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제조 혁신을 위한 제조서비스 활성화 방안1) 본문듣기
작성시간
첨부파일
관련링크
본문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제조업에서의 디지털 전환인 스마트 제조의 성공적 구현을 위해 지속적인 스마트 제조·혁신이 요구된다.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균형있는 스마트 제조 생태계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이에 제조기업의 성과 제고에 편중되어 있는 국내 스마트 제조 혁신정책의 전환이 요구된다. 제조서비스의 활성화와 역량 제고는 정책 전환을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서비스의 개념과 유형을 식별하고 자발적 혁신 유도와 혁신 기반 구축이라는 관점에서 국내 제조서비스 기업의 혁신 활성화와 역량 제고를 위해 제조서비스 기업에 대한 지속적·체계적 관리, 지원, 평가, 모니터링 및 수요 기업과의 연계 등을 뒷받침할 수 있는 제조서비스 성장지원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과 관련하여 우리나라는 지속적인 스마트 제조 혁신 지원을 통해 제조기업의 경영개선과 공정개선 측면에서 가시적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그간의 정책지원이 스마트 공장의 보급·확산을 중심으로 제조기업에 집중된 결과이다.
이제는 제조 생태계 전반으로 성과를 파급시 키고 스마트 제조 혁신과 가치 창출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정책 전환이 요구된다. 본 원고는 이러한 정책 전환의 일환으로 균형 있는 스마트 제조 생태계의 구축 관점에서 제조서비스의 역할 및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혁신 수행 에 대한 결정 요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국내 제조서비스 기업의 혁신 활성화와 역량 제고를 위한 정책 시사점을 간략히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 제조서비스 기업은 소극적이며 위험회피적 혁신 성향을 보이고 있으며 미래 영업환경에 대한 불확실성이 완화되거나 안정적 수요 확보가 가능한 경우에야 역량과 경쟁력 제고에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에 제조서비스 기업에 대한 지속적·체계적 관리, 지원, 평가, 모니터링 및 수요 기업과의 연계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제조 서비스 성장지원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중소벤처기업부 중심의 스마트 공장 지원사업, 산업통상자원부 중심의 산업 디지털 전환 지원사업 간 통합 또는 유기적 연계와 함께 효율적 업무분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기술과 공정 혁신에 유의미한 결정 요인인 디지털 표준화 수립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 디지털 표준화는 기업 간 협업 활성화를 위한 기반이기 때문이다.
또한 승자독식 구조로 전환 중인 산업환경을 고려할 때, 글로벌 표준화와 연계하여 국내 기업들의 디지털 표준화를 통한 시장지배력 강화 접근이 요구된다.
국내 제조서비스 기업의 혁신 활성화와 관련하여 핵심 소프트웨어와 장비 등 디지털 설비 투자가 유효한 정책 수단으로 식별되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제조서비스 기업들의 투자 부담을 경감시키고 핵심 소프트웨어와 장비의 원활한 수급을 위해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이 집중될 필요가 있다. <KIET>
* 저자
▲ 이상현 KIET 서비스산업연구본부 서비스산업혁신실 연구위원
▲ 박지원 KIET 서비스산업연구본부 서비스산업혁신실 연구원
----------------------------------------------------------------------------------
1) 본 보고서는 산업연구원의 2023년도 연구보고서 「디지털화에 따른 제조서비 스업의 혁신 활성화 방안 연구」의 분석 내용과 결과를 기반으로 작성하였다.
<ifsPOST>
※ 이 자료는 산업연구원(KIET)이 발간한 [월간 KIET 산업경제 2월호] '특집'에 실린 것으로 연구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