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뉴스

中 경제 ‘견조한 성장세’ 유지하나 우려 요인도 산적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8년04월20일 20시27분

작성자

메타정보

  • 28

본문

- 금년 Q1 GDP 성장률; 전년 대비 6.8%, 前 사분기 및 시장 전망치 일치
- 3월 소매 판매; 전년 동월 대비 10.1% 증가, 전망치(9.7% 증가) 상회
- 3월 제조업 생산; 전년 동월 대비 6.0% 증가, 예상치(6.3% 증가) 하회
- 3월 말 현재 ‘도시 실업률(urban-surveyed jobless rate)’; 5.1%로 양호

 

편집실

 

중국 경제가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그 중에도 개인 소비(consumer spending)가 아직은 ‘견조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주목할 상황이다 (Bloomberg). 이는 중국 경제가 글로벌 경제를 지지하고 있음을 증명함과 동시에, 중국 정부로 하여금, 과잉 채무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여지를 다소 넓혀 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英 Financial Times紙는 중국의 Q1 GDP 성장률 6.8%는 목표치를 상회하는 것으로, 작년에 예상 외로 강력했던 무역흑자가 기여했던 점을 감안하면, 일반적으로 우려됐던 것보다는 양호한 실적이라고 총평하고 있다. 그러나, ① 미국과의 무역 분쟁, ② 과잉 부채 해소를 위한 금융 긴축 강화, ③ 고삐 풀린 부동산 가격 고등(高騰) 등, 3 가지 요인들로 인해 금년에는 역풍에 직면하고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한편, 아직까지는 중국 경제의 중심 축을 구성하고 있는 제조업 부문(industrial sector)은 다소 ‘완만한 둔화(modest slowdown)’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일단, 6.8% 성장률은 “6.5% 전후” 라는 2018년 목표는 상회한 것이다. 최근의 중국 경제 현황을 전하는 해외 언론들의 보도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한다.

 

■ “中 GDP 성장률 ‘횡보(橫步)’ 유지, ‘금융 안정’ 추진할 호기”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금년도 1 사분기 GDP 실적은, 물가 변동을 제외한 실질 기준, 전년 동기대비 6.8% 증가, 작년 Q4 성장률 대비 ‘횡보(橫步)’했다. 인프라 건설 등 투자 활동이 부진한 가운데, 금융 규제 강화로 부동산 판매 실적’도 저조했으나, ‘소매(retail)’ 부문이 다소 견조한 성장을 보인 결과로 나타났다.


한편, 美 · 中 무역 마찰은 향후 수출 증가 전망이 더욱 불투명하게 해서 중국 경제 불안정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Nikkei). 블룸버그 통신은, 최근 중국 경제가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은, 시진핑 정권에 대해서는 빈곤 퇴치 및 환경 오염 방지라는 목표와 함께, 가장 중요한 국가 목표의 하나로 삼고 있는 ‘금융 안정’이라는 과제를 추진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보도하고 있다.


GDP 실적치와 별도로 발표한 경제 통계를 보면, 주택 · 공장 등 고정자산 투자는 1 사분기에 전년 동기대비 7.5% 증가했으나, 성장률은 전년 동기 9.2%에 비해 축소됐다. 그 가운데에는, 도로 및 항만 등 인프라 건설에 대한 투자 성장률이 전년 동기 23.5%에서 1 사분기에 13%까지 감축된 것이 주요인으로 꼽힌다.


부동산 판매도 저조했다. 1 사분기 판매 면적은 전년 동기대비 3.6% 증가하는 것에 그쳐, 전년 동기 19.5% 증가 대비 대폭 감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버블을 억제하기 위해 대도시를 중심으로 엄격하게 판매 규제가 이어지고 있고, 감독 당국 주도로 은행들의 주택 담보 대출에 대한 심사가 엄격해진 것이 원인이다.


한편, 개인 소비는 바탕이 견조하기는 해도, 활력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백화점, 수퍼 등의 매출 및 인터넷 판매 등을 합친 일반 소매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9.8% 증가했으나, 증가율은 전년 동기의 10.0%에 비해 약간 하락했다.

 

■ “中 경제 성장세는 견조하나, ‘소비 부진’을 우려할 요인도 상존”
2018년 1 사분기 GDP 성장률을 전기 대비 성장률로 보면 1.4%로, 2017년 4 사분기의 1.6%보다 감속한 것이다. 선진국 산출 방식대로 전기 대비 성장률을 연율로 환산한 성장률은 5.7%로 나타났다. 한편, 체감 경기에 가까운 명목 성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10.2%로, 2017년 4 사분기의 11.1%보다 약간 감속했다 (Nikkei).


