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트럼프 관세’ 4일 발효, 강경파가 주도, 일찌감치 ‘역풍’ 시작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5년02월04일 11시00분
  • 최종수정 2025년02월04일 16시53분

작성자

메타정보

  • 0

본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일, 캐나다, 멕시코 및 중국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함으로써 드디어 4일부터 정식 발효하게 됐다. 이번 조치로 캐나다 및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제품에는 25%,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서는 기존 관세에 10%를 추가하게 된다. 트럼프 정권은 관세 압력을 통해 미국으로 유입되는 마약 및 불법 이민 방지에 협력을 구한다는 명분이나, 캐나다 및 멕시코는 즉각 보복 관세를 선언했고 중국도 ‘일정한 보복’ 조치를 검토 중이라고 알려진다.

 

이번 조치의 대상국인 캐나다, 멕시코 및 중국은 미국 무역액의 상위 3개국이고 전체 무역액의 40%를 차지한다. 따라서, 미국과 이들 국가들 간에 상호 보복 관세 공방이 본격화할 경우, 트럼프 1기 정권 당시에 시작된 무역전쟁이 한층 격화되고, 이에 따라 세계 경제에 하향 압력이 커질 가능성이 농후할 것이 분명하다. 아래에, ‘트럼프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한 해외 미디어들의 보도 내용을 요약한다. 

 

■ “트럼프 ‘긴급사태 따른 조치’ 강조, 자동차 산업에 가장 큰 타격”  

미국 정부의 이번 관세 부과 조치는 미 동부시간 4일 오전 0시 1분 이후 수입되는 분부터 적용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이번 행정명령은 상대국이 보복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에는 관세율을 더욱 인상하거나 대상 품목을 확대할 것이라고 명기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SNS에 올린 글에서 “미국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것은 대통령의 의무다. 대선 공약이기도 하고 국민의 압도적 다수가 찬성했다” 고 강조하며 이번 조치를 정당화했다. 이에 따라, 미국 국민들에 미칠 악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캐나다산(産) 석유 및 중요 광물 등에 대한 관세율은 10%로 억제했다.

 

백악관은 이번 조치에 관한 성명을 발표하고, 캐나다가 마약 펜타닐(Fentanyl) 등 밀수업자들에 대한 단속 및 국경 경비에 협력할 때까지 관세 부과를 계속할 것이라고 언명하고, 멕시코에는 마약 카르텔의 제조 공장이 있다고 주장했다. 중국에 대해서도 펜타닐 대책에 전면적인 협력을 확보할 때까지 계속할 것을 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조치는 ‘국제긴급경제조치권한법(IEEPA)에 근거해서 불법 이민 및 마약 유입을 들어 ‘국가긴급사태’로 규정하고 대통령 권한을 사용해 관세 부과를 발동한 것이다. 미국 대통령이 IEEPA에 근거해 긴급사태를 선언하고 관세 인상을 선언한 것은 1971년 당시 닉슨(Richard Nixon) 대통령이 이른바 ‘닉슨 쇼크(Nixon Shock)’ 조치로 IEEPA의 전신 ‘적국통상법(TWEA; 1917년)’에 근거해서, 일시적인 조치로, 모든 수입품에 대해 10% 관세를 부과한 이래 처음 있는 일이다.

 

한편, 이번 관세 부과 조치로, 기존 미국, 캐나다, 멕시코 3국 간 역내 관세를 철폐하는 협정인 ‘USMCA’은 사실상 동결된 것이다. 이 협정에 따라 미국 자동차 관세가 2.5%였고,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0%였던 것이 이번에 25%를 부과하게 되면 미국의 자동차 관련 산업의 공급망에 큰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미국과 캐나다 국경을 넘나드는 원자재 공급 → 부품 조립 → 완성차 조립 → 시장 출하 과정을 상정하면, 이번 일률 25% 과세 조치가 각 단계마다 적용되는 경우 양국 자동차 산업 공급망에는 엄청난 혼란을 초래할 것이 분명하다.

 

미국에서 판매되는 자동차의 20%가 멕시코, 캐나다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노무라 연구소(NRI)는 이번 ‘트럼프 관세’ 조치로 미국 자동차 산업의 영업이익이 330억달러 감소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외에도, 미국 원유 수입의 60%가 캐나다산(産)이고, 멕시코를 포함하면 70%에 달해, 자원의존도도 높다. 트럼프 관세는 이번 조치에서 석유 등 광물 자원에 대한 관세율을 10%로 제한했으나, 각국이 보복 조치에 나설 경우, 양국이 입을 타격은 더욱 커질 게 분명하다.                   

