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미국 장기금리 상승의 신흥국 전이효과 분석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3년10월16일 17시02분
  • 최종수정 2023년10월15일 14시33분

작성자

  • 김남종
  •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

메타정보

  • 1

본문

최근 BIS의 보고서는 미국의 10년물 국채금리가 급격히 상승했던 에피소드들을 식별하고. 이들 시기에 대해 신흥국의 금리, 환율, 주가, 외국인 증권자금 유출입의 4개 변수의 변화를 분석하였음. 분석 결과, 동 에피소드들 간에도 신흥국에 대한 전이효과에 상당한 편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중 신흥국의 변수들에 부정적인 전이효과가 공통적으로 크게 나타났던 시기는 미국의 10년물 기간 프리미엄이 확대된 경우와 글로벌 달러화지수가 상승했던 경우로 파악됨. 최근 들어 글로벌 달러의 상승과 더불어 미국의 10년물 금리가 상승하고 있고, 해당 상승분이 기간 프리미엄 상승에 기인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영향에 유의할 필요가 있음

■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BIS)는 최근 보고서(Caballero and Upper, 2023)1)에서 미국의 10년물 국채금리가 급격하게 상승(spike)했던 시기들을 식별한 후 각 시기에 신흥국의 경제 및 금융 변수들의 변화를 관찰하고 주요 패턴을 분석함.

■ 동 연구는 정책금리가 아닌 장기시장금리 변동을 기준으로 주요 에피소드를 식별하였다는 점과 다수의 신흥국들을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명변수들을 활용하여 부정적 전이효과가 큰 에피소드의 특징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됨. 

- 미국의 금리 상승이 신흥국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해서는 다수의 선행 연구가 존재하나, 연준 의 통화정책방향 선언 관련 이벤트 분석 등 주로 통화정책 충격 전후의 단기적 영향을 분석한 경우가 많았음. 
- 동 보고서는 사전적으로 정한 기준에 따라 2004년 1월~2022년 6월 중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급등하였던 30개의 에피소드들을 식별하였고, 각 에피소드별로 17개 신흥국들*의 4개 대상변수들**에 대해 총 28개 설명변수들***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신흥국에 대한 부정적 전이효과가 큰 에피소드의 특징을 파악하였음.
  * 분석 대상이 된 17개 국가들은 BIS 국가분류기준에 따라 신흥국으로 분류된 국가들 중 규모가 일정 수준 이상이고, 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국가들로서, 우리나라를 포함하고 있음. 
  ** 신흥국의 1) 자국통화 표시 국채 금리, 2) 대(對) 미달러화 명목환율, 3) 자국 주가지수, 4) 외국인 증권자금 유출입의 4개 변수들의 변화를 분석함. 
  *** 28개 설명변수들은 미국 국채수익률 변동폭, 글로벌 금융여건, 미국과 대상국들의 경제상황 및 펀더멘털을 반영하는 변수들로 구성됨.

■ 분석 결과, 에피소드별로 신흥국 대상변수 중 유의미한 반응을 보인 변수 및 영향의 강도, 설명변수의 통계적 유의성이 상당 부분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이 중 일부 변수들만 공통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인 가운데 특히 미국의 10년물 기간 프리미엄(term premium)과 미 달러화지수(US broad dollar index)의 유의성이 높게 나타남.

 - 주요 결과들을 정리하면, 30개의 에피소드들에서 신흥국들의 자국 국채금리가 대체로 상승
하는 경향은 있었지만, 대부분의 경우 상승폭이 미국에 비해 크지 않았고, 미국 금리 상승폭과 대상 신흥국들의 금리 상승폭 간의 관계도 뚜렷하지 않게 나타남(<그림 1>).
 - 모든 대상변수들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나타내는 변수는 미국의 10년물 기간프리미엄이 유일했으며, 미 달러화지수는 신흥국의 자국 국채금리를 제외한 나머지 3개 대상 변수들과의 부정적인 연관성이 유의하게 나타남.
  * 미국 기간 프리미엄이 확대되는 에피소드의 경우 신흥국의 자국 국채금리 상승, 통화가치 하락, 주가 하락,외국인 채권자금 유입 감소폭이 모두 크게 나타남.
 - 한편 신흥국의 펀더멘털 변수들의 영향을 보면, 인플레이션 수준 및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을 제외하고는 유의성이 약하게 나타나 미국의 금융 및 통화변수들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해석됨.
  * 신흥국의 GDP 성장률 전망, 국가신용등급, 외환보유고 등의 유의성은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남
8fc1adc8a7cf1c3281426dedfa0bade0_1697347
■ 최근 미국의 10년물 금리 상승세가 기간 프리미엄 상승에 의해 견인되고 있으며, 글로벌 달러도 강세를 보이고 있어 국내 시장으로의 부정적 전이효과에 유의할 필요가 있음.

 - 미국의 통화긴축이 본격화된 후부터 단기 금리의 가파른 상승으로 장단기 스프레드(10년물-2년물)가 대폭 축소되었으나, 금년 7월 이후 10년물 금리의 상승폭이 확대되고 있음.
 - 10년물 금리는 미래 단기금리 경로에 대한 기대(expected short-term rates)와 기간 프리미엄으로 분해할 수 있는데, 금리기간구조 모형 분석 결과에 따르면 최근의 10년물 금리 상승은 대부분 기간 프리미엄 상승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됨(<그림 2>).
  * 통상적으로 수급압력 강화는 기간 프리미엄을 상승시키는 요인에 해당하는데, 최근 미국 재정적자 확대 및 국채발행량 증가에 대한 우려가 기간 프리미엄 상승 요인으로 작용함.
 - 동 기간 달러화지수도 뚜렷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현 상황이 상기 BIS 보고서에서 식별한대로 신흥국에 대한 부정적 전이효과가 큰 10년물 금리 상승 에피소드에 해당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한미 기간 프리미엄 동조화 및 국내 주가, 환율, 금리에 대한 영향에 유의할 필요가 있음. <KIF>
8fc1adc8a7cf1c3281426dedfa0bade0_1697347

 

<ifsPOST> 

 ※ 이 글은 한국금융연구원(KIF)이 발간한 [금융브리프 32권 19호](2023.10.13.)리서치 동향’에 실린 것으로 연구원의 동의를 얻어 게재합니다. <편집자>​

 

1
  • 기사입력 2023년10월16일 17시02분
  • 최종수정 2023년10월15일 14시33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