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김지연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2개
게시물
3개

1/1 페이지 열람 중


News Insight 게시판 내 결과

  • 직무 분석을 통해 살펴본 중장년 노동시장의 현황과 개선 방안 새창

    <주요 내용 요약>연령에 따른 직무 분석 결과, 취업자들은 청년기에 자료분석, 조직관리 등 전문적 업무를 주로 수행하다가 중년기 이후 육체적 단순노동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현상은 중장년 취업자가 생애 주직장을 떠나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 과정에서 겪는 직무 단절에 기인할 가능성이 높다. 향후 노동공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중장년층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노동시장의 구조적 문제들을 개선하여 직무의 연속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젊은 생산가능인구가 급감하며 인구구조 변화의 부정적 영…

    김지연(kimjiyoun) 2024-06-14 17:10:00

보고서 게시판 내 결과

  • 30대 여성 경제활동참가율 상승의 배경과 시사점 새창

    ■ 30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상승 추세는 해당 연령대의 유(有)자녀 여성 비중의 감소에 밀접하게 연동된 것으로 분석됨.- 30대 유(有)자녀 여성 감소가 현시점에서는 노동공급 둔화를 완화하고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생산가능인구와 노동공급 감소를 야기하면서 경제사회문제를 심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음.- 향후 5년간(2024~28년) 생산가능인구 감소, 고령화 등의 인구구조 변화는 취업자 수를 매해 3만~4만명 감소시키는 반면, 30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상승은 취업자 수를 매해 4만명 정도 증가시키며 인구구조 변화의 영향을 완화…

    김지연(kimjiyoun) 2023-12-02 17:01:00
  • 장기 경제성장률 전망과 시사점 새창

    ■ 우리 경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생산성 개선세가 둔화된 데 주로 기인하여 경제성장률이 하락한 것으로 분석됨. - 2001~10년 중에는 자본공급 증가세 둔화에 주로 기인하여 경제성장률이 하락함. - 한편, 1991~2019년 중 노동공급의 성장기여도는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됨. ■ 2020년대 이후 인구감소와 급속한 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로 우리 경제의 성장세는 점차 둔화되고, 2050년에는 경제성장률이 0.5%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됨. - 1인당 GDP 증가율은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생산연령인구가 감소하는 반면 경제활…

    김지연·정규철·허진욱 *(admin) 2022-12-10 17: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