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10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개
게시물
756개

75/76 페이지 열람 중


보고서 게시판 내 결과

  • 민생지수 (2013년 7월) 새창

    국민들의 살림살이, 즉, 민생이 얼마나 어려워졌는지에 대해 지금까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지표가 없어 정부정책의 방향설정이나 민생의 어려운 정도에 대한 판단이 어려웠다. 민생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민생지수는 민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5개의 긍정적인 요소와 6개의 부정적인 요소로 항목을 구성한 후 가중평균하여 산출하였다. 각 항목들의 가중치는 긍정적 요소로 고용률(25%),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의 비율(25%), 가계 실질소득(25%), 자산으로서의 실질부동산 가격(20%), 금융자산으로서의 주식가격(5%)을 사용하였으며, 부정…

    경제 1팀,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3-07-09 17:18:55
  • 국민안전지수 (2013년 7월) 새창

    국민안전지수의 산정을 위해 3개의 대항목(사회안전, 자연재난/재해안전, 식품안전)과 5개의 소항목(범죄율, 이혼율, 자살률, 자연재난/재해안전, 식품안전)으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국민안전지수를 구성하고있는 소항목들이 년도별 데이터이기 때문에 소항목들을 0~-100(모두 부정적 요소)으로 지수화한후 2003년을 100으로 전환하여 2012년까지 산출하였다. 가중치는 소항목별로 모두 20%로 등가증치를 부여하였다. 5개의 소항목을 가중평균한 국민안전지수의 산출결과에 의하면 2003년 100으로 시작한 추세는 2006년에 145.3…

    거시금융팀(admin) 2013-07-09 17:17:48
  • 정책금융개편방향에 대한 무역보험공사의 반론 새창

    1. 무보-수은간 역할 재정립 방안 󰊱 우리나라에서는 1국 2 ECA가 수출을 진흥하기 효과적인 구조 ㅇ 1국 2 ECA 체제의 장점은 정부가 두 개의 ECA를 경제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 * 민간유동성이 풍부한 상황에서는 무보의 역할을 확대하고, 민간유동성 부족시에는 수은의 역할을 확대함으로써 정책의 유연성과 최적성 달성 󰊲 양 기관 통합시 금융수요 부응 미흡, 운영리스크 발생 등 부작용 우려 ㅇ 통합시 다양한 금융수요에 부응하기 어려운 비탄력성 우려 …

    무역보험공사(admin) 2013-06-19 11:10:30
  • 일자리창출형 균형성장전략 새창

    60년대 이후 우리 경제는 수출 대기업 중심의 경제성장을 지속하여 일인당 국민소득을 100달러 수준에서 2만달러이상으로 증대시키면서 한강의 기적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97년, 2008년의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성장의 내용이 대•중소기업간, 내•외수간의 불균형과 일자리 창출력 저하라는 구조적 결함이 드러났다 우리는 새로운 성장전략을 모색해야 하고, 내•외수간, 대•중소기업간의 균형발전과 일자리 창출력의 증강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1. 고부가가치 산업전략을 추진한다 좋은 일자…

    일자리팀(admin) 2013-06-09 10:10:05
  • 기업 수익성 악화와 부실 위험 새창

    2013년 기업 수익성 악화 가중 예상 2013년 2분기부터 엔저 영향 본격화, 자동차∙철강∙기계∙화학 등 대기업들의 수익성 악화 불가피. 삼성경제연구소, 100엔/$, 1,000원/$ 경우: - 수출기업 중 영업이익 적자기업 비중, 현재 33.6% ⇒ 69%로 급증 예상 2013년 상장기업 매출액영업이익률 4%대, 적자기업비율 30%대 진입 예상. 기존의 건설∙부동산, 조선, 해운 부실위험에 엔저로 인한 수익성 악화 충격 가중. 시중은행 대기업∙3대 부실업종 여신 2…

    김 동원, 고려대 초빙교수(admin) 2013-05-29 05:59:30
  • 소프트웨어산업 육성의 성공조건 새창

    (보고서의 내용은 동영상으로도 제작되어 있습니다. http://ifs.or.kr/bbs/board.php?bo_table=board_tech&wr_id=8)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산업은 한마디로 매우 열악하다. OECD 19개국 중에서 14위에 불과하다. 시장규모도 20조원 수준으로 작아서 全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 불과하고 그 성장률은 1% 내외다.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기업은 대체로 영세하고 글로벌 경쟁력이 취약하다. 대부분 매출 10억원 미만 기업들이다, 소프트웨어 기업의 낮은 수익성은 소프트웨어 개발자에 대한 낮…

    김 진형, KAIST 교수(admin) 2013-05-01 01:01:37
  • 콘텐츠 산업의 일자리 창출 정책 새창

    콘텐츠 일자리 창출 추진 비전 창조적인 일자리를 선도하여 우리나라를 창조경제로 변화시키고 글로벌 콘텐츠 강국 실현 추진 목표 : 콘텐츠 산업에서 10만명의 일자리 창출 (2013-2017) 콘텐츠 일자리 창출 추진 방향을 크게 두 가지로 본다면, 첫째로 ‘공급주도형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즉, 재정지출을 확대하는 수요 유도형보다는 신규 고용을 조건으로 하거나 직접 일자리를 만드는 정책이 효율적이라는 의미다. 둘째로, ICT 생태계, 즉 C-P-N-D 생태계에서 그동안 P N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P N 과 함께 C…

    김 대호, 인하대 교수(admin) 2013-04-28 08:11:18
  • 2013년 대통령덕목 및 수행능력 관련 2040 조사결과 보고서 새창

    1. 대통령의 덕목에 대한 의견 1) 대통령의 덕목에 대한 중요도 2040세대가 중요시 하는 대통령의 덕목으로 ‘도덕성(26.4%)’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의사소통 능력’(20.5%), ‘공정사회 수행능력(18.7%)’, ‘갈등 조정 능력(10.8%)’ 등의 순임. 2012년 결과에 비해 ‘의사소통능력’은 작년의 10%에서 올해는 20.5%로 크게 증가된 반면, ‘경제성장 수행능력’은 오히려 16.7%에서 8.3%로 크게 낮아짐. 2) 박근혜대통령의 덕목별 수행 능력 대통령의 덕목별로 박근혜대통령의 수행 능력에 …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3-04-23 20:04:09
  • 2013년 국가 정책과제 관련 2040 조사결과 보고서 새창

    국가미래연구원에서는 우리나라의 주요 정책 과제에 대해 2040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하여 향후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박근혜정부에서 발표한 5대 국정목표 중 가장 우선해야할 과제를 2040에게 질문한 결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창조경제’가 34.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맞춤형 고용/복지(28.9%)’, ‘안전과 통합의 사회(19.3%)’, ‘창의교육과 문화가 있는 삶(13.8%)’, ‘행복한 통일 시대의 기반 구축(4.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1년전관 비…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3-04-14 09:58:51
  • 최근 한국경제상황 진단과 거시경제정책 새창

    한국경제는 과거 10년 동안 세계경제와 맥을 같이 하였으나 최근에는 세계경제가 회복의 조짐을 보이는 데에도 불구하고 이와 괴리되어 침체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 가장 큰 이유는 미국 중국 유럽 등이 강력한 경기부양정책을 실시하고 있는 데에 비해, 한국에서는 여러 가지 경제 이슈에 묻혀서 거시경제정책의 방향을 확고히 잡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와 같은 추세가 계속되는 경우 한국이 지속적인 저성장의 늪에 빠져 잠재성장률 자체가 추락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경제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경기부양에 …

    현 정택, 인하대 교수(admin) 2013-03-30 14: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