 

■ “캐나다 및 멕시코 ‘보복 관세’ 천명, 중국도 ‘상응 조치’ 검토 중” 

캐나다 트뤼도(Justin Trudeau) 총리는 같은 날, 미국 트럼프 정권의 관세 부과 조치에 대응해서 미국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25% 보복 관세를 부과할 방침을 밝혔다. 동 총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캐나다를 위해 강력하게 대항할 것” 이라고 천명하고, 우선 미국산 맥주, 이륜차 등 총 300억 달러 상당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할 방침을 밝힌 것이다. 이어서, 21일 자로 추가로 1,250억달러 상당의 미국산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할 방침을 밝혔다. 동 총리는, 이런 대응 조치로 캐나다 기업들 및 공급망이 대체 방안을 찾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캐나다는 1988년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을 체결한 이후, 지속적으로 미국과 무역 관계를 심화해 왔고, 캐나다에 있어서 미국은 최대 무역 상대국이다. 2023년 기준으로 에너지, 석유, 천연가스 등을 중심으로 한 수출은 80%, 수입은 자동차, 기계류 등을 중심으로 50%를 차지한다. 캐나다중앙은행은 양국이 25% 관세를 부과하는 경우, 초년도에 캐나다 GDP를 약 2.5% 감소시킬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트뤼도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가 이번 관세 부과 이유로 캐나다 국경을 통한 불법 이민 및 마약 유입을 들고 있으나, 미국으로 유입되는 마약 펜타닐 및 불법 이민자들 중 캐나다를 통한 경우는 1% 미만이라고 반론했다. 캐나다 정부가 국경 감시를 위해 연 13억달러 예산을 지출하고 있다며, 캐나다 국내에 이번 조치에 강력하게 임할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일고 있다고 밝혔다. British Columbia주 지사는 “우방국 캐나다에 대한 무역전쟁의 선전포고” 라며 주 내 주류업자들에게 공화당 주지사인 (미국)주로부터 주류 수입을 중단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도 이번 트럼프 관세 조치를 계기로 캐나다에 ‘경제적 애국심’이 촉발되고 있다고 전했다. 캐나다 전역에는 ‘Buy Canadian’, ‘Made in Canada’, ‘Canada is not for Sale’ 등의 슬로건이 가게마다 내걸리고 있다고 전했다. 동 지는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Fox News 인터뷰에서 캐나다가 미국의 한 주(州)로 편입하라고 조롱한 언사에 대해 큰 충격을 받은 캐나다 국민들 사이에 ‘이제 참을 만큼 참았다(Enough is enough)’는 의식이 확산되며 격앙되는 분위기를 전하고 있다.

 

한편, 멕시코 샤인바움(Claudia Sheinbaum, 女) 대통령도 같은 날, 미국이 4일부터 멕시코産 제품 수입에 25% 추가 관세 부과를 발동한 것에 대해 보복 관세를 포함한 대항 조치를 취할 방침임을 표명했다. 또한 “멕시코 정부가 범죄 조직과 동맹 관계” 라는 트럼프 발언은 비방중상(誹謗中傷)이라며 단호한 거부 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보복 관세 대상 및 규모를 밝히지 않은 채 “멕시코의 이익을 지키기 위해 관세 및 비(非)관세를 포함한 ‘플랜 B’를 실시하도록 지시했다” 고 밝혔다.

 

최근 들어 미국 GM, Ford 등 주요 자동차 메이커들은 미국 내 인건비 상승 등을 이유로 멕시코에 대규모 생산 시설 건설 등 증산 투자 계획을 실시해 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對 멕시코 대규모 무역 적자를 비판해 왔으나, 이에 대해 샤인바움(Sheinbaum) 대통령은 “이는 대부분 미국으로 수출하는 미국 기업들에 의한 것이므로 미국의 무역적자라고 할 수 없는 것” 이라며 반론을 제기하고 있다. 멕시코는 지리적 근접성 및 미국에 비해 값싼 인건비 등으로 일정 조건 하의 무관세 우대 등으로 완성차 및 부품 생산 거점으로 성장해 왔다. 결국, 멕시코는 자동차 부품의 50%를 미국에서 수입하고 있어, 멕시코가 보복 관세를 부과하면 양국 모두에게 심각한 타격을 주게 된다. 아보카도 등 농산물 수입 의존도도 크다.

