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준 『자산 축소 10월 개시 · 연내 금리 인상 시사』 본문듣기
작성시간
관련링크
본문
글로벌 금융 위기로 인한 『양적 완화』 노선 종결, 새로운 『금융 긴축』 시대 개막
ifs POST 대기자 박 상 기
美 연방준비이사회(FRB; 이하 ‘연준’)는 현지시간 20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10월부터 연준 대차대조표 상에 보유하고 있는 美 국채, 주택대출 담보증권(MBS) 등 유가증권 자산을 축소하는 작업에 돌입할 것을 결정했다. 이날 결정으로 연준은 자산 형태로 보유 중인 국채 등을 ‘단계적으로’ 줄여 나가게 된다.
이번 결정으로, 美 연준은,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주; 미국 서브프라임 대출 파탄으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 및 경제 파탄 사태)에 대응하여 경제를 위기에서 구출하기 위한 긴급 조치 수단으로 도입했던 약 10여 년에 걸친 비정통적 금융 정책인 ‘양적(量的) 완화(Quantitative Easing)’ 정책을 완전히 종결함과 동시에, 향후 ‘금융 긴축’ 시대가 시작된다는 것을 선언하는 것이다. (NYT)
그런 의미에서, 이날 FOMC가 전원일치로 통화 정책의 ‘긴축’ 전환 (자산 축소)을 결정한 것은 향후 미국 경제가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확신하는 자신감을 표현하는 ‘역사적인 정책 결정’ 이라고 평가 받고 있다. 최근 미국 경제는 물가상승이 아직 정체하고 있고, GDP 성장률도 극적으로 활발해지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위기의 흔적이 남아 있기는 하나, 안정적인 확장 국면을 이어가고 있다.
영국 Financial Times는 이날 미 연준의 결정은 “위기 시대의 경기 촉진 프로그램을 벗어 던지고 정책 방향을 금리 인상 축으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하며, 지금 정체 중인 인플레이션이 반등할 것이라는 자신감의 표현” 이라고 평하고 있다.
글로벌 금융 시장은 이날 미 연준의 본격적인 ‘긴축 선언’에 적절하게 반응하고 있다. 이날 미 달러화는 가장 큰 수혜자로 등장하며 강세를 이어갔다. 금년 들어 10% 하락했던 DXY 달러화 지수는 이날 하루 동안에만 0.8% 상승했다.
아래에 이날 美 연준 FOMC의 역사적인 “쌍둥이 긴축 정책의 시발(始發)”을 선언하는 정책 결정과 관련한 주요 외신들의 보도 내용을 종합하여 정리한다.
<9월 20일 FOMC 결정 요지>
1. 경제 활동; 지난 7월 FOMC 회의 이후, 노동시장은 계속 강력함을 더해가고 있고, 경제 활동은 지금까지 완만하게 확대되고 있다. 최근 수 개월 간 고용 증가는 견조함을 유지하고 있고, 실업률도 낮은 수준에 유지되고 있다. 가계 지출은 완만하게 확대 중이고, 기업 투자도 몇 개 사분기 동안 증가하고 있다.
2. 물가상승률; 전년 동월 대비 기준으로 전체 물가상승률, 및 식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물가상승률은 금년 들어서도 2%를 하회하고 있다. 시장 인플레이션율도 여전히 낮다. 장기 인플레이션 예상도 여전히 대체로 변함이 없다.
3. 허리케인 영향 판단; FOMC는 법령에 정한 사명인 고용 극대화와 물가 안정을 실현하기 위해 진력한다. 허리케인 ‘하비’, ‘어마’, ‘마리아’ 등은 많은 지역 사회에 타격을 주었고, 심각한 피해를 주었다. 허리케인 피해 복구가 단기적으로는 경제 활동에 영향을 줄 것이나. 과거 경험으로 보면 중기적으로는 국가 경제의 진로를 크게 바꿀 가능성은 낮다.
4. 허리케인 이후 물가 전망; 가솔린 및 기타 품목 가격 상승으로 물가상승률은 일시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이런 요인을 제외하면 전년 동월대비 물가상승률은 단기적으로는 여전히 2%를 하회할 것이나, 중기적으로는 FOMC 목표인 2% 부근에서 안정될 것이다. 경기 전망은(하향 및 상향) 단기 리스크는 거의 균형을 이루는 것으로 보이나, FOMC는 물가 동향을 주시할 방침이다.