CCB International Holdings Ltd. (Hong Kong) 거시경제 선임연구원 리(Cui Li)는 “특히 소비가 강력해서, 재조정(rebalancing) 현상과 일치하는 것으로 본다” 고 말했다. 블룸버그 이코노미스트들(Tim Orlik & Fielding Chen)도 중국 경제의 GDP 성장이 완만한 성장을 유지하고 있는 것은, 보호주의 및 채무 감축(deleveraging) 과정에서 오는 위협을 떨쳐버리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낙관하고 있다.


아울러 이들 전문가들은 “그렇다고 해도, 명목성장률이 낮은 것은, 2017년 중 높은 이익 및 채무 상환 능력 축적을 주도했던 제조업 부문 ‘리플레이션(통화 再팽창)’이 하향 전환하고 있음을 경고하는 신호로 받아들일 수 있다” 고 경고한다.


이번 중국 통계국의 경제 실적 발표에서 특기할 것은 ‘소매 판매’로, 1 사분기에 무려 35.6%나 증가한 온라인 판매에 힘입은 것이다. 경제 활동을 견인한 또 다른 항목은 환경 보호 관련 투자가 같은 기간에 34.2%나 증가했다. Nikkei는, 美 · 中 무역 마찰에 가려서 눈에 띄게 드러나지는 않으나, 중국 소비가 활력을 보이지 못하는 것은 높은 부동산 가격을 무리하게 유지해 온 여파가 되돌아온 것이라고 보고 있다. 즉, ‘부동산 버블이 소비를 집어 삼켰다’고 비유한다.


중국 경제에 이변이 속출하고 있는 것은 소매 매출 만이 아니다. 2018년 ‘츈지에(春節) 연휴’ 기간 중 소비 증가율은 현행 통계 개시 후 최저를 기록했다. 2017년 스마트폰 출하 대수는 처음으로 전년 실적을 하회했다. 종합적으로, 2017년 4 사분기 GDP 성장률에 대한 ‘소비’의 기여도는 3.1P로 2015년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 “부동산 가격 고등(高騰), 부채 문제 가중, 빈부 격차 확대 일로”
국제결제은행(BIS)이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가계부채/GDP 비율은 2017년 6월 현재 47%로, 선진국들에 비해 수준 그 자체가 그리 높은 편은 아니다. 그러나, 동 비율이 지난 10년 간 28%P나 급격히 상승했고, 이는 금융 위기 직전 미국 상황과 흡사하다. 더욱이, 중국에는 집을 살 때 개인적으로 차입하는 관습이 있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가계부채 규모는 이보다 훨씬 높을 것으로 짐작된다.


한편, 부동산 가격 고등(高騰)으로 빈부 격차도 확대되고 있어 우려가 깊어지고 있다. 베이징 · 상하이에는 다수의 아파트를 소유한 부유층이 밀집되어 있어, 이들은 점점 더 부유하게 되어가는 실정이다. 가계 조사에 따르면, 중간층의 소득 증가는 축소되고 있는 반면, 고소득층은 2016년, 2017년 연속 소득 증가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빈부 격차를 나타내는 ‘지니(Geni) 係數’도 2년 연속 상승했다.


시(習) 정권도 위기감을 느껴, 지난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全人代)에서 소득세 과세 하한을 인상한다고 발표하며 서민층의 실질 소득을 늘려서 달래 보려고 노력했으나, 막대한 가계 부채 규모를 감안하면 뜨거운 돌에 물 붓는 것과 다름없다.


자산 가격이 상식 밖으로 고등(高騰)하면 이에 따른 리스크를 누군가가 어떤 형태로든 부담하지 않으면 안 된다. 중국 정부는 과거 선진국들의 실패 사례를 참고하여 ‘버블’을 폭발하게 해서는 안된다고 믿고 있고, 중국 공산당은 강권을 동원하여 부동산 버블도 그런대로 통제해 오고 있으나, 개인 소비 침체라는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강력한 ‘통제’ 정책에는 시장 ‘가격 기구’가 작동하지 못하게 되어 항상 문제를 미루기만 하게 되는 함정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 Nikkei “中 경제에 ‘美 · 中 무역 마찰’이 가장 큰 우려 요인”
日經(Nikkei)가 지난 4월 초 중국 현지 이코노미스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QUICK NEWS) 결과, 향후 메인 시나리오는 ‘量’에서 ‘質’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는 시 정권의 방침을 반영, ‘완만한 감속(減速)’이 이어질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금년 성장률은 6.7%, 2019년에는 6.3%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나, Nikkei는 현재 가열되고 있는 美 · 中 간 무역 마찰이 자칫 ‘美 · 中 무역 전쟁’으로 발전되는 경우에는, 중국 경제의 근본이 흔들릴 수 있는 상황을 불러올 수도 있다는 심각한 경계의 목소리가 현장에서 강해지고 있다고 보도하고 있다.


