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질, 경제성과 등 높아져 2024.1분기 국민행복지수 상승 본문듣기
작성시간
첨부파일
관련링크
본문
1분기 지수는 89.31로 전분기 74.87 대비 14.44p 올라
고용률 지수, 기대수명, 고등교육물가지수 등은 증가, 주거지수는 감소
경제성과 및 지속가능성 항목 중 인당 실질최종소비, 인당 교양오락비 등 증가
1. 2024년 1분기 국민행복지수(2003.1분기=100.0)는 89.31로 전분기 74.87에 비해 14.44p 증가하였다. 또한 전년 동기(85.77) 대비로도 3.54p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2. 지난해 같은 기간인 2023년 1분기(85.77)에 비해 상승한 것은 긍정적 요소인 인당 실질최종소비, 인당 교양오락비, 가구당 교육비지출, 노동생산성지수, 고용률, 기대수명, 55세 이상 고용률이 증가하고, 부정적 요소 중 인당 정부부채, 인당 가계부채, 이혼율이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3. 최초 지수산출 이후(2003년 1분기)의 동향을 보면 카드사태 당시인 2004년 3분기에 68.44로 나타났으며, 서브프라임 금융위기 이전인 2007년 4분기에 152.97까지 상승하였다. 이후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다가 2020년 2분기에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로 인해 최저점(57.30)을 기록한 후 2021년 4분기 149.47까지 상승추세를 보였으나 다시 하락하였다.
4. 정권별로 지수를 비교해 보면 노무현 정부(2003.2분기~2008.1분기)의 평균은 108.94으로 이명박 정부(2008.2분기~2013.1분기)의 평균인 139.30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근혜 정부(2013.2분기~2017.1분기)의 평균은 154.97로 이명박 정부의 시기보다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문재인 정부(2017.2분기~2022.1분기)는 106.72로 박근혜 정부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윤석열 정부(2022.2분기~2024.1분기)는 평균 90.19로 문재인 정부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5. 국가미래연구원은 과거 21년간(2003년 1분기~2024년 1분기)의 국민행복 정도를 상대비교하기 위해 국민행복지수를 산출하고 있는데 지수산정은 3개의 대항목(△경제성과 및 지속가능성 △삶의 질 △경제/사회 안정 및 안전), 20개의 중항목, 34개의 소항목으로 구분하고, 이들 34개 소항목들을 가중평균하여 산출하고 있다.
6. 2024년 1분기 민생지수와 국민행복지수는 상승하였으나 두 지수의 의미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국민행복지수는 장기적이며 종합적으로 국민행복의 추세를 나타내는 반면, 민생지수는 단기적으로 국민생활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변수들을 중심으로 국민들의 살림살이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산출되는 체감지수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민생지수의 상승은 긍정적 요소인 실질주가, 상용근로자/임금근로자, 고용률 비중의 상승과 6개의 부정적 요소가 하락하였기 때문이다. 반면 행복지수에 반영되지만 민생지수에는 반영되지 않는 요소들도 많다. 삶의 질에 속해 있는 건강, 교육, 환경, 문화나 경제/사회 안정 및 안전 부문의 중산층 비중, 소득분배, 사회 안전, 부패와 신뢰수준, 자연재난/재해안전, 식품안전, 노후안정 등은 단기적으로 변화하기 어렵고, 장기적 변화가 중요하기 때문에 이들은 민생지수 산출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ifsPOS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