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kyo Watch] 일본의 저조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향방과 시사점 본문듣기
작성시간
관련링크
본문
기업도매물가 상승 불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저조
세계적으로 물가상승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일본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겨우 마이너스 상태를 벗어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지난 10월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전년동월비로 0.1%에 그쳤으며, 2021년 연간 평균으로는 소폭의 마이너스를 기록할 전망이다.
한편, 기업물가지수는 국제원자재 가격의 상승과 엔저 등의 영향으로 인해 높은 상승세를 보이면서 소비자물가와 격차를 보이고 있다. 지난 10월의 기업물가지수는 전년동월비로 8%의 상승률을 기록하였다. 일본 국민의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가 여전히 낮아서 수익성에 아직 여유가 있는 일본 기업들이 원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판매가격 인상을 계속 자제하고 있는 것이다.
세계적으로 농산물, 목재, 에너지, 금속 등의 가격이 급등하는 가운데 일본 엔화가 장기 약세를 보이면서 일본의 수입업체, 내수형 서비스 기업은 원가 상승 부담에 고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코로나19로 인해 세계적으로 외국인 노동력의 이동이 제약을 받으면서 각국의 축산업에서 인력 부족이 심해져 육류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는 상황도 겹쳐 일본 외식업체들은 육류파동이라고 할 정도의 가격 상승의 직격탄을 호소하고 있다.
일본의 쇠고기 덮밥(규돈) 체인점의 경우 미국산의 저럼한 부위의 냉동 육류의 도매가격이 전년비로 약 2배나 급등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쇠고기 덮밥의 체인점들이 어쩔 수 없이 수 십엔 정도의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지만 도매가격의 인상분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상황이다.
물론, 일본은행의 분석으로는 이러한 일본의 저조한 물가에는 스가 내각에서 지난 4월에 실시된 휴대폰 이용 요금 인하 유도 정책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일시적인 요인을 제외하면 일본의 소비자물가상승률도 +1%대 중반 수준을 기록하고 있고 최근 에너지 가격의 상승으로 인해 물가상승률이 높아지는 경향에 있다고 한다.
2022년 소비자물가의 소폭 상승 전망 속 디플레 압력도 남아
일본은행의 분석으로는 일본의 2021년 물가하락은 일시적인 현상이며 △ 일본기업들이 물가인상에 보다 적극 나서기 시작했다는 점 △ 일본기업의 설비투자 회복세 △ 탈탄소화 과도기의 에너지 및 각종 자원가격의 강세 기조 장기화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그리고 최근 일본의 중장기적 물가 상승기대도 회복되고 있었기 때문에 일본의 소비자물가의 기조적 회복세는 2022년에 걸쳐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 다시 극심한 디플레이션에 빠지지 않는다는 것이 일본은행의 분석이다. 사실, 일본의 주요 연구기관들도 2022년에 일본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소폭의 플러스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다만, 앞의 그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010년대의 일본의 디플레이션 기간에도 원자재 가격 상승이나 소비세 인상 여파로 물가상승률이 일시적으로 높아지다가 다시 떨어지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 일본의 임금상승률이 장기 정체되는 가운데에서 물가가 일시적으로 급등하면서 근로자 및 서민층의 생활고가 심화되고 더욱 소비를 줄이는 경향이 나타나 다시 물가가 하락했던 것이 일본의 디플레이션 경제의 특징이었다고도 할 수 있다.
기시다 내각의 임금인상 유도 정책에도 힘입어서 실제로 일본의 임금이 상승세를 보일 것인지 불확실한 가운데, 일본경제의 디플레이션 압력의 재강화 가능성도 간과할 수는 없을 것이다. 특히 코로나19 충격과 함께 엔저로 인한 수입 원자재, 농산물 가격의 급등의 타격도 받고 있는 외식 체인점 등의 내수형 서비스 업체들이 대폭적인 가격 인상과 종업원 임금 인상을 실시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물론, 2022년에 코로나19 대유행의 충격과 소비부진 장기화 우려는 있으나 완만한 경기회복세를 전제로 할 경우 일본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소폭의 상승률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임금과 물가의 저조한 상승기조와 함께 일본의 끈질긴 디플레이션 기대심리는 계속 불안정 요인으로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일본의 물가상황을 보면, 코로나19 이후의 우리나라 및 각국 물가 문제는 인플레이션 우려와 함께 디플레이션 우려도 동시에 안고 있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금리인상 정책 등도 그 영향을 지켜보면서 단계적으로 추진하는 시중한 자세도 필요할 것이다. 부동산 등 특정 분야로의 여신 총량규제의 효과적인 관리와 함께 경제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금리의 인상에는 일정한 신중함도 필요할 것이다.
아울러 금리인상으로 해결할 수 없는 서플라이체인의 불안정성, 미중 분단 압력으로 인한 기조적 물가상승 압력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국가 차원의 공급망 안정화 노력과 함께 미국, 일본, 중국, EU 등 주요 제조 강국이나 자원 및 농산물 수출국 등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일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