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1월 수출 14개월 연속 내리막…일평균 수출은 반등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0년02월02일 06시13분
  • 최종수정 2020년02월02일 06시18분

작성자

메타정보

  • 3

본문

반도체 수출 감소율 14개월만 최저…신종코로나 영향은 거의 없어

3일 성윤모 장관 주재 긴급 수출상황점검회의 개최…기업 지원 등 논의


한국 수출이 14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가며 이번에도 반등하지 못했다.

다만 일평균 수출은 14개월 만에 늘면서 한국 수출이 상승 전환할 가능성을 열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월 수출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6.1% 감소한 433억5천만달러로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한국 수출은 2018년 12월 이후 계속 역주행하면서 2015년 1월부터 2016년 7월까지 19개월 연속 줄어든 이후 최장기간 하강 곡선을 그렸다.

지난달 수출이 감소한 가장 큰 요인은 설 연휴로 인해 조업일수가 2.5일 줄어든 것이다.

조업일수 영향을 배제한 일평균 수출은 4.8% 늘어난 20억2천만달러로 14개월 만에 처음 상승했다. 이는 전년도 평균 19억9천만달러를 웃도는 금액이기도 하다.

주요 20대 품목 중 일평균 수출이 늘어난 품목은 반도체, 일반기계, 석유제품, 선박, 컴퓨터, 플라스틱제품, 바이오·헬스, 화장품, 로봇 등 9개다.

특히 반도체 수출 감소율은 3.4%로 2018년 12월 이후 최저 수준이었다.

낸드플래시 고정가격은 지난해 8월 첫 반등한 이후 7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1월에는 19개월 만에 처음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증가했다. D램 고정가격도 2018년 12월 이후 14개월 만에 상승했다.

수출물량은 10.0% 감소했으나 일평균 물량은 0.4% 증가했다.

1월 수출 단가는 4.4% 올라 2018년 12월 이후 처음 플러스로 바뀌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인 '우한 폐렴'으로 인한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의 전체 수출에서 후베이(湖北)성 수출 비중은 0.3%에 불과하다. 또 중국 전체 진출기업은 3천751개로, 이중 후베이성 진출기업은 29개로 집계됐다.

다만 '우한 폐렴' 확산 사태가 장기화하면 대(對)중국 수출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춘제(春節·중국의 설) 이후 경제활동이 본격 재개되는 2월부터 한국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일본의 수출규제가 7개월째 이어지는 가운데 1월 대일 수출은 6.4% 감소했고 수입은 21.9% 줄었다.

대일본 무역적자는 7억2천만달러로 2001년 6월 이후 최소로 줄었고, 현재까지 국내 관련 산업이 일본의 수출규제로 인해 생산 차질을 빚은 곳은 없다.

오히려 지난해 12월 기준 한국의 대일 수출 감소율(-5.6%)보다 일본의 대한국 수출 하락 폭(-16.2%)이 더 크게 나타나 한국보다는 일본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판단됐다.

지난해 7∼12월 누계로 봐도 일본의 대한국 수출 감소율은 14.9%로, 한국의 대일 수출 감소율(-7.5%)의 두배에 달했다.

수입은 5.3% 줄어든 427억3천만달러였고, 무역수지는 6억2천만달러 흑자로 96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무역흑자가 전년 같은 기간(10억4천만달러)보다 축소된 이유는 설 명절을 앞두고 생활소비재 수입이 늘고 중동사태에 따른 수급 차질에 대비하기 위해 원유·납사를 많이 들여왔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1월 수출은 연초 중동 리스크, 신종코로나 등에도 한 자릿수 감소율을 유지했으나 설 명절 연휴의 영향으로 전체 수출 감소가 불가피했다"며 "한국 수출은 지난해 10월을 저점으로 점차 개선 흐름을 유지하고 있고 특히 조업일수 영향을 배제한 일평균 수출은 14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하는 등 수출 반등 모멘텀이 구축됐다"고 평가했다.

성 장관은 "신종코로나가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물경제 대책반을 가동했고 중국 진출기업과 수출 동향을 일일 단위로 보고받는 등 엄중히 대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3일 성 장관 주재로 긴급 수출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하고 대중 의존도가 높은 수출 중소·중견기업의 무역보험 지원 확대, 중국 외 다른 국가로 수출 시장 다변화 시 해외 마케팅과 전시회 지원 강화, 중국 현지 진출 기업과 대중 수출기업의 애로사항 발굴·해소 등 구체적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1267da8f3c64f03e73450b6d82083f0e_1580591
 

<연합뉴스>

 

3
  • 기사입력 2020년02월02일 06시13분
  • 최종수정 2020년02월02일 06시18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