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실업률 24년래 최저, 유효구인배율 43년래 최고 본문듣기
작성시간
관련링크
본문
11월 실업률 2.7%, 유효구인(求人)배율 1.56배, 가계소비지출도 1.7% 증가
ifs POST 대기자 박 상 기
최근 일본 경제가 5년 연속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일본 정부가 오늘 발표한 11월 고용 등에 관련된 지표들도 따라서 호전(好轉)을 계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고용 지표들의 호전은 장기간 경기 회복 국면을 이어가고 있는 일본 경제가 전향적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증거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일본 경제에는 과제도 많이 남아 있다. 그 중에서도 일본 경제의 가장 큰 숙제는 ‘2% 물가 안정 목표 달성에 따른 디플레 탈각”이다. 그러나, 일본 경제 ‘비원(悲願)의 디플레 탈각’은 아직도 먼 장래의 목표로 남아 있다는 자체 평가다.
일본 경기는 대규모 금융 완화가 유도한 엔화 약세 기조에 힘입어 수출이 순조롭게 회복되어 성장을 뒷받침해 온 것이 사실이다. 만일, 일본은행이 금융 완화 기조를 거두게 되면 엔화 강세로 돌아서게 되면, 따라서 수출에 그림자가 드리우게 되고 외국인 방문도 위축되어 디플레 탈각은 더욱 멀어질 우려가 남아 있다. 이하, 일본 경제의 현재 상황을 일본 언론들의 보도를 중심으로 정리한다.
■ 11월 실업률 2.7%, 24년만에 낮은 수준, 전월대비 0.1% 하락
일본 총무성이 26일 발표한 11월 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완전실업률(계절조정치)이 2.7%로, 전월대비 0.1% 하락했다. 5개월 만의 하락(개선)이고, 실업률 2.7% 수준은 1993년 11월 이래 최저 수준을 기록한 것이다. Nikkei가 시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사전에 조사한 ‘QUICK’ 결과, 시장 예상의 중앙치는 2.8%이었다.
완전실업자수는 185만 명으로, 2만 명이 감소했다. 이 가운데, 근무처 사정 및 정년 퇴직 등으로 직장을 잃은 ‘비자발적 이직(離職)’은 2만명이 증가했고, ‘자발적 이직’은 4만 명이 감소했다. 취업자수는 6,558명으로, 14만 명이 증가했다.
* 주; ‘완전실업률’이란, 일본이 사용하는 전형적인 실업률 지표로, 일을 할 의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경제 활동 인구 중 1시간도 유급 노동을 하지 못하는 실업자를 노동력 인구로 나눈 백분율을 의미함
■ 11월 유효구인(求人)배율 1.56배로, 43년 10개월만에 높은 수준
한편, 日 후생노동성이 26일 발표한 11월 유효구인배율은 전월 대비 0.01P 상승한 1.56배로, 2개월 연속 상승했다. 이는 1974년 1월 1.64배를 기록한 이후 거의 4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난 것이다. 기업들의 구인(求人)이 증가하고 있는 한편, 구직(求職)자 수는 감소하고 있는 것을 반영한 것이다.
정규직 사원인 구인 배율은 1.05배로, 전월 대비 0.02P 상승했다. 이는 2004년 11월 동 통계 집계를 개시한 이래 가장 높은 배율을 기록한 것이다. 고용의 선행 지표로 여겨지고 있는 신규 구인배율은 전월 대비 0.01P 높은 2.37배로 나타나, 1973년 11월의 2.36 배를 상회하면서 사상 최고 수준을 경신한 것이다.
기업들의 구인을 업종별로 나누어 보면, 운수업, 우편(郵便)업, 학술 연구, 전문 기술 서비스업, 제조업 등 순서로 구인의 증가가 눈에 띄고 있다.
■ 11월 전국 소비자물가도 0.9% 상승, 11개월 연속 상승 기록
한편, 日 총무성이 26일 발표한 11월 전국소비자물가지수(CPI, 2015년=100)는, 생선(生鮮) 식품을 제외한 종합지수가 100.7로, 전년 동월대비 0.9% 상승했다. 11월의 동 지수 상승으로 11개월 연속 상승 추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Nikkei가 집계한 ‘QUICK’ 시장 예상의 중앙치는 0.8% 상승이었다. 지난 10월에는 0.8% 상승했었다. 생선 식품 및 에너지 품목을 제외한 종합 CPI 지수는 101.0으로, 0.3% 상승했다. 생선 식품을 포함한 종합지수는 100.9로, 동 0.6% 상승했다.
동시에 발표한 지역별 CPI 지수에서, 도쿄 도구(都區)부의 CPI(중순 속보치, 2015년 = 100)은 생선 식품을 제외한 종합지수가 100.3으로, 0.8% 상승했다. 생선 식품을 포함한 종합지수는 1.0% 상승했다.
■ 가계소비지출 전년 동월대비 1.7% 증가, 세대당 27만7,361엔
日 총무성이 26일 발표한 11월 가계조사(속보) 결과, 1 세대 (2인 이상)당 소비지출은 27만7,361엔으로 나타났다. 이는 물가변동 영향을 제외한 실질 기준으로 전년 동월대비 1.7% 증가한 것이다. 동 금액은 3개월만에 증가로 나타난 것이다.
