f65_1716859
□ 단기적으로는 확전 가능성이 크지 않으나 장기적인 추이 관찰을 통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

 

  산업연구원은 “단기적으로 전면전으로의 확대 가능성이 높지는 않아 보이나 이스라엘의 행보가 미국과 어긋나는 경우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어 al대선 이후 추이에 대해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또한 “확전 시 사태가 빠르게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시나리오별 전개 가능성을 점검하고, 호르무즈 해협이 봉쇄되는 등 최악의 경우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우리나라는 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어 상대적으로 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안정자금 등을 적절히 활용해 대응하고, 장기적으로는 유가 충격에 대한 취약성을 완화하는 산업구조로의 전환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끝>

 

▲ 연구자 

0cab7d477f07ca2d9f648f95f756fcdd_1716860
빙현지 산업연구원 통상전략실 전문연구원 

 

※ 따로 붙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우리 산업에 미치는 영향” ​ 

 

<ifsPOST>

 ※ 이 자료는 산업연구원(KIET)이 5월 28일 보도자료로 배포한 것입니다.<편집자>​

 

 

2
  • 기사입력 2024년05월28일 10시58분
  • 최종수정 2024년05월28일 10시53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