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관련링크
본문
태조 이성계는 1392년 모진 역경과 고난을 거쳐 조선(朝鮮)이란 새 나라를 건국했다. 위화도 회군 이후 만약 이성계가 권력에만 욕심이 있었다면 당시 귀족세력과 타협해 정권을 찬탈하면 그만이었다. 하지만 그는 그러한 길을 걷지 않고 수많은 전쟁터를 다니면서 백성들의 고난에 찬 삶을 직접보고 체험하며 보살피는 일에 더욱 마음을 쏟았다. 이성계에게는 백성이란 단어가 항상 마음속에 존재했으며 ‘배부르고 풍요로운 나라’를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항상 그를 떠나지 않았다.
이후 고려는 종말을 맞이하게 된다. 공양왕은 폐위되고 이성계를 고려의 왕으로 삼는다는 교지가 선포된다. 1392년 7월 17일 이성계는 고려의 도읍 송도 수창궁에서 즉위한다. 태조 이성계가 왕위에 오르자 다음날부터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고 전한다. 오랜 가뭄 끝에 내리는 단비라 이성계는 기뻐했고 백관에게 명을 내려 정령(政令)과 법제(法制)의 장단점과 변천되어 온 내력을 상세히 보고토록 한다. 이성계는 고려를 크게 개혁하고자 새로운 나라의 건국이념을 만들고 성리학을 장려하여 도학정치의 근본으로 삼는다. 사대부들은 정도전을 중심으로 입헌 군주제처럼 재상이 중심이 된 바른 정치 환경을 만들려 노력했는데 이성계도 민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위민사상(爲民思想)에 근거하여 자신의 신념으로 밝힌다.
즉위 3일 후인 7월 20일 조선시대 감찰기관인 사헌부는 이성계에게 임금이 지켜야 할 10가지 덕목을 상소로 올린다. 그 내용은
1. 나라의 기강을 바로 세워야 합니다.
2. 상주고 벌주는 일을 분명히 해야 합니다. 한 올의 사심도 있어서는 안됩니다.
3. 군자는 가까이하고 소인은 멀리해야 합니다.
4. 충언을 받아들이십시오.
5. 아첨과 고자질을 근절하십시오.
6. 무사안일과 욕망을 경계해야 합니다.
7. 매사에 절약하고 검소한 생활을 숭상하십시오.
8. 환관들을 멀리하십시오.
9. 불교를 개혁하고 승려를 배척하십시오.
10. 궁의 위엄을 중하게 여겨야 합니다.
태조 이성계는 “환관과 승려를 물리치는 일은 건국 초기 갑자기 시행할 수 없지만, 나머지는 모두 시행하겠소”라고 화답했다 전한다. 이러한 사헌부의 10가지의 덕목은 600년이 지난 현재에도 위정자들이 곱씹어 새겨야 할 중요한 항목들이다.
이윽고 7월 28일 새로운 국왕의 즉위를 알리는 ‘즉위교서’가 반포된다. 태조 이성계의 정신은 왕도정치였다. 요순 임금으로부터 공양왕에 이르기까지 군주들의 도를 깨우쳐 인자한 정치를 펼치는 것이 우선이었다. 군주가 현명한 재상을 선택하여 제도적인 통치를 실현할 때 이것이 곧 위민정치라 이성계는 생각했다.
“왕은 말하노라. 하늘은 백성들 가운데 군주를 세우고 그 군주로 하여금 백성을 편안하게 살게 했다. 따라서 왕도가 올바르면 백성들이 따르게 될 것이며, 그렇지 않으면 민심이 배반해 떠나는 것이 이치이다.”
조선은 성리학을 건국이념으로 세우고 이를 근거로 현명한 시대적 문명을 만들고자 했던 나라였다. 사헌부에서 임금에게 올리 상소문이나 태조 이성계의 즉위교서를 살펴보면 선비들의 가치관이 진솔히 담겨 있다. 선비정신(Seonbi Spirit)은 우리의 가장 소중하고 귀한 정신적 유산이다. 안으로 도덕적 인격적 수양을 갖추고, 밖으론 사리사욕을 넘어 공동체를 진정 생각하는 우리의 고유 정신이다.
십여 년 전 필자는 임마누엘 페스트라이쉬 교수가 지은 “한국인만 모르는 다른 대한민국”이란 제목의 책을 읽은 적이 있다. 외국인으로 바라본 한국인의 잠재력을 논한 글로 저자인 그도 한국의 정체성을 선비정신으로 제안했다. 선비는 도도한 삶, 학문적 성취에 대한 결연한 의지, 사회적 책임, 자연에 대한 조화 등을 포괄하면서 충분히 매력적인 개념이라 논했다. 또한, 그는 21세기 르네상스가 한국에서 꽃피는 상황이 생긴다고 해도 전혀 놀랄 일이 아니라고 덧붙여 말하기도 했다.
우리 전통인 선비정신은 2000년 이후 재조명되기 시작했고 다양한 정치, 경제, 사회에서 선비문화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심도 있는 우수한 인문학적 결과물을 내고 있다. 이제 한국인들의 핏속에 도도하게 흐르는 <선비정신>을 더욱 드높여 한민족의 세계관으로 올곧게 세우고 찬란한 민족의 번영을 위해 노력해야 하겠다.
<ifsPOST>
- 기사입력 2025년04월08일 17시10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