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산에서 바라본 세계

국가의 미래를 향한 첫 걸음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유머 정치와 내각의 품격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2년01월13일 12시00분

작성자

  • 이상돈
  • 중앙대학교 명예교수, 20대 국회의원,

메타정보

  • 0

본문

로널드 레이건은 유명한 연설과 구절, 유머를 많이 남겼다. 그는 타고난 유머 감각을 갖고 있었다. 레이건 대통령이 백악관 회의 중에 졸음을 못 참고 꾸벅꾸벅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온 적이 있었다. 우리나라 같으면 누가 그런 말을 흘렸냐고 난리가 났을 것이다. 그 보도를 알고 난 레이건은 “다음에 내 자리에 ‘레이건이 여기서 잠들었다’고 명패를 붙여 놓으면 되겠다”고 해서 참석한 장관과 참모들이 모두 웃었다. 

 

유명한 구절 몇 개를 들자면...

 

- “공산주의자를 어떻게 알아내는가? 마르크스와 레닌을 읽는 사람이 공산주의자다. 반공주의자를 어떻게 알아내는가? 마르크스와 레닌을 이해하는 사람이 반공주의자이다.” (“How do you tell a Communist? Well, it’s someone who reads Marx and Lenin. And how do you tell an anti-Communist? It’s someone who understands Marx and Lenin.”)

 

- “공화당원은 매일매일이 7월 4일(독립기념일)이지만, 민주당원은 매일매일이 4월15일(종합소득세 신고하는 날)이다.” (“Republicans believe every day is the Fourth of July, but the democrats believe every day is April 15.”)

 

- “정치는 나쁜 직업이 아니다. 성공하면 많은 보람이 있고, 실패해서 망신 당하면 책을 쓰면 된다.” (“Politics is not a bad profession. If you succeed there are many rewards, if you disgrace yourself you can always write a book.”)

 

레이건 행정부 중요 멤버 학력

 

-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 유리카 대학(일리노이)

- 조지 H.W. 부통령 : 예일 

- 알렉산더 헤이그 국무장관 : 육사(웨스트포인트), 컬럼비아 MBA, 조지타운 국제관계석사

- 조지 슐츠 국무장관 : 프린스턴, MIT 경제학박사.  

- 캐스파 와인버거 국방장관 : 하버드, 하버드 로스쿨 

- 도널드 리건 재무장관/비서실장 : 하버드

- 윌리엄 스미스 법무장관 :  UCLA, 하버드 로스쿨 

- 에드윈 미즈 법무장관 : 예일, UCLA 로스쿨

- 제임스 베이커 비서실장/재무장관 : 프린스턴, 텍사스대(스틴) 로스쿨

- 프랭크 칼루치 국방장관 : 프린스턴, 하버드 MBA.

- 진 커트패트릭 유엔 주재 대사 : 컬럼비아, 컬럼비아 정치학박사 

- 버논 월터스 유엔 주재 대사 : 고교 졸업(영국) (사병으로 출발해서 장성 진급)

- 윌리엄 케이시 CIA 국장 : 포드햄, 세인트 존스 로스쿨.

- 윌리엄 웹스터 FBI 국장/CIA 국장 : 앰허스트, 워싱턴대 로스쿨 

 

대학을 못나왔지만 몇 개 국어를 유창하게 해서 군 정보 계통으로 중장 계급에 른 신화적인 버논 월터스를 제외하면 레이건의 주요 각료와 참모는 모두 좋은 학교를 나왔다. 좋은 대학을 다닌 사람이 공부도 많이 하고 지식의 폭이 넓다.

레이건은 일리노이 작은 도시의 작은 대학을 나왔고 그 성적도 바닥이었지만 대학을 다닐 수 있었다는 데 항상 감사하게 생각했고, 그 시절의 추억을 자서전에 담아 놓았다. 

그 때 경제학을 가르친 교수가 스트리아 학파의 자유주의 성향 학자여서 레이건이 시장자유주의의 생각을 갖는데 영향을 주었다. 

 

0fdcc94deac3c32d38a8702064edd3c3_1642042
- 사진은 레이건 행정부 후기의 백악관 회의 장면. 왼쪽은 윌리엄 클락 보좌관, 른쪽은 프랭크 칼루치 국방장관. 

 

회의하거나 식사하면서 자연스럽게 대화를 못하는 사람은 대통령을 해선 절대로 안 된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말수가 적은 사람이 대통령이 되더니 어떻게 되는지는 우리가 너무 잘 알고 있다. 지금 대통령 후보 중에는 대화를 전혀 못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 사람이 대통령을 하겠다니 웃기는 이야기이다.​ 

0
  • 기사입력 2022년01월13일 12시00분
  • 검색어 태그 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