 

Bloomberg 통신은 캐나다 및 멕시코 지도자들이 트럼프의 25% 관세 부과를 신호탄으로 ‘관세 전쟁’ 개전을 선언한 것에 대한 협조 대응을 서두르는 가운데, 중국 시진핑 정권은 지난 1일 발표한 10% 추가 관세 부과에 대해 즉각 반응을 자제하면서 숨을 고르고 있다고 전했다. 구정 연휴 동안에 공표된 관세 부과 방침에 상무부가 성명을 내고 ‘강한 불만을 표명하며, 추후 상응하는 대응을 할 것. WTO에 제소할 것’ 등의 형식적인 대응 방침을 표명한 데 그쳤다고 전했다.

 

동 통신은 중국이 그런 자세를 보이는 배경으로, 현 중국 내외 사정이 트럼프 1기 정권 당시와는 크게 달라진 점을 들었다. 이에 더해, 이전에는 중국이 가장 수위 타겟이었던 것에 비해 이번에는 미국의 정통 우방국 캐나다 및 멕시코가 우선 타겟이 되고 있다는 점도 들었다. 그리고, EU에 대한 관세 조치도 점쳐지고 있는 상황이어서, 중국 입장에서는 이런 결과를 기다려서 이들 상대국들과 관계 강화를 모색할 수도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에 더해, 현 중국 경제가 전례 없이 어려운 상황에 있는 것도 중국이 일단 적극 대응을 자제하며 신중한 자세로 나오는 배경으로 꼽았다.

 

한편, Bloomberg Economics는 이번 대중 10% 추가 관세로 중국 경제는 대미 상품 수출의 40%가 영향을 받고 금년 중국 GDP 성장률이 0.9% 감소할 것으로 추산했다. Goldman Sachs는 동 0.5%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결국, 이번 조치의 충격이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덜 심각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다. 결국, 향후로도, 중국의 트럼프 관세에 대한 조치는 국내적인 것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 “트럼프가 강경파 주도의 관세 부과로 얻으려고 하는 3 가지 목표”  

해외 거의 모든 언론 미디어들은 트럼프 2기 정권이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 ‘트럼프 관세’ 조치로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상승할 리스크가 높다고 우려하고 있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한 기자회견에서 관세 부과가 수입 물가로 전가될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 “단기적으로 혼란이 있을지 모르나 국민들은 이해할 것” 이라며, “관세 부과는 인플레이션이 아니라 성공을 가져올 것” 이라고 강변했다. 일각에는 이번 관세 부과가 소비재 가격으로 전가되어 한 세대 당 생계비 부담이 연 830달러 이상 늘어날(실질적 증세) 것이라는 추계도 나왔다.

 

WSJ은 이번 관세 결정에 앞서 정권 내부에 관세 부과 저지 움직임이 있었다고 전하고 있다. 또 다른 매체는 정권 사정에 정통한 복수 소식통을 인용해 관세 부과를 3월 1일로 연기할 것이라는 전망을 전하기도 했다. 그러나, 거액 무역적자를 관세 부과를 통해 해소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나바로(Peter Navarro) 대통령 고문 등 강경파 인사들이 베센트(Scott Bessent) 재무장관 등 일부 온건파 각료들의 관세는 단지 ‘협상 도구’라는 ‘신중한’ 견해를 제치고 최종적으로 밀어 부친 것이다.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은 아직도 상대국이 관세 부과 위협 언사를 ‘진심’ 이라고 믿게 해서 양보를 얻어내려는 협상 기술이라는 측면도 있으나, 아직도 무역적자 시정을 위해서 일률 관세를 부과하는 것에 전향적인 자세를 갖고 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트럼프 2기 정권 내에서 온건파의 발언은 점차 힘을 잃고 강경파의 주장이 힘을 얻는 상황으로 흘러가는 것이다. 트럼프 1기 정권에서도 당시 ‘철(鐵)의 보호무역주의자’로 알려졌던 라이트하이저(Robert Leithauser) USTR 대표, 강경 관세의 설계자 나바로(Navarro) 통상 고문 등, 강경파들의 존재감이 압도했었다.

 

이처럼 일국의 수출액과 수입액의 차이인 무역수지 ‘적자’를 시장 경쟁에서의 패배 혹은 국가적 문제라는 인식은 많은 경제학자들이 받아들이지 않는 주장일 뿐이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서머스(Larry Summers) 교수는 이번 ‘트럼프 관세’ 조치에 대해 “자동차 및 가솔린을 비롯해서 미국 소비자들이 구입하는 모든 제품의 가격을 상승시킬 것” 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그는 “경제민족주의(economic nationalism) 문제를 차치하고라도, 위험하고 불가해(不可解)한 조치” 라며 경종을 울리고 있다.

