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韓가계 빚부담 증가속도 세계 최고…증가기간은 2위 본문듣기
작성시간
관련링크
본문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14개 분기 연속 상승…상승폭은 3위
가계 빚이 경제성장세에 비해 빠르게 증가하며 국내총생산(GDP) 규모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올라섰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연속 상승한 기간이 세계 두 번째로 길고 소득대비 가계부채 원리금상환부담(DSR)은 상승속도가 단연 최고다.
18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한국은 작년 3분기 기준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94.4%를 기록했다.
이는 전 분기보다 0.6%p(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전년 말(92.8%)에 비하면 1.6%p 뛰었다.
한국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14년 2분기를 시작으로 14개 분기 연속으로 상승했다.
조사대상 43개국 가운데 상승 기간이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길다.
이 기간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2.5%p 치솟았다. 이는 같은 기간을 기준으로 노르웨이(16.1%p)와 중국(14.0%p)에 이어 세 번째로 컸다.
가계부채 비율의 순위도 이 기간 12위에서 7위로 5계단 뛰어올랐다.
한국보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국가는 스위스(127.6%), 호주(120.9%), 덴마크(116.8%), 네덜란드(106), 노르웨이(102%), 캐나다(100.4%)뿐이다.
스웨덴, 영국, 아일랜드, 포르투갈, 뉴질랜드는 한국보다 낮아졌다.
한국은 2014년 대출규제 완화와 기준금리 인하가 동시에 이뤄지며 가계대출 수준이 급격히 높아지기 시작했다.
정부는 2014년 8월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대출규제를 파격적으로 풀었다. 한국은행도 그때부터 다섯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인하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말 가계신용은 1천450조8천939조원을 기록했다.
연간 증가 규모가 2013년에는 55조2천461억원(5.7%)였는데 2014년 66조2천187억원(6.5%)으로 늘었고 2015년(117조8천400억원, 10.9%)), 2016년(139조4천276억원, 11.6%)에는 폭증했다.
지난해에는 금융불안 우려에 정부가 대출의 고삐를 죄고 한은이 6년 5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증가 규모가 108조3천671억원(8.1%)으로 다소 둔화했다.
올해 들어서도 증가세가 다소 주춤하다. 다만, 규제가 강화된 주택담보대출 대신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이 확대되는 모습이다.
가계대출이 경제 성장률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증가하면서 가계 소득대비 빚 부담도 커졌다.
한국 가계 부문 DSR(Debt service ratios)는 작년 3분기 12.7%로 전 분기보다 또 0.1%p 올라갔다. DSR는 2015년 2분기부터 쉼 없이 계속 상승했다.
DSR는 소득대비 부채 원리금 상환부담을 나타내는 지표로, DSR가 높으면 소득에 비해 빚 상환부담이 크다는 의미다.
한국 DSR 상승 폭은 조사대상인 주요 17개국 가운데 두드러지게 높은 편이다.
지난해(1∼9월) 들어 0.3%p 올라서 상승 폭 1위였다.
스웨덴과 노르웨이가 각각 0.2%p, 핀란드가 0.1%p 올랐다. 그 밖에는 변동이 없거나 아예 하락했다. 덴마크와 네덜란드가 0.5%p 떨어졌고 스페인과 독일은 각각 0.4%p, 독일은 0.2%p 하락했다.
비교 기간을 확대해봐도 마찬가지다. 한국은 2년간 1.3%p 치솟았는데 그다음으로 높은 스웨덴은 0.4%p 오르는 데 그쳤다.
<연합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