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한미 금리역전폭 1%p 넘기나…외국자본 '엑소더스' 우려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8년09월30일 16시38분

작성자

메타정보

  • 14

본문

미국은 내년까지 4차례 더 올릴 가능성…한국은 인상 쉽지 않아
"금리격차 0.25%포인트 확대 때 외자 15조원 이탈 촉발 가능성"

 
 한국과 미국의 정책금리 역전이 7개월째 계속되고 역전폭도 커지면서 한국 경제에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당장 외국인자금 '엑소더스'는 나타나지 않고 있지만, 역전 폭이 더 커진다면 현실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30일 정부와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지난 26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연 1.75∼2.00%에서 2.00∼2.25%로 0.25%포인트 올렸다.

현재 한국의 기준금리는 1.5%로 양국간 금리격차는 0.75%포인트로 커졌다. 2007년 7월 이래 11년 2개월 만에 가장 큰 차이다.

4381a20f4fa9fb0af95ab29b8d6b864c_1538293


정부는 일단 급격한 외국인자금 유출은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남북관계 개선과 함께 한국의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고, 10억 달러 규모 외평채 발행에 성공한 점, 한국의 외국인 투자자금 가운데 70% 이상이 중장기 투자자금인 점을 그 이유로 들고 있다.

자금이 단순히 정책금리 역전만으로 유출되지는 않는다는 판단이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지난 27일 "우리나라의 건실한 경제 기반이나 과거 사례를 고려할 때 외국인 자본의 급격한 유출 등 시장 충격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도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가 예견된 것이었고 전망도 시장 예상을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며 "국내 금융시장이 큰 영향을 받진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미국 금리 인상 직후인 27일 서울 외환시장 원/달러 환율은 소폭 하락하며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문제는 미국이 앞으로도 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할 전망이라는 점이다. 연준은 12월에 한 차례 더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내년에는 세 차례, 2020년에는 한 차례 인상을 시사했다.

하지만 한국 경제 여건은 미국과 달리 금리를 올리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8월 취업자는 1년 전보다 3천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9월에는 마이너스가 될 가능성까지거론되며 하반기에 어려움이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정부 안에서도 나오고 있다.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도 하향 조정되고 있다. 정부도 3%를 포기하고 2.9%로 내렸다. 바깥 시선도 다르지 않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3.0%에서 2.7%로, 아시아개발은행(ADB)은 3.0%에서 2.9%로 각각 내렸다.

올해 들어 기업의 설비·건설투자가 크게 위축되고 있으며, 시장과 기업의 활력이 저하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금리를 올리면 투자가 움츠러들 수 있으며, 1천5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 이자 부담도 커지며 재차 경기를 압박할 수 있다.

10월이나 11월 한은이 금리를 올릴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지만, 쉽사리 올릴 수 없을 것이라는 반론이 나오는 이유다.

이런 상황이 지속한다면 한국과 미국의 금리 격차는 1%포인트를 넘어설 가능성도 있다.

금리를 한국이 올해 한 차례만 올리고 미국이 12월과 내년 세 차례, 총 네 차례를 올린다면, 양국 간 금리 차이는 역대 최대인 1.5%포인트(2000년 5월)까지 확대될 수도 있다.

본격적인 외국인 자본 이탈 현상이 나타날 우려가 커지는 것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은 미국의 금리 인상 직전인 26일 발표한 '한미 기준금리 역전현상 지속의 영향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러한 위험을 경고했다.

보고서는 금리역전은 외국인투자 중에서도 주식·채권 투자자본 유출압력을 높이며, 역전현상 장기화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위험에 노출된다면 자본유출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한미 간 금리 격차 0.25%포인트 확대는 국내에 유입된 단기자본인 주식·채권 투자를 8조원, 직접투자는 7조원 각각 감소시켜 국내총생산(GDP) 대비 0.9%인 총 15조원의 이탈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예상했다.
<연합뉴스> 

14
  • 기사입력 2018년09월30일 16시38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