소비 항목별로는 ‘가구 · 가사 제품’이 무려 20.1%나 증가했다. 세탁기, 냉장고 등의 교체 매입이 증가한 것이 기여했다. 다음으로 외식(外食) 부문이 2.2% 증가하여 호조를 보였고, 11월에 연휴가 많았던 것이 큰 원인으로 보인다. 기간 중 낮은 기온이 유지되어 겨울 용 피복 및 신발류 항목의 소비도 3.7% 증가했다.
동시에 발표된 봉급자 세대 수입(收入; 물가변동 영향을 제외한 실질 기준)은 1.8% 증가한 44만3,186엔으로 나타났다. 이는 6개월 연속 ‘플러스’로 증가한 것이다. 日 총무성은 “소비지출이 변동하기 시작하고 있다” 고 판단하고 있다.
■ Nikkei “소비자물가 ‘2% 상승’ 조기 달성 목표는 사라져”
한편, Nikkei는 11월 전국 CPI가 전년 동월대비 0.9% 상승한 것에 대해 “상승 속도가 조금씩 가속되고 있고 물가지수 수준도 1997년 이래 20년만에 최고 수준에 달하고 있으나, 견인 역할을 한 가솔린 및 전기료 등 에너지가 0.6% 분을 차지하고 있어, 에너지를 제외한 상승률은 0.3%에 불과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일본은행(BoJ) 구로다(黑田東彦) 총재는 26일 經團連 회의에서 2%라는 물가 안정 목표를 “실현되기까지는 아직 거리가 있다” 며, 현 경제 현상에 대해 “경기 확대 및 노동 수급의 긴축에 비해 물가는 약한 움직임에 머물고 있다” 고 언급했다.
구로다(黑田) 총재는, 그러나, 생선 식품 및 에너지를 제외한 CPI가 2013년 10월 이래 약 4년 간에 걸쳐서 ‘플러스’를 이어가고 있는 것에 대해 “이러한 상황은 1990년 이후 처음으로 나타나는 일이다” 고 지적하면서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한다는 의미에서의 디플레이션은 사라졌다”고 언급했다.
한편, 일본 정부는 경제 회생의 숙원 과제인 ‘디플레이션 탈각’을 위한 기준으로 경제 전체의 물가 동향을 대표하는 ‘국내총생산(GDP) Deflator’ 등 4 가지 지표를 중시하고 있다. 2017년 Q3 (7월~9월기)에는 이들 4 가지 지표가 모두 ‘플러스’가 되어, 일본 정부의 내각부는 ‘국면 변화의 상태에 있다’ 는 분석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일본 경제에서 물가 상승 흐름을 명확한 디플레 탈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소비의 바탕을 부추겨 올리는 임금 인상이 지속될 것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이 공통된 인식이다. 이에 따라, 아베 총리는 26일, 經團連 회의에서 “오랜 염원인 디플레 탈각을 실현하기 위해 반드시 내년 봄철을 계기로 강력한 3% 임금 인상을 기대한다” 고 강조하고 있다.
■ 일본은 ‘독보적 금융 완화’ 유지에 고민이 가중되는 상황
한편, BoJ는 5년 전, 디플레 탈각을 위해 2년을 염두에 두고 ‘2% 물가상승’을 목표로 선언했다. 그 동안, 달성 시기를 여섯 차례나 연기해 오는 동안 2014년 10월에는 추가 완화 조치를 취하고, 2016년에는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하고, 이어서 ‘장 · 단 금리(yield Curve)’ 조작에 돌입하는 등, 온갖 정책 수단들을 총동원해 왔다.
그럼에도, 日 당국의 고민은 美 · 유럽 등 중앙은행들과 금리 정책의 차이를 더 이상 유지할 수가 있을까, 하는 것이다. 美 연준은 물가 수준이 상승하지 않는 상황을 이해하기 어려운 ‘수수께끼’ (옐런 FRB 의장)라고 규정하고 이미 금리 인상 및 자산 압축 등 금융 긴축을 진행하고 있다. 현 경기 회복 국면이 언젠가는 후퇴할 것에 대비해여 금리 인하 등 정책 수단의 여지를 확보하려는 결정인 것이다. 유럽중앙은행(ECB)도 마찬가지로 금융 완화 축소 방향에 돌입하고 있다.
주요국 경제에 경기가 양호함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점처럼 오르지 않는다는 상황이 공통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서구 국가들은 인식의 근저에 물가는 언젠가는 오르게 마련이라는 뿌리깊은 믿음이 깔려 있는 반면, 일본에는 기업들이 가격을 올리지 않고 감내하기 쉬워, 물가가 오르지 않는 불가해한 상황은 더욱 현저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 정책 당국은 언젠가 찾아 올 경기 후퇴에 대비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다. 금융 완화 축소에서 서구 국가들에 너무 뒤쳐진 채 지나면 경기 후퇴에 들어서 금리 인하 여지가 좁아 엔고를 불러오게 될 것은 쉽게 점칠 수 있다. 일본 정부는 향후 당분간 금융 완화를 끈기 있게 유지하면서도 다음 상황에 대비해야 하는 과제가 내면에서 커가는 상황에 처해 있는 것이다. <ifs POS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