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경제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7개
게시물
262개

10/27 페이지 열람 중


보고서 게시판 내 결과

  • 미·중 통상분쟁, 패권전쟁의 전조인가? 새창

    ◈ 주제발표1. 미국과 중국 관계발전의 국면은 3단계로 나눠볼 수 있다. 제1기는 냉전 시기로 미중 수교 이전의 미국이 대중 봉쇄정책을 구사한 시기다. 제2기는 1972년 미중 수교 및 1978년 덩샤오핑 집권이후 국제기구 가입 등 미국이 주도하는 글로벌 질서 하에 편입된 시기다. 제3기는 2008년 국제금융위기를 계기로 중국이 독자적인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고 중국이 세계 주요국으로 부상을 본격화한 시기로 볼 수 있다.2. 이러한 과정에서 미국 쇠퇴론에 대한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고, 이에 대한 반론도 제기 됐던 게 미국과 중국의 관…

    왕윤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자문위원(admin) 2018-10-24 18:00:00
  • 최근의 경제동향(2018.10.4.일 분석) 새창

    기계·건설 설비투자 감소 폭 확대 지속9월 취업자수 증가 마이너스 기록 예상8월 전산업생산지수는 전년동월대비 1.5%p 증가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 6개월 연속 하락세로 2010년 이후 최저1. 2018년 8월 고용률은 전년동월대비 0.3%p 감소한 60.9%로 계속된 일자리 재난 상황이며, 9월 취업자수 증가는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8월 취업자수는 3천 명 증가로 8년 6개월만 최저 기록 갱신을 이뤘고, 8월 최저임금 상승 등의 경제정책 영향으로 10대 고용 감소폭 심화, 경기둔화 및 구조조정 여파로 30, …

    국가미래연구원 거시경제팀(admin) 2018-10-04 17:46:00
  • 2018년 하반기 고용전망 새창

    2018년 하반기 취업자 수 증가 월평균 최대 4만8천 명에 그칠 듯연간 월평균 취업자 수 증가는 최대 9만5천명, 전년의 30%수준전망모형에 최저임금 인상 등 반영 못해 ‘실제는 더 낮아질 가능성’올 하반기 평균 고용률 61.0%로 전년 동기 61.2%보다 0.2%p 감소실업률은 하반기 평균 3.5%로 전년 동기 3.3%보다 0.2%P 상승 전망​1. 2018년 하반기 취업자 수 증가는 전년 동기 대비 최대 월평균 4만8천명, 연간 월평균 취업자 수 증가는 최대 9만5천명으로 추정됐다. 이는 2017년 하반기의 월평균 27만2천명…

    국가미래연구원 거시경제팀(ifs) 2018-09-15 17:00:20
  • 최근의 경제동향 < 2018.9.4. 분석> 새창

    갈수록 악화되는 고용지표, 산업생산은 소폭 증가기계류, 전기 및 전자기기 설비투자가 감소, 주목해야1. 2018년 7월 고용률은 전년동월 대비 0.3%p 감소한 61.3%로 고용 쇼크 수준을 넘어 일자리 재난 상황에 이르렀다. 취업자수는 전년동기대비 5,000명 증가로 8년 6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최저임금 등의 경제정책 영향으로 10대 고용 감소폭 심화, 경기둔화 및 구조조정 여파로 30, 40대 위주의 고용이 대폭 감소했다.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가 대폭 감소하였으며, 일자리 취약계층인 임시근로자, 일용근로자 고용도 대폭…

    국가미래연구원 거시경제팀(admin) 2018-09-08 17:44:00
  • 최근의 경제동향 분석 <2018.8.17.> 새창

    고용쇼크를 넘어 ‘일자리 재난’ 수준수출은 전년동월비 6.2% 증가, 제조업과 공공서비스업 생산 위축6월 설비투자 및 건설투자 큰 폭으로 감소OECD 한국경기선행지수 15개월 연속 하락통계청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도 4개월 연속하락1. 7월 고용률이 전년동월대비 0.3%p 감소한 61.3%로 고용 쇼크 수준을 넘어 일자리 재난 상황에 이르렀다. 특히 취업자수는 전년동기대비 5천명 증가로 8년 6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정부예산이 투입되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고용은 증가하였으나, 경기…