 

그러면, 트럼프 정권은 과연 새로운 관세 부과로 무엇을 얻으려고 하는가? 이에 대해 Bloomberg 통신은 최근 기사에서 트럼프가 성취하고자 하는 목표를 대략 3 가지로 요약했다. 첫째; 외국산 제품이 미국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서 미국 내에서 생산 활동을 하는 미국 기업들을 보호하는 것이다. 둘째; 관세 수입을 늘려 1기 정권 당시 시행한 감세 조치를 2025년 이후로 연장할 재원으로 삼으려는 것이다. 셋째; 관세 부과라는 대안을 내세워 대외 협상 무기로 삼으려는 것, 등이다. 

 

■ “실제로는 ‘물가 상승’, ‘고용 감소’, ‘GDP 성장 둔화’ 등 역풍 예상”

사실, 트럼프 1기 정권 당시에도 중국을 중심으로 몇 차례나 고율의 관세를 부과했으나 지금까지도 그런 관세 인상 효과는 분명히 나타나지 않고 있다. 기업들이 관세 회피를 위해 미국내로 생산 시설을 옮겨 고용을 늘릴 수 있는 반면, 보복 관세를 불러와 오히려 국내 기업들의 고용이 위축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부문의 공급을 늘릴 대안이 궁색할 경우, 해당 제품의 국내 가격은 상승할 것이다.

 

Bloomberg 통신은 트럼프 1기 및 바이든 정권을 통해 부과된 고율 관세가 국내 물가에 미친 효과는 아직 정확히 평가되지 않고 있으나, 대체로 미국 가계에 연 625달러 상당의 추가 부담을 안겨준 것으로 추산된다는 견해를 전하고 있다. 동시에, 이로 인해 고용은 14만2,000명 줄어든 것으로 추산되고, GDP 성장률도 평균 0.2% 감소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번에 새로운 관세 부과로 인한 경제 효과도 ‘비슷한 범위에서, 더 큰 규모로’ 영향을 줄 것이라는 예상도 전하고 있다.

 

WSJ은 이번 캐나다 등 3개국에 부과한 고율 추가 관세로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구체적인 품목들을 선정해 보도하고 있다. 주로, 캐나다 및 멕시코 국경 지역에서 생산되는 토마토, 메이플 시럽, 아보카도 등 농산품, 목재, 자동차, 장난감, 스마트폰, 망치 등의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동시에, 이들 품목의 가격 상승으로 인해 전반적인 물가 수준도 상승할 것이 우려된다고 전하고 있다.

동 지는 캐나다 및 멕시코도 이번 ‘트럼프 관세’ 부과로 인해 미국 소비자들도 고통을 겪게 해주려고 시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국가들은 정밀 타격 수법을 동원해 워싱턴에 정치적 영향력이 큰 공화당 인사들의 출신 주에서 수입되는 미국산 제품에 보복 조치를 취할 것으로 전망했다. 앞으로 수일 내에 공표될 멕시코의 대응 조치도 이와 비슷한 선별적 형태로 공화당 인사들이 장악하고 있는 지역에서 생산되는 품목을 타겟으로 하는 보복 조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전했다.

 

영국 Financial Times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관세 부과에 따른 인플레이션 상승 우려로 인해 기업들의 거센 역풍에 직면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소비재, 석유, 식품, 자동차 부문 기업 단체들이, 이번 조치로 미국의 소비자 물가를 상승시키고 공급망에 혼란을 가져올 것을 우려한 거센 경고에 직면해 있다고 전했다. 동 지는 미국 최대 기업 단체인 전미상공회의소(US Chamber of Commerce) 대표가 트럼프 대통령이 국경 문제나 마약 문제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올바른 것이나, 고율 관세 부과로는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지 못할 것이고, 단지 물가를 상승시켜 미국 가계들의 부담을 늘릴 뿐이라고 주장했다고 전했다. 또한, 소비자 단체 CBA 그룹은 국내에서 공급이 어려운 원자재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소비자 물가를 상승시키고 미국 수출품에 보복 관세를 불러올 뿐이라고 경고했다고 전했다. 

 

■ “관세 전쟁이 본격화되면 세계 경제에 엄청난 충격을 불러올 우려” 

