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국방부 현충원' 마지막 현충일…'각잡힌' 의장대 못 보게 되나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6월06일 11시32분

작성자

메타정보

  • 0

본문

다음달 보훈부로 이관…양 부처, 軍 의장대 지원 조율 중

 

6일 열린 현충일 추념식은 '국방부 소속'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마지막 현충일 행사다.

국립묘지법이 개정되고 내달 24일부터 서울현충원 관리 주체가 국방부에서 국가보훈부로 이관되면서 '국방부 서울현충원'의 69년 역사도 막을 내리게 됐다.

이에 따라 군이 맡아왔던 서울현충원 의전 업무는 추후 누가 담당할지도 주목된다. 국방부와 보훈부는 이를 포함한 세부 사항을 조율하고 있다.

서울현충원은 1953년 당시 이승만 대통령 재가를 거쳐 1955년 7월 6·25전쟁 전사자를 안장하기 위한 국군묘지로 조성됐다. 국군묘지이기에 자연스레 시설은 국방부가 관할했다.

1956년 1월 무명용사 1위가 무명용사탑에 최초로 안장됐으며, 제1회 현충일 추념식이 같은 해 열렸다. 1957년에는 고(故) 강덕수 육군 하사 외 191위의 신원 확인된 참전용사가 현충원에 모셔졌다.

이후 1964년에는 국무회의 의결을 거쳐 고(故) 김재근 애국지사가 독립운동가로서는 최초로 여기 묻혔으며, 1965년에는 국립묘지로 승격됐다. '군의 죽음'을 넘어 '국가의 죽음'을 상징하는 시설이 된 만큼 관할 주체를 변경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기 시작했다.

2006년 대전현충원의 관리 주체가 국방부에서 보훈부 전신인 국가보훈처로 이전되면서 이런 의견은 더욱 힘을 받았다. 서로 같은 성격의 현충원을 다른 부처에서 관리한다는 혼선을 막기 위해 서울현충원 관리 주체를 바꿔야 한다는 논리다.

결국 지난해 6월 국무총리 주재 국가보훈위원회에서 서울현충원 관리주체를 국방부에서 보훈부로 변경하기로 했다. 보훈부는 서울현충원을 국방부로부터 이관받은 후 이곳을 고품격 추모 공간이자 국민이 즐겨 찾는 호국보훈의 성지로 개편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서울현충원의 관리주체가 변경되면서 군 의장대가 이곳의 의전을 계속 담당할지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현재 현충원 내에는 국방부유해발굴감식단 이외에도, 현충문 임무 교대식과 같은 평시 의전 임무를 수행하고자 국방부근무지원단 소속 군악대와 의장대 병력이 주둔하고 있다.

서울현충원 부지 소유권을 이전할 때 부대 주둔지는 제외하기로 두 부처가 합의하면서 군악대와 의장대도 그대로 남게 됐지만, 앞으로 이들이 서울현충원의 평시 의전을 담당할지는 미지수다.

두 부처는 평시 의전행사를 누가 담당할지 조율 중이며, 보훈부는 군 의장대가 맡았으면 좋겠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별도로 인력을 채용해 의전행사를 진행해도 소위 '각 잡힌' 진짜 군인들을 따라잡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보훈부 관계자는 "대전현충원의 경우 이관받을 때 국방부가 의장대 병력을 철수시켰고, 현재는 보훈부에서 별도로 인력을 채용해 의전행사를 하고 있다"며 "나름대로 실제 제복을 흉내 내 유니폼도 맞추고 준비했지만 부족한 점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서울현충원 의전을 위한) 의장대를 계속 유지해 주고 지원부대로서 역할을 해달라고 국방부에 요청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서울현충원 이관 후에도 당분간은 군 의장대가 의전을 맡겠지만, 이후로는 정해진 바 없어 보훈부와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한편으로는 요즘 군 병력도 많이 줄고 있는 상황"이라며 "평시 현충원 의전이 주 임무가 아닌 지원 업무가 되는 만큼 의장대가 이를 계속 담당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외에도 두 부처는 직원의 소속 변경 문제를 매듭지어야 한다. 서울현충원에는 공무직과 계약직을 포함해 직원 약 200명이 근무하고 있는데, 국방부에서 보훈부로 이관되면서 직원들 또한 보훈부로 넘어가게 됐다.

국방부 관계자는 "인사교류가 아니라 아예 소속을 바꾸는 형식이 될 것"이라며 "현재 서울현충원에 근무하지만 국방부에 남길 바라는 직원들과, 국방부 타 부서 소속이지만 보훈부로 가고 싶은 직원의 수요를 조사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0
  • 기사입력 2024년06월06일 11시32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