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디지털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2개
게시물
948개

20/95 페이지 열람 중


News Insight 게시판 내 결과

  • 디지털 플랫폼의 명과 암 새창

    디지털 플랫폼 특징 디지털 플랫폼 전성시대다. 2022년 10월 말 세계 시가총액 기준, 상위 5위 안에서 4개, 즉 애플(Apple),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알파벳(Al-phabet,Google의모회사), 아마존(Amazon)은 빅테크 기업이자 디지털 플랫폼 기업이다. 이들이 시가총액 최상위권에 등장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애플은 2007년 CEO 스티브 잡스가 ‘아이폰’을 소개하면서 혜성같이 등장했다. 2009년 시가총액 기준 10위, 2010년 3위에 진입한 이후 단 한 번도 3위 밖으로 벗어나지 않았다.…

    송명진(songmungjin) 2022-12-18 16:40:00
  • 넥스트노멀 시대 스케일업의 차별적 특성 분석과 중소기업 스케일업 정책체계 구축에의 시사점 1) 새창

      ​​ 본고는 넥스트노멀 시대에 조응할 수 있는 현 정부의 스케일업 기업생태계 구축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체계와 정책과제를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해외문헌연구, 산업통계분석, 설문조사를 통해 지난 10년간 기업 스케일업의 현상적 구조, 스케일업의 고유 속성, 중소기업 스케일업의 차별적 특성을 분석하며, 중소기업 스케일업 정책체계 구축과 관련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분석 결과 중소기업 성장지원을 위한 정부의 다각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난 10년간 스케일업 중소기업의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이영주(youngjoolee) 2022-12-16 12:00:00
  • 메타버스 윤리원칙, 그 다음은? 새창

    메타버스 윤리원칙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11월 28일 사회관계장관회의에서 발표했다. 메타버스 윤리원칙은 3대 지향가치와 8대원칙으로 구성되었다. 메타버스 윤리원칙을 도출하기 위해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을 중심으로 12명이 연구반을 구성, 전국에서 만 20~69세에 속하는 2,6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의견을 시민 인식 조사, ‘메타버스 경제 활성화 민관 TF’ 등 의견 수렴하는 절차를 밟았다.메타버스 윤리원칙의 필요성은 일단 환영한다. 이에 대해서 몇 가지 논의할 필요성이 있다. 우선 메타버스 윤리원칙을 간단히 소개하고 논…

    윤기영(yoonkiyoung) 2022-12-06 17:10:00
  • 대분열 시대의 천하양분(天下兩分), 복합위기의 정점 새창

    '2023년 한국경제 대전망' 2023년은 대분열과 천하양분 시대이자, 그 속에서 진행되는 복합위기의 정점을 가계와 기업이 냉철하게 판단하고 가늠할 수 있느냐와 복합적 전환을 이루어낼 정치와 정부의 리더십이 진정한 시험대에 오르는 해다.  천하양분(天下兩分) , 진영과 정책의 이중분할  작년 이맘때 “2022 한국경제 대전망”을 출간하면서 우리는 2022년의 세계가 합종연횡의 시대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더해지면서 미-중-러-EU-인도 등이 복합적으로 얽히는 국가간의 합종연횡…

    지만수(jimansoo) 2022-11-16 20:40:00
  • 일본 엔화 약세의 원인과 귀결 새창

    1. 대담한 금융완화가 이루어진 배경 아베노믹스 실시 직전인 2012년말 달러당 86엔이었던 엔화 가치가 10년이 지난 2022년 11월(2일 시점)에는 147엔을 기록할 정도로 약세를 보이고 있다. 엔화 약세는 일본 경제 위상의 상대적인 추락과도 직결되는 문제이다. 엔화 약세는 2013년 3월부터 시작된 아베노믹스 전개로 촉발되었고, 2022년 인플레이션 대처를 위한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가속되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엔화 약세가 일본 경제에 미친 영향과 그 귀결을 짚어보고자 한다.  일본에서 2000년대는 디플레이션 문제가 본격화…