5. 단기 정책 금리(Fed Fund 금리) 유보; FOMC는 노동시장 현황 및 물가상승 실적 및 전망을 감안하여 (정책 금리인) Fed Fund 금리 유도 목표 범위를 1.0~1.25%으로 유보할 것을 결정했다. ‘완화적’ 정책 노선은 유지하나, 노동시장이 더욱 개선되고, 물가상승률이 2% 수준으로 회귀할 것을 기대한다.
6. 향후 Fed Fund 금리 인상 전망; FOMC는 향후 정책 금리(Fed Fund 금리 유도 목표 범위)를 조정하는 시기와 규모를 판단함에 있어서, 고용 극대화와 물가상승률 2%라는 목표와 비교하면서 경제 현황 실적 및 전망을 주시하며 평가해 갈 것이다. 노동시장 관련 지표 및 인플레이션 압력과 인플레이션 예상 지표, 금융 동향 및 국제 정세를 포함한 광범한 정보를 고려하여 판단할 것이다.
7. 당분간 Fed Fund 금리는 통상 이하로 운용; FOMC는 경제 정세는 Fed Fund 금리를 완만하게 조정해 갈 수 있는 형태로 진행해 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Fed Fund 금리는 당분간 FOMC가 장기적으로 통상적이라고 보는 수준 이하로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단, 실제로 Fed Fund 금리를 인상하는 형태는 향후 경제 데이터들이 보여주는 경제 전망에 따를 것이다.
8. 자산 축소는 10월부터 시작; FOMC는 2017년 6월 “정책 정상화 원칙과 계획에 첨부된 부록” 에서 설명한 대차대조표(Balance Sheet) 정상화 프로그램을 10월에 개시한다. 이상의 결정은 옐런 의장 및 더들리 부의장 등 9명의 의원들이 (전원 일치로) 내린 것이다.
■ 美, 9년 만에 ‘금융위기 대응’ 종료, 새로운 시대의 개막을 의미
美 연준은, 지난 2008년의, 1920년 말 일어난 대공황 이후 최대 경제 위기라고 불리는, ‘서브프라임(subprime) 주택담보대출’ 파탄 사태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 및 경제 위기 당시에, 수많은 논란 속에 주요국 중앙은행들과 보조를 맞춰가며 종전의 금융 정책 노선과는 궤를 달리하는 소위 ‘양적 완화(QE)’ 정책을 시작했다. 즉, 종전에 금리, 지불준비율 조정 등으로 대표되는 ‘질적(質的)’ 정책 수단이 아닌 ‘양적(量的)’ 목표를 정해 놓고 통화를 담대하게 공급하는 정책을 택했던 것이다.
그 결과, 글로벌 경제의 견인(牽引) 역할을 하는 미국 경제는 9년 연속 경기의 확장 국면을 이어오고 있다. 약 10년이 지난 뒤, 이제는 연준은 GDP 성장률, 인플레이션 동향, 고용 시장 호전 등 제반 거시 경제 요인들을 감안하여 ‘금융 정책의 일대 전환’을 시작할 시기라고 판단한 것으로 관측된다.
미 연준은 이미 2015년에 위기 이후 처음으로 금리를 인상하여 전환점을 마련한 데 이어, 어제 FOMC에서 양적완화 정책에 따라 2008년~2014년 동안 시장에서 매입한 미 국채 및 은행들이 발행한 주택대출 담보증권(MBS) 등을 다음 달 10월부터 단계적으로 축소(시장 자금 회수를 통한 긴축)를 시작하기로 결정한 것이다.
단, 연준은 이미 보유 유가증권 규모 축소 방법과 관련하여 현재 보유하고 있는 채권들을 시장에 매각하는 방법이 아니라, 해당 채권들이 만기가 도래하는 시점에서 연장(=재투자)을 하지 않는 방법으로 단계적, 완충적으로 시행할 것을 천명해 오고 있다. 연준 계획으로는 초기에는 기업의 자금 차입 비용 상승을 우려하여 매월 약 100억 달러 씩 줄여가되, 감축 규모를 최대 월 500억 달러 페이스까지 확대해 가는 방식으로 지극히 완만한 속도로 줄여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결국, 이러한 연준의 자산 감축을 통한 금융 긴축에 다른 기업 및 일반 개인들이 체감하는 차입 비용의 상승 폭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노무라 증권 미국 경제 주임 이코노미스트 알렉산더(Lewis Alexander)씨는 “(자산 감축에 따라) 금융 시장 사정이 아주 점진적으로 긴축되는 것을 느낄 것이다” 고 전망한다.
