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한국미술관 특별초대전 “寫經으로 본 儒佛仙”- 서예가 월천 권경상 개인전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5월30일 11시06분
  • 최종수정 2024년05월30일 10시56분

작성자

메타정보

  • 1

본문

한학자(漢學者)이면서 서예가인 월천(月泉) 권경상(權卿相) 작가의 “寫經(사경)으로 본 儒(유)·佛(불)·仙(선)” 전시회가 6월 12일부터 18일까지 일주일 동안 서울 인사동의 ‘한국미술관 3층’에서 열린다. 개막식은 6월 12일 오후 5시.

 

이번 전시회에는 무려 10여 년에 걸쳐 사경을 마친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을 비롯, 금강경(金剛經), 반야심경(般若心經) 등 불교 경전 32종과 유학(儒學)의 경전인 대학(大學)과 중용(中庸), 그리고 도교(道敎)의 근간을 이루는 노자(老子) 등 총 35종의 사경(寫經)작품이 전시된다.

 

특히 대학과 중용은 본문의 해석이 어려운 부문에 대한 해설과 선현들의 이론을 망라하여 간주(間注)로 표기하여 사경하였을 뿐만 아니라, 소주(小註)까지 번역하여 주석을 병기한 번역본을 전시회에 맞춰 출판한 것은  전례 없는 일로 학계에서는 주목하고 있다. 

 * 일시  : 2024년 6월 12일 ~ 18일까지

 * 장소  : 인사동 한국미술관 3층

 * 개막식 : 6월 12일 오후 5시​

 

 c8521a9d7f74fd8e8ac4ce094df691b6_1717032

 <월천 권경상(月泉 權卿相) 서예가>

월천 권경상은 ▲경기도 이천에서 태어나 6살 때부터 가림(佳林) 이달호(李達鎬) 선생으로부터 한문 수학을 했으며 ▲동방연서회에서 여초(如初) 김응현(金膺顯) 선생으로부터 서예를 사사(師事) 받았고, ▲ 한국고전번역원 국역연수원 연수부 상임연구원을 졸업하고 강사와 국역위원을 역임했다.

 

작품 활동으로는 ▲대한민국 서예대전(미술협회) 특선 3회 및 입선 2회, 국제서법연합회 전국휘호대회 특선 4회, 불교사경대회 동상 등 수많은 작품의 수상경력을 가진 대한민국 서예대전 초대(招待)작가이자 전국휘호대회 초대(招待)작가이다.

 

저서는 국역서로 ‘논어’‘맹자’‘대학’‘중용’‘시경’ 등 사서삼경(四書三經)은 물론 동인시화(東人詩話) ,당음주해(唐音註解) 등 많은 한서를 번역하였다.

 

여초(如初) 김응현(金膺顯) 선생 문하생들로 구성된 동방연서회(東方硏書會)의 구당(丘堂) 여원구(呂元九) 회장은 축사에서 “월천(月泉)은 이번 儒(유)·佛(불)·仙(선)의 경전 35종의 수많은 글자를 각주(脚註)와 발문(跋文)을 붙여 사경하였는데, 이는 초유의 일로 세상을 놀라게 했다. 월천이 평소 체득한 북위(北魏)의 서법으로…필사(筆寫)되어 후세에 사경교본(寫經敎本)으로서 한국서법사에 한 페이지를 장식하리라고 믿는다.”고 밝혔다.

 

서예가인 작가는 사경(寫經)을 하게 된 배경에 대해 “간송미술관 가헌(嘉軒) 최완수(崔完秀) 선생의 권유로 틈틈이 하다가 지난 2019년 중국 무한에서 시작된 코로나19가 전국에 번져 모든 강의가 중단됨에 따라 이후 몇 년 동안 본격적으로 아침부터 저녁까지 사경에 매달린 결과”라고 설명했다.

 

405f09410b1593d24c017cac4f02fc3b_1717033

<사경작품 :묘법연화경 시작부분>

 

405f09410b1593d24c017cac4f02fc3b_1717033

<사경작품 반야심경 시작부분>

 

◈ 전시회 출품 寫經 目錄 [儒彿仙]

 

1) 妙法蓮華經               姚秦龜茲三藏鳩摩羅什 譯

2) 佛說阿彌陀經             姚秦龜茲三藏鳩摩羅什 譯 

3) 佛說阿含正行經           後漢安息國三藏安世高 譯 

4) 佛說觀無量壽佛經         宋西域三藏畺良耶舍 譯

5) 觀世音菩薩授記經         宋黃龍國沙門曇無竭 譯   

6) 般若波羅蜜多心經         罽賓國三藏般若共利言等 譯

7) 般若波羅蜜多心經         唐三藏法師玄奘 譯 (小橫篆書, 楷書, 金泥)

8) 佛說莊嚴菩提心經         姚秦三藏鳩摩羅什 譯  

9) 金剛般若波羅密經         東晉鳩摩羅什 譯 [全紙楷書, 行書. 半切金泥 楷書]

10) 金剛般若波羅密經        唐六祖大鑒真空普覺禪師 解義

11) 天地八陽神呪經          唐 三藏 義淨 

12) 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   唐 罽賓國 三藏 般若 譯 

13) 佛說法律三昧經           吳月支國 居士支謙 譯  

14) 佛說法華三昧經           宋涼州沙門智嚴譯  

15) 佛說父母恩重難報經       姚秦三藏法師鳩摩羅什 譯

16) 觀世音菩薩普門品         姚秦三藏法師鳩摩羅什 譯  

17) 文殊師利問菩提經(一名伽倻山頂經)   姚秦龜玆國三藏鳩摩羅什 譯

18) 文殊師利巡行經           元魏天竺三藏菩提流支 譯 

19) 大乘四法經               于闐國三藏法師實叉難陁 譯

20) 佛說見正經(一名生死變識經)  東晋天竺三藏竺曇無蘭 譯         

21) 廣義法門經               陳天竺三藏眞諦 譯

22) 佛說千手千眼廣大圓滿無㝵大悲陁羅尼經  唐西天竺沙門伽梵達磨 譯

23) 千手經                   無㝵大悲陁羅尼經後 附記    

24) 佛說彌勒下生經           西晉月氏三藏竺法護 譯

25) 佛說彌勒下生成佛經       後秦龜玆國三藏鳩摩羅什 譯

26) 彌勒菩薩所問本願經       西晉月氏三藏竺法護 譯

27) 佛說彌勒大成佛經         姚秦龜茲國三藏鳩摩羅什譯 

28) 佛說觀彌勒菩薩上生兜率天經 宋居士沮渠京聲譯

29) 佛說彌勒來時經           失譯人名    

30) 佛說彌勒下生成佛經       唐三藏法師義淨 譯 

31) 圓覺經普眼章             大唐罽賓三藏佛陁多羅 譯

32) 佛說法集名數經 西天譯經三藏朝散大夫試鴻臚少卿傳法大師臣施護 譯 

33) 大學             朱子集註 

34) 中庸             朱子集註

35) 老子             河上公章句  

36) 送孟東野序, 養竹記     

37) 詩經 大雅 抑章 (小子)

38) 過鼎山草堂 (自作詩)

39) 西湖有感 (自作詩)

40) 陳亮 梅花詩

41) 暮景卽事 (自作詩)

42) 春景卽事 (自作詩)

43) 鳶飛魚躍 

44) 訥於言而敏於行

45) 虛心盈佛 (記夢)

46) 聖林寺事蹟碑   拓本

 

<ifsPOST  우윤영 기자>​

 

 

 

1
  • 기사입력 2024년05월30일 11시06분
  • 최종수정 2024년05월30일 10시56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