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취업자 수 38만7천명 증가…올해 들어 최대 본문듣기
작성시간
관련링크
본문
울산 실업률 4%대로 급등…청년실업률 17년만에 최고
통계청 발표, 제조업 취업자 2개월째 감소
지난달 취업자 증가 폭이 크게 늘었지만, 조선·해운업 구조조정 영향이 본격화하면서 경남·울산지역 실업률이 치솟았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2개월째 감소했고 청년실업률은 같은 달 기준으로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여파에 시달리던 1999년 이후 17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뛰었다.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8월 고용동향'을 보면 8월 취업자 수는 2천652만8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38만7천명 늘었다.
이는 지난해 12월 49만5천명 이후 최대로, 올해 들어 가장 큰 증가 폭이다.
취업자 증가 폭은 지난 7월 20만명대로 내려앉았지만, 한 달 만에 다시 30만명대를 회복했다.
지난해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여파에 따른 기저효과로 도소매업 취업자가 1년여 만에 증가세로 반전한 영향이 컸다. 도소매업 취업자는 3만8천명 늘었다.
숙박 및 음식점업(10만3천명)과 건설업(7만1천명) 등이 늘어난 것도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작년 초부터 이어진 수출 부진과 구조조정 영향으로 제조업 부문은 7만4천명 줄며 2개월째 감소세가 심화됐다.
제조업 취업자 수는 2012년 6월 5만1천명 감소한 이후 지난 7월 49개월 만에 처음으로 줄어들었다.
예술·스포츠·여가 관련 서비스업 취업자 수도 3만7천명(8.5%) 줄었고 농림어업은 6만7천명(4.5%) 줄어 감소폭이 축소됐다.
연령별로 보면 인구가 감소하는 30대에서만 6만1천명 감소했을 뿐 모든 연령층에서 취업자가 늘었다.
특히 60세 이상(25만8천명), 50대(12만4천명)의 증가 폭이 컸다.
취업시간대별로 살펴보면 주당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4.6% 감소한 반면 주당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19% 증가해 대비를 이뤘다.
36시간 미만 취업자 증가 폭이 큰 것은 광복절이 주말이었던 작년과 달리 올해는 평일이었던 점이 일부 영향을 미쳤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경제활동인구는 2천752만4천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46만명(1.7%) 증가했으며 경제활동참가율은 63.3%로 같은 기간 0.5%포인트(p) 상승했다.
고용률은 61.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3%p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6.4%로 같은 기간 0.5%p 증가해 39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0.9%p 상승한 42.9%를 나타냈다.
실업률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0.2%p 상승한 3.6%를 기록했다.
실업자는 20대와 60세 이상을 중심으로 늘며 전체 실업자는 같은 기간 7만3천명 늘어났다.
취업 무경험 실업자는 2만6천명(43%), 취업 유경험 실업자는 4만7천명(5.5%) 늘어나 상대적으로 대졸 신규 채용 상황이 좋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청년실업률은 9.3%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3%p 상승했다. 8월 기준으로는 1999년 8월(10.7%) 이후 최고치다.
청년층은 경제활동참가율이 큰 폭(1.7%p)으로 올라 고용률(0.9%p)과 실업률(1.3%p)이 동반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다른 직장을 구하는 취업 준비자와 입사시험 준비생 등 사실상 실업자를 고려한 체감실업률(고용보조지표 3)은 10.2%로 나타났다.
지역별 실업률은 울산(4.0%)·경남(3.7%)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각각 1.2%p, 1.6%p 상승해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보였다. 울산은 2000년(4.8%) 이후, 경남은 1999년(4.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뛰었다. 특히 경남의 실업률 상승 폭은 사상 최대였다.
이는 최근 진행 중인 조선·해운 분야 구조조정의 여파로 분석된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근로자는 29만1천명(2.3%), 임시근로자는 9만1천명(1.8%) 증가한 반면 일용근로자는 6만7천명(4.4%) 감소했다.
비임금근로자 중에서는 자영업자는 7만9천명(1.4%) 증가했으며 무급가족종사자는 7천명(0.5%) 줄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서비스업, 건설업 등을 중심으로 고용증가세가 확대됐으나 구조조정에 따라 제조업 부진이 심화한 점이 고용증가세를 제약했다"며 "재정보강 대책을 신속히 집행하고 소비·투자 활성화 대책 등 경제활력을 제고하는 노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