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증가폭 석달째 10만명대 늪에 빠져…제조업마저 줄었다 본문듣기
작성시간
관련링크
본문
3개월째 10만명대는 금융위기 이후 처음…도소매·교육서비스도 부진
통계청 "기저효과와 인구구조 변화 고려해야 하지만 좋은 수치는 아냐"
제조업 취업자 감소 여파로 취업자 증가 폭이 3개월째 10만명을 겨우 넘는 수준에 그치며 고용시장 불안이 지속하고 있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4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686만8천명으로 1년 전보다 12만3천명 증가했다.
취업자 증가 폭은 지난 2월부터 10만명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월 33만4천명에서 2월 10만4천명으로 확 줄어든 뒤 3월 11만2천명에 이어 지난달 또다시 10만명대를 기록한 것이다.
취업자 증가폭이 3개월 연속 10만명대에 머문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시절 이후 처음이다.
금융위기 당시엔 2008년 9월부터 2010년 2월까지 10만명대에 머물거나 더 낮았으며 뒷걸음질 친 때도 있었다.
산업별로 보면 증가세를 이어갔던 제조업의 악화가 두드러졌다.
2017년 6월부터 10개월 연속 취업자가 증가했던 제조업은 지난달 6만8천명 줄어 감소로 전환했다. 의료정밀기기나 기타운송장비 감소 폭이 크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조선업 등 구조조정의 여파가 제조업에 남은 것으로 보이고 제조업 생산 지표 등이 2∼3월에 좋지 않아 후행성이 있는 고용 지표에 악영향을 끼쳤다"며 "전자 부품 등 취업자 수 증가가 있었던 산업의 증가폭은 둔화했고, 기존에 감소한 산업은 그대로 유지됐다"고 설명했다.
도매 및 소매업은 6만1천명 감소했고, 숙박 및 음식점업과 교육서비스업도 각각 2만8천명, 10만6천명 줄었다.
도매 및 소매업은 제조업 감소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숙박 및 음식점업 감소는 중국인 관광객 수가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고, 포화상태라 조정 국면을 맞는 상황도 있다고 통계청은 전했다.
6개월째 감소세인 교육서비스업은 학생 수 감소와 대학 구조조정의 영향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이에 반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4만4천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8만1천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늘었다.
작년 10만명대 이상을 기록하기도 했던 건설업 취업자 증가폭은 3만4천명에 그쳤다. 통계청은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풀이했다.
2개월째 감소하던 자영업자는 1년 전보다 2천명 늘었다.
고용률은 60.9%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p) 내렸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6.6%로 보합이었다.
실업자는 116만1천명으로 1년 전보다 6천명 줄었다.
실업률은 4.1%로 1년 전보다 0.1%p 하락했다.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0.5%p 하락한 10.7%였다.
실업률이 하락한 이유는 작년에는 4월이었던 사회복지 직렬 공무원 시험 시기가 올해는 5월로 늦춰지면서 시차에 따른 요인도 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체감실업률인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23.4%로 0.2%p 하락했다.
지역별로 보면 울산과 전북의 고용률 하락과 실업률 상승이 눈에 띈다. 한국 제너럴모터스(GM) 등 구조조정의 영향을 피해가지 못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09만3천명으로 1년 전보다 13만4천명 늘었다.
육아, 재학·수강, 심신장애에서 감소했지만 쉬었음, 가사 등에서 증가했다.
빈현준 과장은 "작년 6월부터 증가세를 이어오던 제조업 취업자가 4월에 감소로 전환하면서 전체 취업자 증가 폭이 3개월 연속 10만 명대 기록했다"며 "작년 4월 취업자 증가 폭이 42만 명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과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인구증가 폭이 20만명대 중반 정도로 과거보다 못하기 때문에 취업자 수 증가가 예전처럼 30만명대로 증가하는 것은 경기에 특별한 요인이 없으면 인구 구조상 어렵다"며 "그럼에도 3개월 연속 10만 명대는 과거에도 많지 않기 때문에 좋다고 표현하기는 어렵다"고 평가했다.
<연합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