엇갈리는 주택시장 전세가율…아파트 오르고, 빌라는 떨어지고 본문듣기
작성시간
관련링크
본문
KB, 1월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 68%… 2022년 표본 개편 이후 최고
빌라는 표본 개편 후 최저…전세사기 여파로 월세 전환 가팔라
연초에도 아파트 매매시장의 침체가 이어진 가운데 아파트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반대로 전세사기 후폭풍이 거센 빌라 시장은 전세기피 현상과 월세 전환으로 인해 전세가율이 떨어지는 모습이다.
2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68.0%로 국민은행이 2022년 11월 전면적으로 시세 조사 표본을 확대 개편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2023년 4월 50.8%까지 떨어졌던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도 올해 1월 54.1%로 오르며 역시 2022년 11월 표본 개편 이후 가장 높았다.
최근 전세가율 상승은 금융기관의 대출 규제와 탄핵 정국 여파로 매매시장이 상대적으로 침체한 영향이 크다.
KB 조사 기준으로 지난달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0.55% 내리며 하락세가 지속된 반면, 전셋값은 2.07% 올라 10개월째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서울은 1월 들어 매매가격이 3.11% 오른 것으로 조사됐지만 전셋값 상승폭은 6.18%로 2배 가까이 높았다.
이에 비해 연립주택의 전세가율은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올해 1월 전국과 서울의 연립주택 전세가율은 각각 69.8%, 70.1%를 기록하며 각각 국민은행 표본 개편 후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전세사기 후폭풍으로 빌라 전세 수요 감소와 함께 전셋값 약세장이 지속되고 있어서다.
KB 조사에서 올해 1월 전국의 연립주택 매매가격은 0.25% 올랐으나 전셋값은 0.40% 떨어지며 2023년 5월 이후 1년8개월째 하락 중이다.
빌라 전세가율 하락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전세보증금 반환보증과 임대사업자의 임대보증금보증 가입 요건을 강화한 영향도 있다.
빌라 매매가격이 하락한 상황에서 '공시가격의 126%' 수준으로 강화된 보증 가입 요건을 맞추기 위해 전세 보증금을 낮추는 임대인들이 많은 것이다.
서울 강서구 화곡동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전세사기 후폭풍으로 보증금 미반환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과거처럼 매매가에 육박하는 전세를 얻는 임차인은 크게 줄어든 대신 보증금 일부를 월세로 전환하거나 아예 아파트로 주거 형태를 옮기는 경우들이 많다"며 "빌라는 자연스레 전세가율도 내려가는 추세"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빌라의 전세가율 하락은 보증금 미반환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있지만, 아파트 전세가율 상승이 지속되면 갭투자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서울 강동구 고덕동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아직 아파트 절대 전세가율이 낮은 편이고 현재 매매시장이 침체해 투자 목적으로 전세를 끼고 집을 사두는 경우는 별로 없다"며 "다만 매매시장이 살아나고 전세가율이 더 오르면 갭투자 가능성이 커지는 만큼 시장 변화를 예의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