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충격' 2분기 성장률 -3.3%…외환위기후 22년래 최저 본문듣기
작성시간
관련링크
본문
1분기(-1.3%)보다 더 나빠져…수출 -16.6%, 56년만에 최악
한은 "하반기 분기별 1.8% 성장 그치면 올해 성장률 -1%로 하락"
홍남기 "코로나 진정세 이어지면 3분기 상당부분 반등 가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충격으로 올해 2분기 한국 경제가 1분기보다 3% 이상 뒷걸음질했다.
한국은행은 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이 직전분기 대비 -3.3%로 집계됐다고 23일 발표했다.
1분기(-1.3%)에 이어 두 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이다. 더욱이 -3.3%는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분기(-6.8%) 이후 22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실적이다.
작년 동기 대비로는 -2.9% 역성장했다. 이는 1998년 4분기(-3.8%) 이래 21년 6개월 만에 최저치다.
무엇보다 우리 경제 주축인 수출이 코로나19에 따른 세계 경기 침체로부터 직격탄을 맞고 16.6% 급감했다. 1963년 4분기(-24%) 이후 56년 6개월래 최악의 수출 성적표다.
이에 따라 순수출의 경제 성장 기여도가 -4.1%포인트(p)로 떨어졌다. 2분기 성장률을 4.1% 끌어내린 셈이다. 수입도 원유 등을 중심으로 7.4% 감소했다.
설비투자와 건설투자도 운송장비 투자, 건물건설 등이 위축되면서 각각 2.9%, 1.3% 줄었다.
다만 민간소비가 전국민 긴급재난지원금과 개별소비세 인하 등에 힘입어 내구재(승용차·가전제품 등) 위주로 1.4% 늘었다.
이런 민간소비 회복과 함께 전체 내수의 성장 기여도는 0.7%포인트로 1분기의 -2.1%보다 크게 올랐다. 정부 소비도 물건비 지출 확대와 함께 1% 증가했다.
업종별 생산을 보면 제조업과 농림어업이 9% 이상 줄었고 도소매·숙박음식업·운수업 등의 부진으로 서비스업도 1.1% 감소했다. 특히 제조업 성장률(-9.0%)이 1963년 2분기(-10.4%) 이래 57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까지 떨어졌다.
실질 국내총소득(GDI) 역시 역성장했지만 교역조건 개선 덕에 감소폭(-2%)은 실질 GDP 성장률(-3.3%)보다 작았다. 실질 GDI는 실질 GDP에 환율·수출입 단가 등 교역 조건 변화에 따른 무역 손실·이익을 반영한 것이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당초 예상(-2%대 초중반)보다 2분기 성장률이 더 낮은데 대해 "재화 수출과 민간소비 부문이 예상보다 부진했기 때문"이라며 "자동차·휴대전화 등의 재화 수출이 수출 대상국의 이동제한 조치, 해외공장 셧다운(가동중단) 등의 영향으로 전망치를 크게 하회했고, 민간소비도 재난지원금 효과 등으로 내구재를 중심으로 개선됐지만 서비스 부문의 개선 정도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계속 좋지 않은 고용 지표가 소득 여건을 악화시키는 데다 사회적 거리두기도 이어지기 때문에 소비 회복이 제한되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3분기 회복 여부·정도와 관련해서는 "코로나19 2차 확산 등을 거론하며 향후 경기 회복이 어렵다고 전망하는 분들도 있지만, 달리 볼 부분도 있다"며 "주요국들이 코로나19가 재확산하더라도 경기 위축을 우려해 락다운(이동제한 등)을 강화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무엇보다 중국 경제가 2분기에 급반등했기 때문에 중국이 최대 수출 상대국인 우리 경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경기 반등 속도의 경우 6월 산업생산, 7월 전체 수출 실적 등 향후 경제 지표를 더 지켜봐야 가늠할 수 있는 부분이라는 게 한은의 입장이다.
한은은 이런 통계를 근거로 다음달 수정된 올해 전체 경제 성장률(기존 -0.2%)을 내놓을 예정이다.
한은 추산에 따르면 실제 올해 성장률이 기존 한은 전망값(-0.2%)을 달성하려면 3, 4분기 성장률(직전분기대비)이 각 3% 정도는 돼야 하고, 만약 두 분기 성장률이 평균 1.8% 정도에 그치면 연간 성장률은 -1%로 떨어질 전망이다.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이면 경기 침체 국면 아니냐"는 질문에 박 국장은 "우리나라 잠재성장률(약 2%대)이 최근 선진국과 비슷한 수준이므로 선진국 기준에 따르면 2분기 연속 GDP 마이너스 성장은 리세션(경기후퇴)일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이미 경기 정점이 2017년 9∼10월이었기 때문에 코로나19 이전부터 우리나라 경제는 경기 하강 국면에 있었고, 코로나19로 쇼크(충격)가 더해져 하강 속도가 빨라진 것 뿐"이라고 답했다.
이날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분기 GDP 성장률이 예상보다 더 낮아진 것은 내수 반등에도 불구, 대외부문 충격이 예상보다 컸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홍 부총리는 "현재의 코로나 진정세가 이어지면 2분기를 바닥으로 3분기에는 상당 부분 (성장률) 반등이 가능할 것"이라며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를 내비쳤다.
그는 "추경, 한국판 뉴딜 등 정책효과와 2분기 성장을 제약했던 해외생산, 학교·병원 활동이 정상화되는 가운데 기저 영향까지 더해질 경우 코로나가 진정되는 3분기에는 중국과 유사한 트랙의 경기 반등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