    국중호(kookjoongho) 2022-11-07 17:10:00
  • 한계기업 증가 가능성과 향후 과제 새창

    최근 금리·물가·환율·원자재가격 상승과 경기둔화로 향후 한계기업의 비중은 확대될 가능성이 있고, 이로 인해 기업구조조정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그동안 예견하지 못했던 코로나19발생으로 기업구조조정이 지연되는 경향이 있었으나 최근 경제여건상 기업구조조정을 계속 지연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향후 기업구조조정은 기업의 상황에 맞는 방식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제도적 뒷받침과 정책금융 등을 통한 지원이 필요함 ■ 한계기업1)의 비중2)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2021년에는 경기회복에 따른 기업의 매출증가, …

    구정한(koojunghan) 2022-10-31 17:10:00
  • 카카오 먹통사태의 교훈 새창

    새로운 정부는 디지털플랫폼정부를 기치로 한 곳에서 모든 서비스를 해결할 수 있도록 제로스톱(Zero Stop) 서비스를 실현하여 국민의 편익을 도모하고 비용절감을 꾀하고자 한다. 하지만 디지털시대의 변화 속도는 광속이고 그 폭은 쓰나미와 같아 공공기관의 역량으로 대처하기는 역부족이다. 필자는 오래 전부터 플랫폼 기업의 독점화의 폐해에 대해 누구보다 앞장서 비판해 왔다. 미국 연방거래위원회 (Federal Trade Commission) 위원장인 리나 칸(Lina Khan)의 컬럼비아대 교수 시절에 게재한 논문 '아마존의 반독점 역설…

    이상근(slee1028) 2022-10-25 17:10:00
  • 시진핑 3연임 확정돼도 앞날은 '험난하다' 새창

    중국의 집권 ‘중국공산당’ 20차 당 대회가 지난 16일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개막돼 현재 진행 중이다. 5년마다 열리는 당 대회에서는 지도 체제 구성, 당 규약 개정, 기본 정책 확정, 주요 인사 결정 등 주요 사안들을 논의 결정한다. 1주일 간의 일정으로 22일 폐막될 이번 당 대회에서는 2,300명의 대표들이 토론과 협의를 통해 종전의 관례를 깨고 시진핑(习近平) 총서기(겸 국가주석)의 3연임(⇒ 영구 집권?)을 결정할 것이 확실시된다. 이와 함께, 국무원 총리를 포함한 당 최고지도부를 포함해서 당 서열 상위 200위 이내의 …

    박상기(sangki) 2022-10-20 13:25:00
  • 인도, 중국 대신해 세계경제 이끌까? 새창

    - 인도, 식민지 모국 영국 제치고 세계 5위 경제강국 올라- 작년 인도 경제성장률 8.7%로 중국(8.1%)에 앞서  - 올해 성장률 전망도 6.8%로 3.2% 성장 예상의 중국 압도- 젊은 인구, 민주주의, 디지털 개혁 등으로 지속성장 예상- 중국은 미·중갈등, 1당 독재, 생산인구 감소 등 리스크 커- 다가올 ‘인도양의 시대’, ‘인도의 시대’에 대비해야 2003년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아주 흥미롭고도 야심찬 보고서를 발표했다. ‘브릭스와 함께 꿈을’이라는 제목의 이 보고서는 2030년대가 되면 중국 경제가 미국을 제치…

    오화석(ohwasuk) 2022-10-17 17:10:00
  • 디지털 복합지정학과 ‘플랫폼의 플랫폼’ 경쟁 새창

    최근 미중 두 강대국의 기술경쟁이 다양한 분야에서 벌어지고 있다. 그중에서도 핵심은 4차 산업혁명 분야의 첨단기술 경쟁이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미중이 벌이는 첨단부문의 기술경쟁은 민간 부문에서 기업들이 벌이는 경쟁의 차원을 넘어선다. 양국의 정부, 경우에 따라서는 양국의 국민까지도 참여하는 다차원적인 국력경쟁이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보면 좁은 의미의 기술과 산업을 넘어서 무역과 금융, 정책과 제도, 외교와 규범 등을 포괄하는 복합경쟁이 펼쳐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최근 미중 양국의 기술경쟁이 좀 더 넓은 의미…

    김상배(sbkim65) 2022-10-02 17: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