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진료정보교류와 의료 IT 발전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6년09월08일 17시57분

작성자

  • 조경희
  •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메타정보

  • 48

본문

 

올해 초, 가까운 홍콩도 진료정보교류시스템(EHR) 구축에 성공했다. 정부가 직접 나서 5년간 약 1조 480억원의 예산을 쏟아 부은 결과이다, 앞으로도 5년에 걸쳐 약 63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질 관리를 위한 2단계 프로젝트에 돌입한다. 

국가의료보장체계를 가진 영국은 일찍이 2010년 구축한 바 있으며, 미국도 건강 IT 기술의 의미 있는 사용(Meaningful use) 이라는 이름으로 2010-2015년 미국 동안 56개 주별 정보 교류가 가능하도록 하여, 의료의 질 향상과 함께 관련 산업발전을 한 단계 끌어 올렸고, 현재 그 다음 단계로 2020년까지 질 향상 프로젝트를 하고 있다. 

 

진료정보교류시스템이란 “요람에서 무덤까지”의 평생건강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필요할 때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한 기본적 국가 인프라이다. 이 경우 국민들은 진료 시에 과거 건강정보를 활용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게 진료 및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중복 검사 및 중복투약으로 인하여 의료비가 낭비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동시에 환자의 건강상태에 맞추어 적절한 치료가 제공될 수 있다. 정확한 환자의 건강 정보의 기반 위에서 이루어지는 근거중심의 임상의사결정시스템은 많은 의료의 과오를 줄여 주고 있다. 중요한 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생명이 위급한 치료의 시기를 당기거나, 정확한 진단 및 치료의 방향을 잡아주는 일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총체적인 과정은 국민 건강 증진과 비용 절감 그리고 건강정보기술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우리나라 국내의 보건의료정보화 추진은 1977년 의료보험 도입에 따른 진료비 청구로부터 시작되었다. 그 이후 1990년도부터 대학병원 중심으로 전산화가 시작되었고, 1990년대 후반부터 PACS(병원 영상장비)가 도입되었고, 2000년에 들어와서는 병원급 EMR (전자의무기록) 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2000년대 보건복지정보화 사업이 국가적으로 시작되어 2005년 EHR 사업단을 시작으로, 2012년 의료IT융합사업 및 2014년 진료교류정보 등 보건의료정보기반구축 연구가 현재도 계속되고 있다. 현재 약품사용에 관한 정보 교류는 완성되어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시스템 (DUR)이라는 이름으로 국민건강에 도움을 주고 있다. 요즘 모든 의료기관을 가서 진료를 하고 약물 처방을 하게 되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약물과 비슷한 계열을 사용하고 있다든지, 약물의 부작용 및 사용하면 안 되는 금기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안전하게 약물 사용을 하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국가적으로 진료정보교류가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되면, 매번 진료 시마다 실시간으로 현재 관리 받고 있는 질병, 과거의 중요한 수술, 약물 알레르기 반응 등 환자의 많은 건강상의 문제가 쉽게 파악이 가능하다. 이러한 새로운 장으로의 확대 기본 인프라로는 많은 의료정보가 계속 생성되고 있는 의료기관 정보의 적절한 저장과 상호 교류가 중요하다. 매번 진료 시에 기록되는 환자의 진찰, 투약, 검사, 수술, 소견 등의 환자 진료기록이 표준에 근거하여 통합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진료시의 환자 정보보호를 위한 비식별화, 진료시의 환자 동의 등의 기술적 인프라가 요망된다.

최근에 들어와서 ICT 기술이 급속히 발전은 새로운 변화의 방향으로 우리를 몰고 가고 있다.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과 함께 개인 모바일 스마트기기 활용의 증가와 함께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등을 통한 데이터 활용이 증가되고 있다. IoT 에서의 무선인터텟과 연결되는 실시간 기본 생체 정보의 유입은 실시간 건강정보의 제공 등 의료정보활용의 영역을 새로운 장으로 끌어가고 있다. 최근 관심이 높은 의료에 AI를 적용하는 것부터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것까지의 여러 첨단 의료가 진정한 국민건강의 장으로 연결을 위해서는 전국적인 진료정보교류를 통한 국민 건강 기록의 저장과 교류가 기본 인프라로 구축되어야 한다.

 

다행스럽게도 올해부터 진료정보교류를 위한 시범사업이 분당서울대병원 그룹과 신촌세브란스병원 그룹 사이에 진행되고 있다. 한국 병원정보시스템은 단위 병원 급에서는 각 기관의 노력으로 발전한 부분이 많이 있지만, 진료정보교류를 위한 인프라 구성은 개별 병원을 넘어서는 국가적 의무이다. 국민건강의 향상의 기본 인프라 구축과 함께 이를 통한 의료 산업의 발전은 국가적 차원의 큰 리더쉽과 지원이 필요하다. 제4차 산업혁명이 의료 분야에서도 꽃 피우기 위해서는 의료계, 산업계, 연구 분야 및 국가적 차원에서 모두 힘을 모아야 할 때이다. 

48
  • 기사입력 2016년09월08일 17시57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