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행복지수”를 개발하여 3개월/1년 단위로 추이를 제시합니다.

2015년 2분기 국민행복지수 본문듣기

작성시간

  • 작성일 2015-10-03

메타정보

  • 54

첨부파일

본문

 

국민행복지수는 하락으로 추세 전환

2015년 2분기 113.56으로 전분기 대비 0.60P 하락
경제성과삶의 질경제/사회 안전 등 3대 항목 모두 하락
가계부채 및 소득대비 주택가격 상승 등이 지수하락 유도 

 

<민생지수는 오르는데 행복지수는 왜 떨어지나?>

민생지수는 단기적 경제 상황을행복지수는 삶의 질 등 장기적 요소를 평가하기 때문 

 

 

16736eb93758cf698618aa2d1bf3c23d_1457335
 

 

1. 2015년 2분기 국민행복지수(2003.1분기=100.0)는 113.56으로 전분기의 114.16에 비해 0.60포인트 하락하였고, 전년 동기의 113.85에 비해서 0.29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국제금융위기의 충격이 본격화 된 지난 2009년 4분기(최근 최저수준) 97.28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다가 지난 2015년1분기부터 하락으로 추세 전환이 이뤄져 2분기 째 지수가 하락하고 있다. 

  

2. 국민행복지수의 하락은 경제성과 및 지속가능성, 삶의 질, 경제/사회 안정 및 안전 등 3대 대항목에서 모두 하락했기 때문으로 분석됐는데 특히 가계부채 및 소득대비 주택가격 상승 등이 지수하락을 주도한 것으로 분석됐다. 따라서 국민행복지수를 더 높이기 위해서는 경제성과 및 지속가능성지수의 소항목인 1인당 소비지출을 늘리고 정부부채나 가계부채를 줄이고 주거 안정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3. 참고로 국민행복지수는 분석대상이 되는 새로운 기간의 지표가 기존 지표에 더해져 이동 평균되는 선형표준화방법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지수를 새로 발표할 때마다 과거 시점의 모든 지수들이 조금씩 달라진다는 점을 고려해서 이해해야 한다.  

   예컨대 지난 2015년 1분기의 국민행복지수는 117.44로 발표됐었는데 올해 2분기를 추가시켜 지수를 다시 이동평균해 산정한 결과 지난 1분기가 114.16으로 수정 발표됐다. 

 

4. 최초 지수산출 이후(2003년1분기)의 동향을 보면 카드사태 당시인 2003년 4분기에 94.63으로 최저수준을 나타냈으며, 서브프라임 금융위기 이전인 2007년 4분기에 105.44로 상승하였다. 그러나 그 이후 하락추세로 돌아서 2009년 4분기 최근 최저점(97.28)을 기록한 뒤 다시 반등하기 시작, 2015년 2분기에는 소폭 하락하였다.  

  

5. 정권별로 지수를 비교해 보면 노무현 정부(2003.2분기~2008.1분기)의 평균은 102.90로 이명박 정부(2008.2분기~2013.1분기)의 평균인 103.39보다 조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근혜 정부(2013.2분기~2015.2분기)의 평균은 112.30으로 이명박 정부의 시기보다 약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6. 국가미래연구원은 과거 12년간(2003년 1분기~2015년 2분기)의 국민행복 정도를 상대비교하기 위해 국민행복지수를 산출하고 있는데 지수산정은 3개의 대항목(△경제성과 및 지속가능성 △삶의 질 △경제/사회 안정 및 안전), 20개의 중항목, 34개의 소항목으로 구분하고, 이들 34개 소항목들을 가중 평균하여 산출하고 있다. 

  

7. 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지수 이외에 ▲민생지수 및 ▲국민안전지수 등 3대 지수를 산출해 매분기별로 발표하고 있는데 지난 2015년 2분기 민생지수(2015.010.3 발표)는 전 분기 대비 소폭 상승한 것으로 분석됐다. 

  

8. 국민행복지수는 하락 추세로 전환하고 있는데 반해 민생지수는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은 지수산출에 사용되는 요소들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국민행복지수는 장기적이면서 종합적으로 국민행복의 추세를 나타내는 반면 민생지수는 단기적으로 국민생활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변수들을 중심으로 국민들의 살림살이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산출되는 체감지수이기 때문이다. 예컨대 민생지수의 주요 하락요인들인 전세비용, 교통비, 식료품 지출, 주거광열비 지출 등 부정적 요소들이 악화했기 때문이다. 반면 행복지수에는 반영되지만 민생지수에는 반영되지 않는 요소들도 많다. 삶의 질에 속해 있는 건강, 교육, 환경, 문화나 경제/사회 안정 및 안전 부문의 중산충 비중, 소득분배, 사회 안전, 부패와 신뢰수준, 자연재난/재해안전, 식품안전, 노후안정 등은 단기적으로 변화하기 어렵고, 장기적 변화가 중요하기 때문에 이들은 민생지수 산출에는 반영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단기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민생지수의 상승폭이 아주 크지 않는 한 장기추세를 반영하는 지표인 국민행복지수는 당분간 하락을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  

5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