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취업자 27.4만명↓, 6개월째 감소…"9월은 더 걱정" 본문듣기
작성시간
관련링크
본문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는 미반영…9월에 더 악화 전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고용시장 충격이 이어지고 장마와 폭우 피해까지 더해지면서 8월 취업자 수가 27만명 넘게 감소했다.
이는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라 수도권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강화된 영향은 반영되지 않은 것이어서 9월 고용 상황은 더 악화할 것으로 관측된다.
통계청이 9일 발표한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708만5천명으로, 1년 전보다 27만4천명 감소했다.
지난 3월(-19만5천명), 4월(-47만6천명), 5월(-39만2천명), 6월(-35만2천명), 7월(-27만7천명)에 이어 6개월 연속 감소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8월에 8개월 연속 감소한 이후 11년 만에 최장 기간 감소다.
다만 감소폭은 4월을 정점으로 한 뒤 4개월째 줄어드는 모습이다.
정동욱 고용통계과장은 "8월 고용동향은 7월과 유사한 모습으로, 코로나19 장기화와 긴 장마가 영향을 미쳤다"며 "다만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은 지난달 16일부터였는데, 통계 조사 기간은 9∼15일이어서 그 영향은 반영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취업자 수 증감을 업종별로 보면 도매·소매업(-17만6천명), 숙박·음식점업(-16만9천명), 교육서비스업(-8만9천명) 등에서 많이 줄었다. 제조업도 5만명 줄었다.
반면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6만명), 운수·창고업(5만6천명),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행정(5만5천명) 등은 증가했다.
코로나19 타격이 가장 컸던 숙박·음식점업은 전년 대비 취업자 감소폭이 7월(22만5천명)보다 줄어든 반면 도·소매업은 감소폭이 7월(12만7천명)보다 늘었다. 3차 추경 재정일자리 사업 일부가 실시된 영향으로 공공행정업 등의 취업자 증가폭은 7월(1만1천명)보다 늘었고, 긴 장마 탓에 농업 부문이 영향을 받아 농림어업 취업자가 8월에 3천명 감소로 돌아섰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38만4천명)에서만 취업자 수가 증가하고, 30대(-23만명), 40대(-18만2천명), 20대(-13만9천명), 50대(-7만4천명) 등 나머지 연령층은 모두 줄었다. 15~29세 청년층 취업자는 17만2천명 감소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임시근로자(-31만8천명), 일용근로자(-7만8천명)는 줄어들고 상용근로자(28만2천명)는 늘었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17만2천명, 무급가족종사자가 5만4천명 각각 감소한 반면,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6만6천명 늘었다.
통계상 취업자로 분류되는 '일시 휴직자'는 14만3천명(20.3%) 늘어난 84만6천명으로 집계됐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0.4%로 작년 동월 대비 1.0%포인트 하락했다. 8월 기준으로 2013년(60.2%) 이후 7년 만에 최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5.9%로, 1년 전보다 1.1%포인트 하락했다. 역시 8월 기준으로 2013년(64.8%) 이후 7년 만에 최저다.
특히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1.1%포인트 줄어든 42.9%를 기록했다.
60세 이상(0.9%포인트↑)을 제외하고 20대(2.2%포인트↓), 30대(1.6%포인트↓), 40대(1.7%포인트↓), 50대(0.8%포인트↓) 등 나머지 연령층은 모두 하락했다.
경제활동인구는 2천794만9천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26만7천명 줄었다. 6개월 연속 감소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작년 동월보다 53만4천명 늘어난 1천686만4천명으로, 통계 집계 기준을 변경한 1999년 이후 8월 기준으로는 최대치다.
틱히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으로 분류된 사람은 246만2천명으로, 8월 기준으로 2003년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래 최대였다. 증가폭은 29만명으로 지난 5월(32만명) 이후 최대다. '쉬었음' 인구는 20대(8만7천명↑), 60세 이상(8만5천명↑) 등 전 연령층에서 늘었다.
구직단념자는 68만2천명으로 13만9천명 늘었다. 8월 기준으로 2014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다.
실업자 수는 6천명 늘어난 86만4천명이었다.
실업률은 0.1%포인트 오른 3.1%로, 8월 기준 2018년(4.0%) 이후 최고치다.
청년층 실업률은 2.9%포인트 오른 7.7%였다.
체감실업률을 보여주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1년 전보다 2.3%포인트 상승한 13.3%였다.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은 3.1%포인트 오른 24.9%였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페이스북 글에서 "다음 달 발표될 9월 고용동향에는 전국적으로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이 상당부분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자영업자, 임시일용직, 청년층 등의 어려운 고용여건이 지속되는 가운데 발생한 추가 충격의 여파를 생각하면 벌써부터 마음이 무겁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