그러나, 이러한 지극히 점진적인 자산 감축 계획에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즉, 연준이 자산 감축을 느리게 가져 가는 것은 향후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을 재건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 옐런 FRB 의장 “물가 상승 정체(停滯)”에 곤혹감도
옐런(Janet Yellen) 연준 의장은 이틀 간의 회의를 마치고 가진 기자회견에서 미 경제에 대해 ‘기본적으로 낙관적’ 견해를 표명했다 (“The basic message here is U.S. economic performance has been good.”). 이에 따라, 연준이 10월부터 지난 6월 결정한 계획대로 단계적으로 자산을 압축해 나간다는 방침을 선언한 것이다.
그는 “Balance Sheet(보유 자산) 정상화 프로그램을 변경하기 위한 장벽은 높다” 는 우회적 표현으로, 경제 혹은 시장의 동향에 크게 구애 받지 않고, (자산 축소) 정책 계획을 변함없이 추진해 간다는 방침을 천명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더해, “금융 정책 조정에는 정책 금리 조작(操作)이 주요 수단” 이라는 견해도 피력, 향후, 금융 완화가 필요할 경우, 원칙적으로 금리 인하를 우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관심의 초점인 물가수준이 정체를 보이고 있는 것과 관련해서는, 금후 (인플레이션율이) 수 년 내에 2% 부근으로 회복하여 안정될 것이라는 전망을 바꾸지 않았다. 그러나, “특수 요인 만이 아닌 폭넓은 배경이 있다” 고 토로하며, 몇 해 전까지의 물가 상승 정체는 노동 시장 부진 및 에너지 가격 저하 등 지극히 잘 납득할 수 있는 요인들이 있었으나, 금년에는 이러한 요인들도 없음에도 물가 상승률 2% 하회라는 다분히 ‘미스테리’ 같은 것” 이라는 다소 곤혹스러운 심경을 표출했다.
이에 더해, 현상의 물가 정체가 사람들의 인플레 심리 저하로 이어지면 걱정이다” 는 우려도 내비치면서, “인플레이션을 가져 오는 요인들에 대한 자신들의 파악은 불완전하다”는 견해도 솔직히 고백했다. 옐런 의장의 물가 동향에 대한 이러한 일련의 발언들은 ‘2% 인플레이션 회복을 전제로 한 금리 인상 계속’ 시나리오가 불확실해지고 있다는 인상을 내비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Nikkei)
■ 금년 ‘12월 회의에서 추가 금리 인상’ 관측 강해져
이날 FOMC에서는 지난 6월 회의에서 금리(단기 금융시장 정책 지표인 Fed Fund 금리 유도 목표; 현재 연 1.00~1.25%) 인상을 유보했던 것에 이어 이번에도 유보했다. 그러나, 동시에 공표된 ‘금융정책전망 보고서’ 에서는 다수 정책위원들이 연내에 한 차례 금리 인상을 단행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를 근거로, 시장에는 12월 FOMC에서 금리를 추가 인상할 것이라는 관측이 강해지고 있다.
이날 FOMC에 참석한 16명의 정책위원 (그 가운데 금융정책 결정에 투표하는 위원은 9명) 가운데, 12명에 달하는 대다수 위원들이 금년 말까지 추가로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FOMC는 종전부터 금년 중에 3 차례 금리 인상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었다.
지금 시점에서도 일부 경제 지표들만 보면 금리 인상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8월 실업률은 4.4%로, 대부분의 정책위원들이 지속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수준을 밑돌고 있다. 게다가, 연준 관리들은 내년에는 실업률이 4.1%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연준은 지난 3월 및 6월 FOMC 회의에서 금리를 인상한 바가 있고, 현재 시장에는 물가가 상승하기가 여의치 않은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더해 허리케인 재해 영향도 있어 연내에는 추가 인상을 유보할 것이라는 견해도 있다. 경기 측면도 비록 지금까지는 양호한 추세를 보여왔다고는 하나, 역사적 기준으로 보아 아직은 ‘가속되고 있다는 조짐’ 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판단이 우세하다.