    국가미래연구원 거시경제팀(admin) 2018-08-18 17:50:00
  • 2018년 5월 경제 동향 분석 새창

    전산업생산 1.7%p 증가했으나 서비스업은 –0.1%p로 침체 지속취업자수는 7.2만 명 증가로 고용절벽 상황이 지속종합 평가1. 2018년 5월 고용률은 61.3%로 전년동월대비 0.2%p 감소, 취업자수는 7.2만 명 증가로 고용절벽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특히 전월대비 50, 6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고용 감소가 나타났고, 1월 이후 임금근로자 취업자 증가폭 둔화와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증가했다.2. 6월 수출은 전년동월대비 0.1%p 감소했으나 전월대비로는 0.8%p 증가했다. 이는 선박, 무선통신기기, 철강제품,…

    국가미래연구원 거시경제팀(admin) 2018-07-07 17:47:00
  • 보호무역주의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새창

    ▲주최 : (사)경제금융협력연구위원회(GFIN)◈ 주제 : 보호무역주의와 금융시장 ▲ 박정우 연구위원 (한국투자증권)◈ 토론 ▲ 정철 ​본부장(KIEP 무역통상) ▲​ 양두용 교수(경희대학교 국제학과) ▲​ 이상진 회장 (현, 한국표준협회 회장, 전, 산자부 통상교섭실장)◈ 사회 ▲​​ 신성환 교수 (홍익대학교)“보호무역주의의 금융시장 영향은 제한적 예상”미국 금리상승 유발로 세계 경기둔화 가능성 상존한국영향 “환율압박으로 달러화에 대한 원화가치 상승”국제자본이동 제약으로 신흥국 자본유입 제동 걸릴 듯1. (사)경제금융협력연구위원회…

    (사)경제금융협력연구위원회(GFIN)(admin) 2018-04-28 18:33:50
  • 2018년 3월 경제동향 새창

    “고용구조 악화-고용률 하락에 실업률은 증가”3월 경제동향, 설비·건설투자도 둔화양상▲국가미래연구원 거시경제팀□ 종합 평가◯ (고용) 3월 고용률은 전년동월대비 0.1%포인트 하락한 60.2%, 실업률은 0.4%포인트 증가한 4.5%이며, 고용구조가 악화되고 있음- 3월 고용률은 60.2%로 전월 59.2%보다 증가하였으나, 전년동월 60.3%보다 하락- 연령대별로는 전월대비로 20대와 50대 이상 고용이 증가하였으나, 30대와 40대 고용 감소하였으며, 성별로는 50대 이상 여성의 고용이 전년동월대비로 계속하여 증가- 종사상 지위…

    국가미래연구원 거시경제팀(admin) 2018-04-15 17:58:12
  • 비트코인, 돌멩이인가, 신화폐인가? 새창

    *관련 동영상: [포럼/세미나]비트코인, 돌멩이인가, 신화폐인가?​‘거래소 폐쇄’는 무리, 어느 정도 규제는 불가피인터넷처럼 일상적인 기능으로 자리 잡아 혁신 가능케 할 것사회적 혼란 막기 강도 높은 규제 정책적 일관성 유지‘미래가치 투자’라기보다 ‘투기수단’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투기수익에 대해 과세 및 실명제 방향으로 가야 한다1. 경제금융협력연구위원회(GFIN)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가상화폐’에 대한 세미나를 열고 주제발표와 토론을 가졌다. ▲ 정영록 서울대 국제대학원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세미나는 ▲김승주 고려대 교수…

    GFIN(경제금융협력연구위원회)(admin) 2018-01-27 17:33:00
  • 2018 이슈와 트렌드: 세계경제와 한국경제 전망 새창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의 발생가능성을 주목 한다소득주도성장 보완할 혁신주도성장 통해 투자확대 이뤄야신생 중소기업차원의 ‘기회의 창출’과 규제정책 개선세계경제환경, 미·일시장 부활과 중국시장의 상대적 감속중국에 치우친 한국기업의 성장전략 일정 정도 재조정해야1. 2018년 중장기 전망에서 첫 번째 핵심주제는 “한국경제는 일본경제와 같이 ‘잃어버린 20년’이라고 불리는 장기불황의 전철을 밟아 가는가?”이다. 우선 가장 큰 차이는 1990년대 일본이 심각한 디플레이션과 재정적자에 직면했던 것에 비해 2010년대 한국은 재정 흑자를 보…

    이 근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경제(admin) 2018-01-06 17:3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