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최근 시중 자금흐름의 동향과 전망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3년08월21일 09시49분

작성자

메타정보

  • 3

본문

 국내 기준금리가 1월 이후 3.5%로 동결 기조를 유지했음에도 불구하고 2023년 2분기 국내 시장금리는 미국 연준의 추가 긴축 우려로 인해 상승세를 기록했다. 하반기 들어서도 금리는 소폭 상승하여 국고채 3년물의 경우 4월 말 3.29%에서 8월 17일 현재 3.79%로 올랐다. 또한 회사채시장에서도 고금리 지속에 따른 사업환경 악화와 유동성리스크에 대한 우려감으로 인해 회사채 등급간 높은 스프레드 갭이 지속되고 있다. 

한편, 원/달러 환율은 7월 발표된 미국 물가지표 둔화 등으로 미국 연준의 긴축 종료 기대가 높아지면서 1,200원대에서 등락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8월 들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8월 17일 1,343원으로 연고점을 갱신하기에 이르렀다. 금리와 환율의 향후 움직임이 우리 경제와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둘러싸고 불안과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현 시점에서 금리와 환율의 변화 방향을 가늠하고 점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주요 대외변수 특히, 미국과 중국의 경제 상황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미국 연준의 긴축 장기화(higher for longer)와 신용 불안 증대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종결이 가시화되고 있지만, 시장 예상과 달리 연일 시장금리는 상승 압력이 부각되고 있다. 연준의 통화정책 기조 전환은 아직 먼 이야기인 반면에 미국의 신용등급 하향 조정, 부채한도 협상 타결 후 채권 발행물량 급증, 양호한 경기지표 등이 맞물려 수급 불일치가 시장을 압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소비자물가(CPI) 상승률은 불과 1년 만에 9.1%에서 3.2% 까지 하락하며 고점 대비 3분의 1 수준으로 급락했다. 현재까지 발표된 물가 자체만 놓고 보면 추가 금리인상의 필요성은 극히 제한적인 상황이다. 그러나 타이트한 고용 여건과 높은 수준의 임금 상승률이 지속되고 있고, 서비스 물가의 하방 경직성 등을 감안할 때 물가가 추가적으로 급락할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 오히려 산유국의 감산 장기화, 흑해곡물협정 중단, 엘니뇨 발생 및 기상이변 등으로 원자재 가격의 상승압력이 부각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기저효과에 기반해 급락했던 물가가 일시적이나마 재차 반등 압력에 직면할 수 있는 상황이다. 

  이에 연준 입장 또한 추가 긴축의 필요성을 피력하기보다는 5.50% 수준에서 금리인상을 마무리하고 상당 기간 ‘관망모드’로 전환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하반기 일시적인 경기침체 보다 연착륙 전망이 우세해지며 애초 표방했던 긴축의 장기화(higher for longer)를 좀 더 오래 지속할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되고 있다. 고금리 기간을 연장함으로서 인플레이션의 안착 과정을 확인할 수 있고, 정책여력을 좀 더 확보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생긴 셈이다. 연준이 표방하고 있는 중립금리 수준과 통화정책 시차, 실질 기준금리 수준, 경기 및 물가흐름 등을 고려할 때,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은 빨라야 내년 2분기로 예상된다. 상당 기간 단발성 이벤트에 금리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고 시중금리 하락 시점이 이연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한편 연방정부의 부채한도 협상 이후 일시적으로 급증한 국채 발행과 신용등급 하향 조정여파에 대한 우려도 일부 존재한다. 하지만, 미 국채에 대한 견조한 수요와 만기별 발행 비중 조정 등을 감안할 때 국채금리 상승세가 지속되지는 않을 전망이다. 국가신용 등급 하향 또한 단발성 이슈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2011년도에도 미국의 신용등급이 강등된 적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그 당시보다 부채협상에 따른 재정지출 감소폭도 작고, 실업률도 크게 양호한 상황이어서 그 영향은 매우 제한적이라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오히려 고금리 수준이 장기화되는 과정에서 은행의 유동성 위험이 부각되고 신용등급 하향조정으로 대출태도 강화 등 신용공급이 축소되며 상업용 부동산 부실 문제가 본격화될 우려가 더 큰 상황이다. 게다가 팬데믹 직후 초저금리로 대규모 자금을 조달한 기업들의 회사채 리파이낸싱 시점이 순차적으로 돌아오면서 고금리 전환이 불가피한 상황이고 저신용기업의 건전성 악화 등이 본격 부각될 가능성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부동산 시장發 중국경제 위기론은 국내 경기회복 속도 둔화와 환율 불안을 가중시킬 듯
 
  중국 부동산 침체는 글로벌 경제 및 금융시장을 혼돈에 빠뜨릴 수 있다는 점에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연초 일시적으로 회복 조짐을 보이던 중국 부동산 시장이 재침체 국면에 진입한 가운데 부동산개발 기업들의 디폴트 우려가 증대되며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완다, 헝다그룹이 이어 지난 7월 대형 부동산개발업체인 비구이위안(country garden)은 달러채 2건의 이자 지급에 실패하면서 유동성 위기에 봉착했다. 향후 연속적으로 역내외 채권의 만기 도래가 예정되어 있는데다 부동산 시장의 위축이 지속되는 가운데 매출 감소 및 자금회수 지연으로 채무 이행 여부가 불확실한 상태이다. 

