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돈벌어 이자 못갚는 '한계기업' 늘어…100곳중 14곳"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9년09월26일 11시59분

작성자

메타정보

  • 4

본문

 

한은 "위험기업 한계 전이율도↑…신용위험 관리 강화해야"

기업 100곳 중 약 14곳은 쓰러지기 직전인 '한계기업'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은 26일 금융통화위원회에 보고한 금융안정 상황(2019년 9월) 보고서에서 지난해 외부 회계감사를 받는 기업 3천236곳이 한계기업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계기업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 미만인 기업이다. 돈을 벌어 이자도 다 갚지 못하는 상태가 3년째 계속된 기업을 뜻한다.
한계기업은 2017년 3천112개로 전체 외감기업 중 13.7%였으나, 지난해는 이 비중이 14.2%로 커졌다.
대기업 중 한계기업 비중은 10.6%로 0.7%포인트, 중소기업 중 한계기업 비중도 14.9%로 0.5%포인트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숙박·음식(35.8%), 조선(24.0%), 부동산(22.9%), 해운(16.8%), 운수(18.7%) 분야의 한계기업 비중이 평균치를 웃돌았다.
한계기업만 늘어난 게 아니다. 곧 한계기업 상태로 전락할 기업의 비중, 그리고 이 같은 위험이 현실화하는 비율도 함께 상승했다.
이자보상배율이 2년 연속 1 미만인 기업 비중은 2017년 19.0%에서 지난해 20.4%로 커졌다. 이들 기업은 이듬해에도 이자보상배율이 1을 밑돌면 한계기업이 된다.
실제로 한계기업이 된 '전이율'은 2017년 53.8%에서 지난해 63.1%로 높아졌다. 이처럼 한계 상태로 진입·잔류하는 기업은 늘었지만, 이 상태를 벗어나는 기업은 줄었다.
한계기업에 대한 금융회사 여신은 지난해 말 107조9천억원으로, 1년 새 7조8천억원 늘었다. 외감기업 전체 여신 중 한계기업 여신 비중은 13.8%로 0.4%포인트 상승했다.
한은은 "한계기업에 대한 여신 비중이 높은 은행일수록 고정이하여신비율도 높아지는 경향"이라고 설명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이 높을수록 은행 건전성은 나빠진다.
한계기업은 채무상환능력이 취약한 데다 저신용등급 또는 자본잠식 상태인 기업이 많아 경영 여건이 더 악화하면 부실위험이 급증한다고 한은은 지적했다.
한은은 "교역여건 악화, 경기둔화 등으로 기업 채무상환능력이 전반적으로 낮아지고 한계기업도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며 "신용위험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

 

4
  • 기사입력 2019년09월26일 11시59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