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디지털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개
게시물
174개

2/18 페이지 열람 중


보고서 게시판 내 결과

  • 양회(兩会)로 살펴본 2024년 중국 산업정책 방향 새창

    2024년 중국 양회의 산업정책 핵심키워드는 ‘새로운 품질 생산력’과 ‘AI+’중국 산업의 질적 성장과 기술혁신에 대응하는 전략 긴요- 2024년 중국 양회에서 발표된 정부업무보고에서는 과학기술 혁신을 통한 산업의 질적 성장과 기술혁신, 높은 수준의 대외개방 등을 강조하며 미국의 기술견제에 대한 대응전략을 제시-‘새로운 질적 생산력(新質生產力)’을 통해 산업의 혁신과 고도화를 창출해야 한다고 강조- 신흥산업(스마트커넥티드카·수소에너지·신소재·혁신신약·바이오제조·상용항공우주·저공경제(低空經濟) 등의 산업생태계 구축과 미래산업(양자·생…

    조은교(choeunkyo) 2024-03-23 15:01:00
  • 2024년 산업통상 주요 이슈 분석과 우리의 대응 방향 새창

    -  (글로벌 산업통상 환경) 2024년 세계 경제는 불확실성이 큰 가운데 약 3% 정도의 성장이 예상되며, 우리나라는 약 2% 성장 전망-  (주요 통상이슈) 우리나라의 교역과 투자가 북미지역으로 옮겨 가는 추세 지속 예상-  (주요국별 이슈) 지역별 주요 선거의 영향으로 정책변화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독자적 통상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 증가-  (산업통상 대응 방향) 산업통상 현안에 대한 근본적이고 선제적인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하며, 상호 동반성장을 위한 독자적·근본적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2024년은 주요국의 대선과 총선 그리고…

    산업연구원(KIET)(sanupyoun) 2024-03-21 10:22:31
  • 메타버스의 진화 : 공간 컴퓨팅과 AI 융합(Evolution of Metaverse : Convergence with Spatial Computing and AI) 새창

    <주요 내용 요약>► 공간컴퓨팅과 AI의 메타버스 융합은 현재 메타버스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발전 기회를 공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메타버스가 가상과 물리 세계의 융합을 의미함에도 불구하고, 로블록스, 제페토 등 일부 가상세계에 국한된 인식을 넘어서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궁극적으로는 공간기반의 생활 방식 변화와 함께 “디지털 공간경제”가 디지털 경제의 주요축으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공간컴퓨팅과 AI가 메타버스에 융합되면서 나타나는 메타버스의 진화 방향은 크게 3가지로 예상된다.► 첫 번째는 “공간의 진화”이다. …

    한상열(gkstkdduf) 2024-03-12 10:37:00
  • 스마트 제조 혁신을 위한 제조서비스 활성화 방안1) 새창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제조업에서의 디지털 전환인 스마트 제조의 성공적 구현을 위해 지속적인 스마트 제조·혁신이 요구된다.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균형있는 스마트 제조 생태계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이에 제조기업의 성과 제고에 편중되어 있는 국내 스마트 제조 혁신정책의 전환이 요구된다. 제조서비스의 활성화와 역량 제고는 정책 전환을 위한 효과적인 수단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서비스의 개념과 유형을 식별하고 자발적 혁신 유도와 혁신 기반 구축이라는 관점에서 국내 제조서비스 기업의 혁신 활성화와 역량 제고를 위해…

    KIET 이상현‧박지원*(admin) 2024-03-09 17:00:00
  • 고금리가 제조기업의 재무건전성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새창

    ​고금리 장기화가 제조기업의 재무건전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파악 및 실효성 있는 대책 수립이 시급- 최근 발표된 미국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전년 동월 대비 3.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예상치 상회하며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크게 위축- 작년 내내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었고 올해 상반기 금리 인하 가능성 또한 낮아 제조기업의 재무적 안정성·수익성 악화 등 부정적 영향이 본격화- 이번달 14일 당정은 기업들의 고금리 부담 완화와 신산업 전환 촉진을 위해 맞춤형 기업금융 지원 방안을 발표하였는데, 업종별로 고금리에 취약한 정도가 …

