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교육개혁 성공하려면… 본문듣기
작성시간
관련링크
본문
윤석열 정부의 교육개혁 핵심은 초중고 교육의 디지털 전환이다. 이주호 교육부 장관은 “ 2025년 상반기부터 디지털 교과서를 하반기부터 인공지능 튜터를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시도교육청은 각각 별도로 디지털교육 플랫폼을 구상하거나 구축하고 있다. 현행 디지털 교육의 문제점은 여러 가지다.
첫째, 하드웨어 보급에 치중하고 있다. AI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맞춤형 학습과 관련해 교과서의 AI 기반 디지털 고도화는 논외로 한 채 1인 1단말기 보급 방식에 치중하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 예산과 구축 기간이다. 디지털 교육 대전환의 최우선 과제는 현행 교과서의 AI 디지털 고도화다. 디지털 교과서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천문학적 예산과 상당한 개발기간이 소요된다.
셋째, 라이선스 비용 발생이다. AI 튜터의 공교육 활용을 위해서는 콘텐츠 사용료를 지불해야 한다.
그렇다면 AI 시대 디지털 교육개혁을 성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첫째, 목적 정립이다. 디지털 교육의 최종 목표는 미래 시대가 요구하는 역량을 키우기 위해 학생들의 특성과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학습을 하는 데 있다. 그러기 위해선 학교와 수업 현장 중심의 실제적인 디지털 교육 플랫폼을 제공해야 한다. 플랫폼은 AI와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생 개인별 맞춤형 수업 지원 기반이 돼야 한다.
둘째, 방향성이다. 교육부는 AI 학습 플랫폼 기반의 AI 디지털 교과서와 AI 튜터링 하이테크 하이터치 기반의 선도적인 공교육 인프라스트럭처 구축이라는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시도교육청은 검정교과서 퍼블리셔, AI 기반 학습 플랫폼 기업 등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K디지털 교수·학습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고객 만족이다. 디지털 교육의 최종 고객은 학생·교사·학교·학부모다. 학생은 개인별 스마트 학습기기를 활용한 학습환경을 원한다. 교사는 AI 기반 학습 데이터 수집·분석·피드백이 가능한 수업 시스템을 활용해야 한다. 학교는 에듀테크 기반 진단평가 솔루션을 구축해 학부모에게 자녀의 학습 성과와 자기주도 학습역량 분석 데이터를 제공해야 한다.
넷째, 플랫폼 구축이다. 학교 교과 이상의 학습 콘텐츠와 개별 맞춤형 학습으로 공교육의 확장 플랫폼이 필요하다. 교과 연계학습, 코딩 등 특별학습, 기초학력 증진 및 심화학습 콘텐츠 등을 확대 적용해 스마트 학습기에 탑재·운영할 수 있어야 한다. 방과 후 학습, 돌봄교실을 통해 맞춤학습과 자기주도 학습의 지원체계가 수립돼야 한다.
다섯째, 추진이다. 데이터·표준화·수집 데이터 분석과 적용을 위해서는 에듀테크 기업들의 컨소시엄을 구성해 민·관·학이 협력해야 한다. 정부는 법 제도 정비, 민간 차원에서는 기술을 제공하는 역할 분담을 해야 한다. 선도학교에 시범 적용한 후 확대해 나가면서 최종적으로 표준화된 플랫폼을 전면 적용하면 된다.
여섯째, 글로벌 수출이다. 교과서를 에듀테크 기반으로 학교 현장에서 활용하는 사례는 해외에서도 찾아볼 수 없다. 디지털 교과서 플랫폼이 제대로 구축돼 학교 현장에서 쓰일 수 있다면 미래 교육의 인프라 제공은 물론이고 글로벌 스탠더드를 선점해 수출길도 열 수 있다.
제도개혁과 정책 발표만으로 디지털 교육개혁이 성공할 수는 없다. 정부가 바뀔 때마다 교육개혁이 화두였지만 대부분 용두사미로 끝났다. 디지털 교육 성공의 핵심 키워드는 AI 디지털 교과서, AI 튜터링, 민관 협력사업 추진 모델이다.
정부가 내건 3대 개혁 중 유일하게 서둘러 성과를 낼 수 있는 것은 디지털 교육개혁뿐이다. 저출산 속 대학 구조조정,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 첨단산업 육성을 뒷받침할 것은 AI 디지털 교육개혁이다. 디지털 교육개혁 성공이 대한민국 미래 국운을 좌우한다. <ifsPOST>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