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월街 Watch] "계속 호황일지, 국채가 폭락할지, 하드랜딩할지 아무도 모른다.”(Nobody can get their story straight.)- 제임즈 매킨토시(WSJ)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2월18일 16시22분
  • 최종수정 2024년02월18일 11시52분

작성자

  • 신세돈
  • 숙명여자대학교 경제학부 명예교수

메타정보

  • 1

본문

da10d326a97943092652a7621ba303ff_1708224
da10d326a97943092652a7621ba303ff_1708224
da10d326a97943092652a7621ba303ff_1708224
[4] 이 주의 WS 초점: 최근 경제가 놀랍게도 탄탄한 세 가지 이유 

  The Confusingly Strong Economy Told in Three Stories

   By James Mackintosh

 

■ 최근 40년 이래 가장 급격한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가 탄탄함을 유지하는 

   이유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단순한 학문적 차원의 질문이 아님 : 

   WSJ의 매킨토시 기자는 세 가지 가능한 이유를 제시하고 있음 :

 

 (1) 빅 테크기업 중심의 생산성 증가 : 계속 활황일 것(SOLID RUN)

 

   - 2022년 1분기 이후 민간부문 생산성(일인당 생산물)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음

   - 2023년 말에는 팬데믹 기간 중의 고점을 돌파했음. 

   - 민간기업 투자도 급속히 살아나고 있음 : 2012년 증가율 5% 보다도 10%이상 더 증가.

   - 인공지능(AI)이 생산성 증가를 촉진했을지도 모름.

   - 공급망 교란이 사라지면서 일인당 생산성이 상승했을지도 모름.

   - 만약 AI 때문에 생산성이 증가했다면 향후 인플레가 가러앉더라도   

     경기활황세는 꺾이지 않을 것임.

 

  (2) 정부의 무제한적인 재정지출 증가(정부채 폭발)

 

    - 팬데믹 기간 동안 정부는 비전쟁시기 최대 재정적자를 기록했음

    -  2023년 재정적자는 GDP의 6.2% : 무절제한 친환경 정책지원 증대

    - 그러나 재정지출은 계속하기 어렵거나 

      계속하더라도 엄청난 국채발행을 수행해야 함.      

    - 따라서 재정지출에 의한 경기활황이라면 곧 사그라 들 것임.

 

  (3) 긴축적 통화정책의 효과는 시간이 걸려 나타날 것(HARD LANDING)

 

    - 아직까지는 통화긴축의 경기위축 효과가 미미한 것이 분명.

    - 지금까지 경기가 활황인 것은 거의 행운이었고 조만간 경기위축효과가 나타날 것.   

    - 돌이켜보면,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기업투자나 민간소비가 

      위축되지 않았던 것은 쉽게 이해가 됨.

    - 기업과 개인이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은 반면 예금에서는 높은 이자소득을 얻었음.

    - BEA 추계에 따르면 비금융기업은 

      기준금리 인상 이후에 인상이전보다 40% 이자비용이 줄어들었음.  

     - 이런 현상이 사실이라면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은 기대와는 반대 상황을 불러일으키는 것임.

        

미국은 2-단속도(two-speed economy) 경제체제임.

  

    - 신용도가 낮은 소기업과 개인 : 

      만기가 짧은 대출 혹은 변동금리부 대출에 의존해야 하므로 금리상승에 

      직격탄을 곧바로 받게 됨.

    - 신용카드 사용자나 고가 중고차 매입자들은 오른 금리 때문에 저소득층이나 청년들의

       연체율이 급격히 상승하고 있음.

    - 시간이 흐르면서 더 높은 금리로 대출을 연장해야 하는 기업과 개인 숫자가 

      급증할 것이고 주택을 옮기기 어려워질 것임.    

      이에 따라 경기가 침체되는 효과는 천천히 나타날 것임.

 

■ 아직까지는 정크본드급 CCC회사채의 수익률은 2019년 이전 수준인 13.5%에 머물고 있음.

 

   - 회사채 투자가들이 높아진 자금 조달금리에도 불구하고 낮아진 금리차에 만족하면서

    정크본드에 투자하려는 수요가 왕성한 편임.

   - 그러나 서서히 경기가 움츠러들면 과도하게 차입에 의존한 사모펀드나 

    상업용부동산투자가나 혹은 그들에 투자한 지역은행의 위험도가 올라갈 가능성이 큼.

 

 ■ 현재까지는 어느 것이 맞는 이론인지 불확실함.

 

   - 금융시장 또한 냉탕과 온탕을 반복해서 오가고 있음.  

   - 아무도 확신하지 못하는 상태임.

  ​ 

da10d326a97943092652a7621ba303ff_1708224
da10d326a97943092652a7621ba303ff_1708224
<ifsPOST>

1
  • 기사입력 2024년02월18일 16시22분
  • 최종수정 2024년02월18일 11시52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