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경제, 안정적 성장 궤도에; 내수(內需)가 견인역 본문듣기
작성시간
관련링크
본문
“日 경제, 안정적 성장 궤도에; 내수(內需)가 견인역”
“향후 리스크 요인; ① 트럼프 정책 향방, ② 중국 경제 추이, ③ 美 ‘출구 전략’에 따른 신흥국 동요, ④ 지정학적 리스크, ⑤ 영국 Brexit 협상 진전” 大和總硏
ifs POST 대기자 박 상 기
최근 일본 정부가 발표한 Q2 (4~6월기) GDP 성장률 실적(1.0%, 연율 환산; 4.0%)이 시장의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것을 바탕으로, 日 다이와(大和)종합연구소(DRI)는 194차 (2017년 Q2) ‘일본경제예측’에서, 일본 경제는 2017년도에 전년도 대비 + 1.9%(전기 예측; 동 + 1.5%), 2018년도에 + 1.2%(동 + 1.1%)로 전망했다.
최근까지 일본 경제를 이끌어 온 외수(外需) 확대는 일단 발목이 잡혀 있는 상태이나, 내수(內需) 확대가 성장을 견인하는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주요 근거로는 ① 고용 환경 개선에 따른 소비 확대, ② 기업들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설비 투자 증대 지속 등의 요인으로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017년도 중에는 과거에 개인 소비에 정체감을 가져다 주었던 각종 요인들에 따른 악영향이 일순(一巡)되어 전망을 밝게 해주는 요인들이 되고 있고, 2018년도에는 이러한 호재들의 영향이 점차 옅어 지고 기업들의 설비투자 순환도 성숙되어 성장 속도는 다소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日 경제 견인역, ‘외수(外需)에서 내수(內需)로 전환’ 추세 확연’
이렇게, 일본 경제가 일반의 예상을 깨뜨리는 수준의 괄목할만한 성장 속도를 보이고 있는 것은 그간 일본 경제 성장을 견인해 오고 있던 외수(순수출)가 0.3% 감소한 것에 반해, 개인소비, 기업 설비 투자, 정부 지출 등 내수가 훨씬 큰 폭으로 상쇄하고 남는 양호한 실적을 보인 것이 주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우선, 일본 경제의 60% 내외를 차지하고 있는 개인소비 부문은 Q2(3~6월기)에 0.9%P 성장하여 실질 GDP 성장에 0.5% 기여했다. 이는 2014년 Q1 이래 가장 빠른 성장을 보인 것이고, 일반의 예상을 거의 2 배나 상회하는 것이다.
기업들의 설비 투자를 위한 자본적 지출도 훨씬 큰 폭의 성장을 이루어, 이 역시 일반의 예상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인 2.4%나 성장한 실적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기업 설비 투자 부문 실적도 2014년 Q1 이래 가장 빠른 성장을 보인 것이고, 일반 시장 예상을 2 배 이상 상회하는 경이적인 기록을 보인 것이다.
이에 더해 정부 부문의 수요도 1.3% 증가하여, 이들 3개 부문을 합한 내수(內需) 부문이 1.3%의 높은 성장을 시현하여 외수(外需) 부문이 0.3% 감소한 것을 충분히 보완한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 향후, 일본 경제에 관련한 리스크 요인들은 상존
DRI의 이번 경기 예측 분석으로는, 향후 일본 경제가 당분간은 내수가 견조한 추이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어, 민간 재고 움직임이나 수출 감속 등으로 인해 ‘경기 후퇴’ 혹은 ‘경기 전환점’에 빠질 리스크는 작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경제의 금후 리스크 요인들은 주로 해외 부문에 집중되어 있어, 무엇보다도 미국 트럼프 대통령 정권의 리더십이 불안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각종 핵심 정책들이 표류하고 있는 점을 가장 큰 리스크 요인으로 꼽고 있다.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재정 집행과 관련한 적자 한도 증액 문제를 둘러싸고 여당 공화당 지도부와도 불협화음을 내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더해 일본 경제에 대해 중요한 교역 파트너 국가인 중국의 경제 상황이 계속 혼미를 거듭하고 있다. 가장 큰 이유가 국가 지도부 개편과 관련한 중대한 결정을 하게될 공산당 당대회를 올 가을로 앞두고 있어, 시 주석을 중심으로 한 정치적 암투가 본격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불안을 가중시키는 상황이다.
이 외에도, 미 연준의 완화적 금융정책의 긴축으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출구 전략’이 본격화하면 신흥국들의 경제가 영향을 받아 요동칠 가능성, 북한 핵 개발을 비롯하여 세계 각지에서 불거지고 있는 지정학적 분쟁을 배경으로 한 ‘리스크 오프(risk off)’ 현상, 영국과 EU 간의 Brexit 협상 진행 및 유럽 금융기관들의 신용 감축(deleverage) 등이 잠재적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BoJ 금융정책은 여전히 ‘디플레이션과의 장기전’ 예상
한편, 중앙은행 日銀(BoJ)은 과거 수 십년 간에 걸쳐서 일본 경제가 당면한 최대의 난적(難敵)의 하나로 여겨져 온 디플에이션 탈출을 시도해 오고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상궤를 벗어난 각종 예외적 정책 수단들을 동원해 오고 있으나 좀처럼 기대하는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어, 향후 BoJ의 정책 방향도 관심의 대상이다.
현재로써는 작년 9월 도입한 새로운 금융정책의 틀을 근간으로 하여 ‘디플레이션과 장기전’ 을 벌여나간다는 종전의 정책 방향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소비자물가(CPI)를 중심으로 약간의 상향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은 숙원인 디플레이션 탈출에 아주 미세하나마 기대를 모으고 있는 점이다.
일본 정부 총무성이 지난 25일 발표한 7월 전국 소비자물가지수(CPI; 2015년=100)는, 변동성이 큰 생선(生鮮) 식품을 제외한 종합지수가 100.1로 나타나, 전년 동월대비 0.5% 상승했다. 이는 7개월 연속 상승한 결과가 된다. 또한, 이는 ‘일경(日經) QUICK 뉴스(NQN)’가 집계한 시장 예상치 평균의 중앙치와 일치했다. 이와 함께 발표된 8월 (중순 기준) 도쿄지역 CPI 속보치(2005년=100)도 생선 식품을 제외한 종합지수가 100.1로, 전년 동원대비 0.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제반 경제 상황을 감안해 보면, 아직은 장기적 추세를 판단하기는 이르나, 일본 경제가 본격적인 경제 성장에 따른 경기 활황 국면으로 들어가는 조짐은 충분하다는 판단이다. 그렇게 되면, 드디어 일본 경제의 가장 큰 숙원이자 경기 상향의 최대 장애(障碍) 요인이었던 디플레이션을 본격 탈출하는 것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성급한 기대도 나오기 시작하고 있다. (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