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국내경제 성장, 4월 전망한 2.6% 넘어선다" 본문듣기
작성시간
관련링크
본문
7월 수정 전망때 올 성장률 전망 또 높일 듯
수출과 투자 개선추세 확대될 것
최근 경기개선 추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수출과 투자의 확대 영향으로 올해 국내 경제의 성장세가 최근 예상했던 수준을 넘어설 것이라는 한국은행의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5일 금융통화위원회를 마친 뒤 발표한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최근 국내외 경제 상황을 이렇게 진단했다.
한은은 국내 경제에 대해 "소비 증가세가 여전히 미흡했지만 수출과 투자가 개선되면서 성장세가 확대됐다"면서 "앞으로 국내 경제의 성장 흐름은 지난 4월 전망 경로를 소폭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은은 이어 "소비는 완만한 증가세를 이어가겠으나 수출과 투자는 종전 전망보다 개선세가 확대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한은의 이런 전망은 수출과 투자의 확대 움직임이 앞으로도 당분간 지속하면서 올해 국내 경제의 성장세가 지난달 발표했던 2.6% 수준을 넘어설 것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한은은 지난달 13일 금통위가 끝난 뒤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5%에서 2.6%로 0.1%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이에 따라 한은은 오는 7월 발표하는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 성장률 전망치를 또다시 상향 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은 소비자물가에 대해서는 당분간 상승률이 2% 수준에서 등락하겠고 연간 전체로는 지난달 전망했던 1.9%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한은은 또 "가계대출은 예년보다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였으나 은행을 중심으로 증가 규모 축소 움직임이 나타났다"고 평가했다.
한은은 향후 통화정책 기조에 대해 "국내 경제의 성장세가 다소 확대될 것이나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상승압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므로 통화정책의 완화 기조를 유지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다음은 5월 통화정책방향 의결문 전문.
『금융통화위원회는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 시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 수준(1.25%)에서 유지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하였다.
세계경제는 회복세가 확대되는 움직임을 지속하였다. 국제금융시장은 주가의 상승세가 이어지는 등 대체로 안정된 모습을 나타내었다. 앞으로 세계경제의 회복세는 미국 정부 정책방향 및 연준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 보호무역주의 확산 움직임, 주요국의 정치적 불확실성 등에 영향받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경제는 소비 증가세가 여전히 미흡하였으나 수출과 투자가 개선되면서 성장세가 확대된 것으로 판단된다. 고용 면에서는 전년동기대비 취업자수가 계속 큰 폭으로 늘어났으나, 실업률은 구직활동이 확대되면서 상승하였다. 앞으로 국내경제의 성장 흐름은 지난 4월 전망 경로를 소폭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비는 완만한 증가세를 이어가겠으나 수출과 투자는 종전 전망보다 개선세가 확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및 농축수산물 가격의 상승 등으로 물가안정목표인 2% 수준의 오름세를 지속하였다. 근원인플레이션율(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은 1%대 중반으로 소폭 하락하였으며 일반인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대 중반을 유지하였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당분간 2% 수준에서 등락하겠으며, 연간 전체로는 4월 전망수준(1.9%)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근원인플레이션율은 1%대 중후반을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금융시장에서는 국제금융시장의 움직임을 반영하여 주가가 상승하고 장기시장금리는 낮은 변동성을 나타내는 등 안정세가 지속되었다. 원/달러 환율은 지정학적 리스크 부각 등으로 상승하다가 대내외 정치적 불확실성의 완화 등으로 반락하였다. 가계대출은 예년보다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였으나 은행을 중심으로 증가규모 축소 움직임이 나타났다. 주택가격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소폭의 오름세를 보였다.
금융통화위원회는 앞으로 성장세 회복이 이어지고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다. 국내경제의 성장세가 다소 확대될 것이나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상승압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므로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추이, 주요국과의 교역여건, 새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 가계부채 증가세, 지정학적 리스크 등을 면밀히 점검해 나갈 것이다.』
<연합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