이런 상황에서, 트럼프의 선제 조치에 대응해서 상대국들이 보복 관세로 대응하는 등, 관세 전쟁이 본격화하는 경우에는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눈덩이처럼 커질 것이라는 우려도 고조되고 있다. Mizuho 증권은 이번 트럼프 관세 부과로 미 GDP 성장률이 0.76% 감소할 것으로 추산했다. 아울러, 관련 산업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 가능성 등,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심대할 것으로 전망한다.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부문이 자동차 산업이다. 미국 자동차 시장은 전세계에서 중국에 이어 두번째로 큰 시장이다. 따라서, 관련 기업들이 미국으로 생산 거점을 옮기는 사례가 늘어날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다. 다른 측면에서,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는 전세계 기업들의 對 중국 진출 전략을 수정할 가능성도 지적된다. 예를 들어, 이미 중국에 진출하고 있는 일부 기업들은 생산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인근 지역의 다른 국가로 이전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한편, 아직은 구체적 대상 품목이나 일정은 밝히지 않았으나, EU에 대한 관세 부과 방침도 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EU는 미국을 심하게 대접해 왔다. EU는 미국과 막대한 무역흑자를 향유해 왔다. 그러므로, 우리는 대단히 중요한 조치를 취할 생각이다. 관세를 원래 있어야 할 수준까지 끌어올릴 것” 이라고 말했다. 특히, EU는 미국산 자동차 및 농산물을 수입하지 않고 있다고 강조하고, EU의 세제 및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들의 방위비 부담에 대해서도 불만을 토로했다.

 

향후 관세 부과 대상에 다른 나라들을 추가할 수 있을 것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철강, 반도체 등, 개별 품목별로 관세를 인상하는 방안도 검토 중임을 암시했다. 이번 발표에서는 애매한 발언을 이어갔으나 ‘2월 18일 경’ 추가로 실시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한 연설에서 이미 반도체, 의약품, 철강 제품 등을 추가 관세 부과 대상으로 할 것이라는 방침을 밝힌 바가 있다.

 

이렇게, 트럼프 관세가 득보다는 수많은 역작용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많은 경제 전문가들은 막판까지 25% 관세 부과를 실제로 도입할 것인지에 회의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진다. 그러나,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이 대통령령(令)에 서명함으로써 고율 관세 부과가 현실화되자 글로벌 경제에는 각국의 대응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일거에 고조되는 분위기다. 당장에 글로벌 시장에는 미 연준이 인플레이션 압력 고조 예상으로 정책금리 인하에 신중할 것으로 보고, 고금리가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에 따라 당분간 ‘강(强)달러’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점쳐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2기 정권은 이제 제 몸을 불사르면서 상대방을 파멸시키려는 ‘승자 없는’ 소모전(消耗戰)을 시작하고 있는 것이다. 일 Nikkei(日經)가 3일 Morgan Stanley사 분석 결과를 인용해 보도한 바로는 ‘트럼프 관세’로 향후 1년 간 GDP 성장률이 미국 0.7%~1.1%, 중국 1.0%, 캐나다 2.3%~2.8%, 멕시코 2.0~2.5% 각각 하락할 것으로 추산했다. 개인소비지출(PCE) 상승률 기준 인플레이션율은 미국이 0.3~0.6%, 캐나다는 0.6~1.1%, 멕시코는 0.4~9.6%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미국 경제가 가장 큰 타격을 입게 되는 요인으로는 미국 경제의 핵심 부문인 개인소비가 위축될 것을 지적했다. 조사 기관인 Wolf Research의 분석으로는 미국 신차 판매 가격이 평균 3,000달러 이상 상승할 것으로 추산했다.

 

최근 보도로는 트럼프 대통령과 멕시코 샤인바움(Sheinbaum) 대통령이 전화 협의를 통해 멕시코 정부가 마약 단속 및 불법 이민자 유입을 단속하기 위해 국경 수비대 병력 1만명을 배치하는 대신 새로운 관세 적용을 한 달 간 유예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전해진다. 캐나다와도 대규모 재정 투입과 함께 국경 단속을 위한 전담 기구를 새로 설치한다는 조건 하에 '트럼프 관세' 적용을 역시 한 달 간 유보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해진다. 중국과도 곧 협의를 시작할 것이라는 소식도 들린다. EU 정상들도 한편으로는 협상을 진행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강력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트럼프 대통령이 내심으로는 상대국들과 협상할 여지가 있었다면, 무엇보다도 우방 동맹국들과는 호혜적인 분위기에서 사전 협상을 선행하는 절차를 밟았으면 지금과 같은 혼란과 충격은 생기지 않았을 게 아닌가, 하는 아쉬움이 크다. 이런, 일견 즉흥적인 것으로 보이기도 하는 트럼프의 저돌적인 자세는 글로벌 최강 대국인 미국의 최고 리더십으로서는 썩 어울리지 않는 모습이라고 하지 않을 수가 없다. 역사상 유례가 없는 중범죄자 대통령이 막무가내로 벌이는 광란의 춤 판의 결말이 지극히 우려될 뿐이다. 

<ifsPOST> 

 

 

0
  • 기사입력 2025년02월04일 11시00분
  • 최종수정 2025년02월04일 16시53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