연준의 금년 내에 남겨져 있는 FOMC 회의는 10월 31일~11월 1일 그리고 12월 중순에 또 한 차례 열릴 예정으로 있으나, 시장에서는 연준이 12월 FOMC 이전에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장기 전망으로는, 2018년 3 차례, 2019년 2 차례 예상이 대세
연준 관리들은 내년 이후 금리 인상 전망에서는 그다지 큰 기대를 하지 않는 분위기를 보였다. 즉, 내년 이후의 장기 금융정책 전망에서는, 회의 참가자들 전망의 중앙치를 이루는 시나리오가 ‘2018년에는 3 차례, 2019년에는 2 차례’ 각각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는 예상이 대세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전망 수준은 지난 6월 회의에서 전망했던 ‘합계 3% 수준’을 하회하는 것이다.
더구나, 정책위원들 간의 통념 상, 금리 인상이 멈추게 되는 수준으로 여기고 있는 ‘정책 금리의 상한(上限)’을 2.75%로 상정하고 있어, 2019년부터 2020년에 걸쳐서는 금리 인상을 정지할 가능성도 시사되고 있다. 참고로, 이번 FOMC 회의 결과 발표 이후 CME 그룹이 행한 조사에 따르면, 금년 들어 3번째가 될 금리 인상에 대한 기대는 종전 57%에서 71% 수준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금융정책 정상화가 꼭 경제 정상화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이번에 연준(FRB)이 양적 완화의 완전 탈각을 의미하는 보유 자산 축소 개시를 결정한 것은 어디까지나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흐트러진 금융 정책을 정상 궤도로 되돌려 놓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렇다고, 이러한 결정이 미국 경제가 정상적인 성장 궤도로 올라섰다는 것을 확신시켜 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美 의회예산국(CBO)의 경제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경제의 순항 속도라고 볼 수 있는 잠재성장률은 1990년대에는 무려 3%에 달하던 것이 2017년 기준으로 1.8%까지 급격히 떨어져 있다는 보고도 있다. 이는 금융 위기 이후 기업들이 오랜 동안에 걸쳐서 설비 투자 등 자본 축적에 힘 쓸 여유가 없었던 결과로, 생산성이 저하하고 경제 전체의 활력이 떨어진 것으로 볼 수도 있다.
한편, 미국 노동시장은 완전고용에 근접해 있다고는 하나, 아직도 임금 상승율은 2.5% 정도에 머물고 있어, 글로벌 금융 위기 이전의 3~4%에는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임금 상승 압력이 약하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율도 오르지 않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지난 7월의 물가상승률은 전년 동월 대비 1.4%에 불과해 연준이 목표로 하고 있는 2%를 크게 하회하고 있는 실정이다.
옐런 의장의 발언대로, 잠재성장률 회복은 “금융 정책만으로는 대처할 수 없는 것”도 사실이다. 미국 경제가 활력을 되찾고 상승 궤도에 오르기 위해서는 지금 혼란 속을 헤매고 있는 트럼프 정권에 무거운 중압으로 작용할 것은 틀림없다.
한편, 이번 연준의 ‘긴축 전환’ 결정은 글로벌 경제 회복 기미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유럽중앙은행(ECB) 및 영란은행(BoE)도 각각 이러한 경제 추세에 공감하여, 양적완화 축소 혹은 금리 인상을 시사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글로벌 금융 정책 방향은 이제 위기 대응 체제의 완전 탈각에 도달한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 BIS, 각국 중앙은행들에 '균형 있는 정책 스탠스' 강조
반면, 전세계 중앙은행들 모임인 국제결제은행(BIS)은 글로벌 경제는 오랜 동안에 걸쳐 저금리에 익숙해 왔기 때문에 중앙은행들이 일제히 금리를 인상하면 글로벌 경제 회복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도 있을 것” 이라며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
BIS 수석 이코노미스트 보리오(Claudio Borio)씨는 “종전에 중앙은행들이 초(超)저금리 정책을 오랜 동안 지속해 왔기 때문에 채권 및 주식 가격이 기업들의 본원적 가치(fundamental value) 이상으로 상승됐고, 또한 기업들도 저금리를 이용하여 상당히 많은 부채를 축적해 왔기 때문에 글로벌 금리가 일제히 상승하기 시작하면 기업들이나 시장은 리스크에 직면하게 된다” 고 경고하고 있다.
이런 판단을 바탕으로 BIS는 각국 중앙은행들에게 ‘아주 섬세하게 균형을 갖추는 행동(delicate balancing act)’을 권고하고 있다. 이번 미 연준의 긴축 전환 결정은 글로벌 경제에 다양한 방면에서 막중한 영향을 미칠 것은 분명해 보인다. (* 참조; WSJ, NYT, FT, Nikkei 등) <ifs POS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