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 및 저성장 지속-최근 경제동향 <2024.01.16. 분석> 본문듣기 준비중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1월16일 09시41분
- 최종수정 2024년01월16일 09시41분
첨부파일
관련링크
본문
1. 지난해 12월 취업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28만 5천명(1.0%)이 증가하였으며, 비경제활동인구 19만명, 일시휴직자 8만 8천명이 각각 감소했다. 12월 고용률(61.7%)은 전년동월(61.3%)대비 0.4%p 상승했다.
2. 연령별 취업동향을 보면 우선 15-19세, 20-29세, 40-49세 연령 구간을 제외한 모든 연령 구간에서 고용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60세 이상 취업자는 전년동월대비 27.9만명 증가했으나 전월대비로는 51.6만명이 감소했다.
3. 업종별로 보면 전년동월대비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263만 9천명→273만 2천명, 3.5%),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132만 3천명→137만명, 3.5%), 건설업(209만 7천명→216만 8천명, 3.4%),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116만 2천명→119만 7천명, 3.0%), 운수 및 창고업(163만 5천명→166만 1천명, 1.6%), 숙박 및 음식점업(230만 9천명→232만 6천명, 0.8%), 제조업(448만 9천명→449만 8천명, 0.2%), 도매 및 소매업(326만 7천명→326만 7천명, 0.0%) 증가했다.
4. 지난 12월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28.1% 증가했고, 수입은 10.8% 감소하였으며, 무역수지는 전년동월대비 92.5억 달러 증가한 44.8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품목별 수출변화율(%)은 (선박) 47.2, (반도체) 21.8, (자동차) 17.9, (디스플레이) 10.9, (바이오헬스) 4.2, (석유화학) 3.9, (가전) 2.9, (일반기계) 2.2 8개 품목의 수출액이 증가하여 전년동월대비 수출액 증가했다. 주요 지역별 수출변화율(%)은 (EU) -20.0, (CIS) -12.4, (중남미) -7.8, (중국) -2.9, (베트남) -2.0, (중동) -0.9, (미국) 20.8, (인도) 7.0, (일본) 3.7, (아세안) 1.7 등이다.
5. 11월 산업생산은 전월대비 2.8% 증가했고, 전년동월대비 2.5% 증가했다.
6. 11월 소매판매액지수는 준내구재, 내구재가 증가하였으나, 비내구재가 감소하여 전년동월대비 0.3% 감소했다. 12월 소비자심리지수는 전월(97.2)보다 2.3p 증가한 99.5를 보이고 전년동월대비 9.3p 증가했다.
7. 11월 설비투자지수는 기계류와 운송장비가 모두 감소하여 전년동월대비 11.9% 감소했다. 11월 건설투자는 전년동월대비 건설기성액(1.4%) 증가, 건설수주액(29.5%) 감소, 건설업 생산지수는 전년동월대비(1.4%) 증가했다.
8. 11월 OECD 경기 선행지수는 전월(99.7)대비 0.1p 증가한 99.8로, 2020년 4월 이후 상승하기 시작하여 2021년 4월을 정점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1월 통계청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022년 10월부터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 기사입력 2024년01월16일 09시41분
- 최종수정 2024년01월16일 09시34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