더구나 최근 실적을 발표한 중국 부동산기업 상장사 67개 중 42개 기업이 당기순이익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결국 부동산기업들의 실적 부진에 따른 상환능력 악화로 산발적인 디폴트 발생이 불가피한 것으로 평가된다. 더구나 부동산 관련 익스포져가 큰 신탁회사 등 금융권으로의 위험 확산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예컨대, 중국 최대 자산관리회사인 중즈그룹 산하의 신탁회사인 중룽이 만기 상품의 지급을 연기하면서 부동산발 금융권 위험 전이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동안 부동산 개발업체들은 은행 차입 이외에 신탁회사 및 위탁대출 등 그림자금융을 통한 차입을 확대해 왔으며, 신탁회사들은 은행에서 취급하지 않는 부동산개발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방법으로 자금을 운용해 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국정부가 구조조정 의지 하에 디레버리징 정책을 유지해온 상황에서 대규모 부동산 부양책을 꺼내들 가능성은 크지 않으며, 위기 확산 방지를 위한 조치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볼 때, 중국 부동산시장이 이미 구조적 전환기에 진입한 것으로 평가되는 상황에서 GDP 내 부동산 관련 업종 비중이 25%에 달하는 부동산시장의 침체는 자칫 대차대조표 불황으로 이어지며 성장률 둔화를 가속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단기적으로도 중국 회사채 시장 내 만기 도래 1년 미만 물량의 약 45%가 건축업과 부동산업에 편중돼 있고 부동산 개발기업의 자산 중 현금 비중이 9%에 불과해 관련 업종의 연쇄 신용등급 하락 및 디폴트 우려 증대가 시장 변동성 확대를 촉발하고 있다.    
     
  결국 부동산 시장 침체가 중국 경기 회복의 발목을 잡으며 글로벌 경제 및 금융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미국 정부부채로 인한 국채 수익률 상승 압력이 지속되는 가운데 중국의 성장 저하나 신용리스크 부각은 위안화의 변동성을 확대시키며 아시아 통화가치의 절하 압력을 높일 전망이다. 

부채 구조조정이 전무한 한국 경제에 고금리 장기화 부담은 쉽지 않은 숙제

  국내 또한 미국과 별반 다르지 않은 모양새다. 원자재가 등락으로 인한 기저효과를 감안하더라도 이미 뚜렷한 디스인플레이션이 확인되고 있지만, 동시에 금융안정 리스크가 높아지고 있다. 기준금리 인상도 인하도 어려운 시기가 상당기간 지속될 전망이다. 금리인상은 가계부채 및 PF 부실 문제로 귀결될 가능성이 크고, 금리인하는 환율 변동성을 확대시키고 유동성 급증에 기반한 주택시장 과열을 촉발할 위험이 있다. 결국 한은 역시 장기간 동결을 선택할 전망이며 연준의 인하 시그널이 본격화된 이후에야 인하 시점을 저울질할 것으로 보인다.   

  시중금리 또한 대외 환경과 맞물려 일시 반등하고 있지만 추가 금리인상에 대한 기대가 미미하고 물가 또한 점차 하방압력이 부각되며 내년에는 2%대 안착이 예상된다. 정부도 균형재정을 표방하고 있어 대규모 국채 순발행에 따른 수급 이슈가 발생할 가능성도 적어 표면적으로 금리가 상승할 유인은 크지 않은 상황이다. 

그러나 이면을 들여다 보면 고금리 장기화로 인한 문제의 심각성이 만만치 않다. 한은의 추가 금리인상이 없더라도 기준금리 동결 기조가 장기화될 경우 코로나 기간에 금융지원을 받았던 많은 기업들의 재무상황 악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팬데믹 기간 금융지원의 혜택으로 연 2.7%p의 금리 수혜를 받으며 부실위험을 모면할 수 있었던 기업들이 금융지원 종료로 신용위험이 반영된 금리를 적용받기 시작했고 팬데믹 이후 초저금리 환경하에 급증했던 회사채 발행 물량 또한 만기가 순차적으로 돌아오면서 차환발행 시 더 높은 금리를 지불하고 있다. 민간부문의 부채 구조조정이 요원한 상황에서 고금리 장기화가 지속될 경우 가계와 기업이 상환 부담을 온전히 감당하기에는 버거운 상황이 이어질 전망이다.

  원달러 환율의 경우 연말로 가면서 디스인플레이션 추세가 확인되고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기대가 높아지면서 달러화 강세 압력이 약화되고 수출부진도 완화되면서 환율이 하향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반도체 및 중국경제의 회복세 약화로 수출개선이 지연될 경우 환율 하락 속도가 예상보다 더뎌질 가능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에 대한 무역 의존도가 높고 반도체 등 핵심 산업과 연관된 공급망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중국 관련 불확실성 확대는 경기회복 속도 둔화와 더불어 환율 등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ifsPOST>
3
  • 기사입력 2023년08월21일 09시49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