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과잉 규제 vs 안보 조처'…불 붙은 구글 지도 반출 논란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6년08월10일 10시08분

작성자

메타정보

  • 46

본문

구글, 국회 토론회서 호소…산업계에선 부정적 의견 훨씬 많아
 

과잉 규제인가, 남북분단 상황에서 어쩔 수 없는 안보 조처인가.

세계 1위 검색 엔진 구글이 '국 지도의 국외 반출 규제'란 생소 주제의 논쟁에 불을 지폈다.

안보 상황 때문에 국 지도를 외국에 반출하는 것을 엄격히 통제하는 우리 정부의 규제가 'IT 혁신에서 뒤처질 수 있는 조처'라고 반발 것이다.
8일 국회에서는 이번 논쟁과 관련해 첫 토론회까지 열렸다.
토론회를 주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의 이우현 의원(국토위 새누리당 간사)은 이날 행사에서 "우리 국민의 소중 세금으로 만든 지도를 외국 기업에 제공할 때 국익·관련 산업에 어떤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는지, 분단국가인 국의 안보에는 어떤 영향을 주는지 검토해야 다."고 강조했다.

구글은 국 지도를 국외로 가져가 간판 상품인 구글 지도(구글맵)의 완성도를 높이고 싶어 다.

애초 구글은 미국·칠레·대만 등 국 바깥의 '글로벌 서버'에 세계 각국의 지도를 가져다 전세계로 서비스하는데 국의 경우는 정부의 불허로 제대로 된 지도 서비스를 못하고 있다.

우리 정부는 국 지도를 웬만하면 국내 서버에서 처리하고, 지도가 기업의 외국 서버로 빠져나가면 적대 세력이 쉽게 입수해 안보에 해롭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 때문에 구글은 2008년 국판 구글맵을 출시하면서 국내에 소규모 서버를 두고 국 지도를 처리하는 편법을 택했다.

서버가 작은 탓에 국판 구글맵은 글로벌 서버가 돌리는 다른 나라 구글맵과 비교해 10% 정도의 기능밖에 소화하지 못다. 내비게이션·도보 길 찾기·실내 지도·3차원 지도 등의 고급 기능이 빠졌고 지도 검색과 대중교통 길 찾기라는 기본 기능만 제공다.

구글은 지도 반출만 성사되면 국판 구글맵의 소비자 혜택이 늘어나고 국 IT 업계에도 신선 자극이 될 수 있다고 주장다.

구글 본사의 권범준 매니저는 국회 토론회에서 "구글은 전 세계에서 제공하는 지도 서비스를 다른 나라에서 제공하듯이 국에서도 제공하고 싶다. 무엇보다 안타까운 점은 국에 지도 서비스를 활용 혁신 도입이 늦어지거나 그 결과 글로벌 경쟁에 뒤처질 수 있다는 점"이라고 주장했다.

구글은 2010년에 이어 두 번째로 올해 6월1일 우리 정부에 지도 반출을 신청했지만, 이번 심사에서도 불허 결론이 떨어질 공산이 크다.

우리 군이 지도 반출의 선결 조건으로 구글맵이 다른 나라에서 제공하는 위성사진에서 청와대 등 안보 관련 시설을 지우라고 요구 것이다.

구글은 국의 요구에 따라 미국·영국 등 타국의 구글맵 서비스를 '검열'할 근거가 없고, 위성사진은 세계 각국 업체들이 엄청난 양을 유통하기 때문에 구글의 삭제만으로 안보 실익이 없다고 반박다.

정부 안팎에서는 구글과 우리 군 사이의 견해차가 커 지도반출 심사가 불허로 종결될 공산이 크다는 관측이 많다.

이날 토론회에서 공개된 지도 서비스·IT 업체 설문 조사를 보면 '지도 반출이 관련 산업의 매출·손익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부정적인 답변이 전체의 20.0%로 긍정적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관측(11.3%)의 2배에 육박다.

이번 심사 결과가 어떻게 되든 구글의 지도반출 신청은 우리 IT 업계에 고민거리를 던져준다.

안보를 위해 지도 반출 규제를 유지해야 할지, 구글의 지도 서비스를 허용해 AR(증강현실)·지능형 자동차·O2O(온라인오프라인연동) 등 지도 기반 서비스를 활성화할지를 두고 의견이 갈린다.

구글에 대 견제 심리도 지도반출 논란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 반출을 계기로 국내 지도 서비스에 대 구글의 지배력이 상승하고 기술 의존 문제가 커질 것이라는 IT업계의 우려가 적잖기 때문이다.

구글이 국내 지도서버에 대 투자를 기피하고 지도 반출이라는 편 길만 노리고 여론전을 펼친다는 부정적 시각도 있다.

구글은 앞서 국 법인을 유회사로 유지하면서 국내 매출을 공개하지 않아 '세금 회피' 꼼수가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받았다.

업계 일각에서는 구글이 국내 서버 증설을 사코 반대하는 배경에 세금·규제에 대 부담이 있는 것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

편 녹색소비자연대 ICT소비자정책연구원은 이날 성명에서 "국산 지도 데이터를 토대로 성공 '김기사' 내비게이션 등 사례를 볼 때 국판 구글맵이 이런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의 기반을 무너뜨릴 개연성이 존재다. 구글맵이 국 스타트업을 위해 '세계 시장 류'를 만들어준다는 근거도 없다"고 비판했다.

연구원은 이어 "구글의 주장은 '모든 길은 구글로 통다'식 오만함의 결과물이며 구글앱 매출이 세계 5위인 국 시장을 너무 홀대하는 것"이라며 "국에 제대로 된 서버 시설을 설치하고 납세의 의무부터 다해주길 바란다."고 주장했다.

 


 

46
  • 기사입력 2016년08월10일 10시08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