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박재천의 디지털경제 이야기 <35> AI와 검색은 보완재 본문듣기 준비중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24년09월12일 17시10분

작성자

  • 박재천
  • 국가미래연구원 연구위원, 전 인하대학교 교수

메타정보

  • 1

본문

대화형 AI 모델들은 정보의 정확성과 깊이 면에서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질문에 대한 답변이 부정확하거나 불충분한 경우가 많고, 특정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운 상황도 있다. 정보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위해 참조문서를 제시하는 기능도 없다. 이러한 문제는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고 있으며, 특히 전문적인 정보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그 한계가 더욱 뚜렷하게 드러난다. 

 

또, AI 모델은 특정 시점까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된다. 예를 들어,  GPT-4 모델은 2023년 10월까지의 정보를 바탕으로 학습되었다. 그 이후의 정보는 포함되지 않는다. 실시간으로 정보를 업데이트하려면 지속적인 데이터 수집과 모델 재학습이 필요한데, 이는 기술적으로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작업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등장한 모델 중 하나가 바로 검색을 강화한 AI 모델들이다. 대표적인 것이 Perplexity AI다. 기존의 대화형 AI 모델에 검색 기능을 통합한 모델로, 단순히 대화형 AI의 기능을 넘어 다양한 웹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최신 정보와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답변을 제공한다. 질문에 대해 관련된 웹페이지를 검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의 답변을 생성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보다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빠르게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Scite가 있다. Scite는 논문과 같은 학술 자료에 대한 인용 정보를 제공하는 AI 도구로,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논문이나 주제에 대해 관련된 연구와 인용된 논문을 실시간으로 찾아준다. 이를 통해 논문의 신뢰성을 평가하고, 관련 연구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SearchGPT는 검색 기능을 강화한 대화형 AI로, 특정 질문에 대해 실시간으로 웹에서 정보를 검색하고, 결과를 종합하여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 모델의 강점은 최신 정보의 빠른 접근성과 사용자 맞춤형 답변 제공에 있다.   

 

이와 같은 모델들이 개발된 배경에는 대화형 AI 모델의 한계를 보완하려는 목적이 있다. 단순히 방대한 데이터셋을 학습한 AI 모델만으로는 최신 정보나 세부 사항을 정확하게 제공하기 어렵기 때문에, 검색 기능을 결합하여 원하는 정보를 적시에 보강하고자 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좀 더 신뢰할 수 있는 답변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점과, 실시간으로 최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검색 기능이 통합된 대화형 AI 모델들은 특히 논문 작성이나 전문적인 글을 작성할 때 큰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 모델들은 사용자에게 최신 연구 결과, 논문 인용, 또는 특정 주제에 대한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앞으로, 이러한 모델들은 다양한 분야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챗지피티가 출시된 이후 검색 기능과 시장이 AI로 인해 대체되어 사라질 것이라는 우려가 많았다. 그러나 AI서비스가 제대로 완성되기 위해서는 검색이 보강되어야 하는 것이 현실이다. AI와 검색은 대체제가 아니라 보완재로 역할하는 것 같다. 

​<ifsPOST> 

1
  • 기사입력 2024년09월12일 17시10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