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가스·석유 수차례 발견된 포항…40억배럴 매장 가능성에 재주목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6월03일 11시18분

작성자

메타정보

  • 1

본문

7년전 철길숲서 나온 천연가스 지금도 타는 중…1970년대엔 석유도 발견

포항 지하층 신생대3기 관련…포항시 "지역으로 봐선 무척 반길 일"

 

윤석열 대통령이 3일 경북 포항 영일만 앞바다에 막대한 양의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물리탐사 결과를 발표함에 따라 포항이 주목받고 있다.

정부는 포항 앞바다에 40억배럴에 달하는 석유와 가스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결과가 나와 탐사 시추 계획을 승인했다.

이에 따라 포항에 어느 정도의 석유와 가스가 있는지, 경제성이 높은지 등에 관심이 쏠린다.

포항은 이전에도 석유와 가스와 관련해 주목받은 일이 여러 차례 있다.

포항에서는 1975년 남구 상대동 주택가 땅속에서 1드럼(200ℓ) 분량의 석유가 발견됐고 1988년에도 북구 흥해읍 성곡리 주택 마당에서 천연가스가 나와 한동안 취사용으로 쓴 것으로 전해졌다.

2017년 3월에는 남구 대잠동 철길숲 공원 조성지에서 지하수 개발을 위해 지하 200m까지 관정을 파던 중 땅속에서 나온 천연가스로 굴착기에 불이 붙었다.

이 불은 금방 꺼질 것이란 초기 예측과 달리 7년이 지난 현재까지 타오르고 있다.

불이 꺼지지 않자 시는 불길이 붙은 굴착기와 주변 흙 등 현장을 보존하고 주변에 방화유리를 설치해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불의 정원'이란 이름의 공원을 만들었다.

불의 정원 지하에는 메탄으로 이뤄진 천연가스가 매장된 것으로 확인됐으나 경제성은 없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추정 매장량은 2.258bcf(10억 입방 피트)다.

이해하기 쉬운 단위로 환산하면 약 3만t으로 포항시민이 한 달간 쓸 수 있는 양이다.

시는 2020년 말에도 불의 정원 인근인 북구 득량동 철길숲 시민광장 조성 예정지에 천연가스 매장지를 추가로 발견했으나 경제성이 낮아 활동하지 않기로 했다.

포항 지역 지하층은 신생대 3기 층으로 유기물과 바다 생물이 널리 분포해 있어 그동안 학계나 관련 업계는 천연가스나 석유가 매장돼 있을 가능성을 제기해 왔다.

포항시 관계자는 "포항 앞바다에 석유와 가스가 많이 매장돼 있다면 지역으로 봐서는 무척 반길 일"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1
  • 기사입력 2024년06월03일 11시18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