동 조사에 참여한 18명의 중국 이코노미스트들은 ‘향후 중국 경제를 뒤흔들 수 있는 우려 요인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15명이 ‘美 · 中 무역 전쟁’을 꼽았다. 그 중 10명은 ‘가장 중대한 요인’ 이라고 답했다. 여태까지는 ‘금융 긴축’ 및 ‘부동산 시황 조정’ 등을 꼽았으나, 중국 현장 경제에는 지금 벌어지고 있는 美 · 中 무역 마찰에 대한 경계감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음을 반영한 것으로 관측된다.


ABN AMRO의 한 전문가는 “사태가 어떻게 진전될지 알 수 없고, 불확실한 점이 많아 리스크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고 지적하면서, 금년에는, 수출 호조가 지탱해 온 중국 경제에 ‘무역 마찰’이 커다란 시장 변동 요인이 될 것이다” 고 우려한다. Bank of China (HK) 차이(蔡永雄)씨는 “세계 경제는 바닥을 벗어나고 있음에도, 보호주의의 부상 등, 외부 환경은 대단히 불투명하다” 고 우려를 토로한다.


그럼에도, 美 · 中이 전면적인 무역 전쟁으로 돌입할 것으로 보는 견해는 아직은 소수 의견이다. AXA Investment Managers Asia 야오(姚遠)는 “무역 전쟁은 미국과 중국 쌍방이 모두 패배자가 되는 것이므로, 중국은 보복보다는 시장 개방 등 당근을 제공하면서 對美 관계에 원만하게 대처하려고 할 것이다” 고 예상하고 있다.

■ ​“習 정권의 ‘量’보다 ‘質’을 추구하는 정책 노선’은 유지될 듯‘
習 정권은 2017년 10월 열린 전국공산당대표대회(‘全人代’) 이후, 경제 성장의 ‘量’보다 ‘質’을 중시하는 자세를 강조해 오고 있다. 정부 주도로 인프라 투자를 증대하는 방식으로 경제 성장을 떠받치는 모양세보다는, 환경 오염 및 빈부 격차에 대한 불만 해소에 중심 축을 두고 있음이 선명해진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중국 지도부가 무리하게 성장을 유지하는 것에 집착하기보다는, 중국 경제를 보다 완만하게 감속 추세로 이끌어 가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중국 경기를 뒷받침하고 있는 수출이 美 · 中 무역 마찰로 급격히 충격을 받게 되면, 생각지도 못하게 경제 성장이 실속(失速)할 수 있다는 리스크도 배제하기 힘든 상황으로 보인다.


Nomura Holdings Inc. (싱가포르) 아시아(ex-Japan) 주임 이코노미스트 수바라만(Rob Subbaraman)은 “3월 지표들은 주로 전통 경제 부문에 성장 둔화가 진행되고 있다는 초기 신호를 보이는 것이다” 고 말한다. 그는 “향후 몇 개 사분기 동안에 새로운 부문에서의 성장이 현재 과도한 차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통 부문의 성장 둔화를 충분히 상쇄할 것으로 기대하지 않는다” 고 말한다. 그는 “이것은 중국 경제 성장의 질(質)을 향상시키는 데 필요한 조정일 뿐이다” 고 평가한다.


더욱이, 지금 시 주석이 추진하고 있는 ‘금융 리스크’와 ‘환경 문제’에 대한 본격 대응 및 미국과 무역 긴장이 고조되는 경우, 역풍이 더욱 거셀 것으로 전망한다. UBS Group AG은, 금년 하반기에 제조업 투자, 개인 소비 및 해외 수요가 충격을 완화할 것으로 보이나, 부동산 및 인프라 부문 활동은 약화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ANZ Banking Group Ltd. (HK) 영(Raymond Yeung) 中華圈(Greater China) 경제 주임 이코노미스트는 “제반 상항을 고려하면, 2018년에는, 비록 하반기에 중국 경제가 성장 목표를 달성할 수는 있다고 해도, 성장이 다소 둔화될 것’ 이라고 전망한다. 그는 “이런 상황은 이제 본질적인 구조 개선 문제, 특히, 과잉 부채 문제 해소와 관련한 이슈들을 거론할 계기를 제공해 준다” 고 판단한다. <ifs POST>
 

28
  • 기사입력 2018년04월20일 20시27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