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에서는 연구진의 논문 및 자료와 함께 연구원 주최 세미나의 주제발표 및 토론내용 등을 PDF 파일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 수지 불균형 아닌 미국 제조업과의 산업적 연계성에 기반한 구조적·필연적 결과”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5년04월13일 15시35분
  • 최종수정 2025년04월13일 15시35분

작성자

메타정보

  • 1

첨부파일

본문

산업연, 보고서 '한국 대미 수출의 구조적 분석: 수지 불균형을 넘어선 산업 연계 구조' 발표


-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자국의 무역적자를 무역 흑자국의 ‘관세장벽’으로 간주

- 이는 무역수지를 수치로만 해석한 제한된 시각에서 비롯된 것으로, 특히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미국 제조업과의 연계성에 기반한 필연적 결과로 재해석될 필요

- 최근 4년간 한국의 대미 수출은 중간재·자본재를 중심으로 크게 확대되었으며, 이는 미국 제조업 생산의 핵심 투입 요소로 기능

- `15년 이후 대중국 견제와 한국의 대미 직접투자 확대는 미국의 한국산 수입 의존도를 높이는 배경이 되었으며, 이는 미국의 산업정책 및 공급망 재편과도 밀접히 연결

- 또한 한국산 중간재와 자본재에 대한 미국의 의존도가 상승하고, 현지 매입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는 양국 산업 간 연계가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줌.

- 한국은 무역수지 흑자의 정당성과 한·미 간 상호보완적 산업 구조를 미국 측에 명확히 제시하고, 이를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통상 협상의 논리로 적극 활용할 필요

 

산업연구원(KIET, 원장 권남훈)은 최근 발표한 보고서 「한국 대미 수출의 구조적 분석: 수지 불균형을 넘어선 산업 연계 구조」를 통해,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무역적자를 주요 흑자국의 ‘관세장벽’으로 간주하고 있는 시각은 무역수지를 수치로만 해석한 제한된 접근이라고 지적하였다. 특히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는 미국 제조업과의 산업적 연계성에 기반한 구조적·필연적 결과로 재해석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미국 제조업, 한국산 중간재·자본재 의존도 확대: 대중국 견제와 대미 투자 확대가 구조적 연계 강화로 이어져

 

보고서는 한국산 중간재·자본재의 대미 수출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미국 제조업의 한국산 의존도가 증가한 것으로 보고 있다.(보고서 <그림 3 참고>) 그리고 이러한 흐름은 2015년 이후 본격화된 대중국 견제와 한국의 대미 직접투자가 맞물려 나타난 변화라고 분석했다. 특히, 최근 한국 기업들의 대미 직접투자가 확대되면서 「투자 확대 → 한국산 산업재 조달 → 중간재 및 자본재 수출 증가 → 산업 연계성 강화」로 이어지는 구조가 형성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ec3b6fd4e4016c0c3968e5c238f740b9_1744525
미국 진출 기업들의 현지 매입 확대에 따라, 대미 투자와 미국 산업 간의 연계가 심화되는 양상

 

보고서는 미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생산에 필요한 중간재를 점차 현지에서 조달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실제로 현지 매입 비중이 2020년 28.3%에서 2023년 32.1%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의 대미 투자가 미국 산업의 공급망과 더욱 긴밀히 연결되는 구조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하면서, 향후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고율 관세 정책이 이 같은 연계 흐름을 더욱 가속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한국의 대미 수출 확대는 미국 제조업과의 연계 속에서 그 실질적 역할이 재조명되어야

 

보고서는 끝으로, 우리나라와 미국의 산업 연계 속에서 한국의 대미 수출 확대의 실질적인 역할과 기여가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한국산 중간재와 자본재는 미국 제조업의 생산 활동을 뒷받침하는 핵심 투입 요소로 오랜 기간 기능해 왔으며, 이들 품목의 수출 확대에 따른 무역흑자는 한국 수출이 미국 산업 성장에 기여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한국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가 결코 불공정한 결과가 아니라 양국 산업 간 상호보완적 구조에서 비롯된 정당한 성과임을 미국 측에 설득력 있게 전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향후 통상 협상에서도 이러한 논리를 바탕으로 주도적이고 전략적인 대응이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ifsPOST>

 ※ 이 자료는 산업연구원(KIET)이 2025.4.13 발표한 보도자료입니다.<편집자>​

 

 

1
  • 기사입력 2025년04월13일 15시35분
  • 최종수정 2025년04월13일 15시26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