    산업연구원(sanupyoun) 2024-02-22 11:53:00
  • CES 2024에서는 어떤 새 기술 흐름을 읽을 수 있었나? 새창

    ► 전 세계 온갖 신기술과 새로운 가전제품이 선보이는 CES가 지난 1월 12일 막을 내렸다. 1967년부터 시작된 CES는 1998년부터 라스베이거스에서 매년 1월에 개최되는데 올해는 세계 150개국에서 4124개 업체가 참여했다. 참여업체 수를 보면 미국이 1,148개, 중국이 1,104개, 한국이 772개 업체 등이 참가했다. 대표적인 참가업체는 구글, 아마존, 퀄컴과 한국의 SK,삼성, LG, 현대차, 롯데, HD현대, 두산 등이다. 그런데 최근까지 하이라이트를 받았던 자동차회사들의 참여가 저조했다. 자율주행기술의 큰 진화가…

    염용섭(ysyeum) 2024-02-10 17:00:00
  • 국내은행 성장세 둔화는 지속될 전망 - GFIN, 2024년 경제 금융 전망 세미나 새창

    경제금융협력연구위원회(GFIN)는 지난 1월18일 서울가든호텔 2층 그랜드 볼룸에서 금년도 첫 정기 세미나를 열고 “2024년 경제 금융 전망”을 주제로 발제와 토론을 벌였다. 이날 세미나는 ▲ 정중호 하나은행 부행장의 사회로 ▲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발제와 참석자 토론 순으로 이어졌다.<사진은 GFIN 1월 세미나 전경>다음은 이날 발표된 이병윤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의 발제 내용을 간추린 것이다.<관련 영상 보기>https://www.ifs.or.kr/bbs/board.php?bo_tabl…

    GFIN(admin) 2024-02-03 17:00:00
  • IPEF 협상 타결: 주요 내용과 전망 새창

    ▶ 인도·태평양 지역 최대의 새로운 경제협정인 IPEF가 11월 APEC 정상회의 기간에 협상을 개최하였으며 필라3(청정경제)과 필라4(공정경제) 협정 타결에 합의하는 성과를 도출함.- IPEF 참여국들은 7차 공식협상과 장관회의에서 필라3(청정경제)과 필라4(공정경제) 타결에 합의함.- 이번 회의에서는 세계 최초의 공급망 관련 국제협정인 필라2(공급망)에 대한 서명도 이루어짐.- 다만 필라1(무역)의 경우 일부 챕터(특히 노동, 환경, 디지털 경제)를 중심으로 협상을 지속하기로 함.- 한국 전체 수출입에서 IPEF 참여국 비중은 …

    김종덕‧이천기‧예상준‧이주관‧금혜윤*(admin) 2023-12-23 16:55:00
  • SW관련 주요 디지털 통상 규정의 배경과 내용분석 새창

    <내용 요약>1. 1995년 세계무역기구(WTO) 출범 후 인터넷의 확산에 따른 전자상거래가 등장했다. 전통적인 상품의 국경간 전자상거래도 급속히 확대되었지만, SW 등 디지털제품이 저장매체가 아닌 인터넷으로 전송되는 유통방식의 변화와 관세 제도에 미치는 영향이 새로운 이슈가 되었다.2. 또한 정보보안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서 SW의 보안취약점에 대비한 정부의 소스코드 열람 가능성, 강력한 암호화 기술이 점점 더 많은 SW제품과 서비스에 탑재되면서 발생하는 국가의 전통적 규제권한과의 조화문제도 논의되기 시작했다.3. 아…

    이현승‧류채연*(admin) 2023-12-22 14:34:48
  • 2024년 경제 및 금융시장 전망-업권별 전망과 과제 새창

    한국금융연구원(KIF)이 발표한 주요내용 요약한국금융연구원은 지난 11월 16일과 17일 이틀 동안 은행회관 2층 국제회의실에서 ‘2024년 경제 및 금융시장 전망’과 ‘2024년 금융업권별 전망 및 경영과제’ 세미나를 열고 내년도 경제 및 금융시장을 진단했다. 이번 세미나에서 ◈ 2024년 경제 및 금융시장 전망은 한국금융연구원(KIF)의 ▲박춘성 거시경제연구실장과 ▲김남종 연구위원이 발표를 담당했으며 ◈ 금융업권별 전망 및 경영과제는 ▲권흥진 연구위원(은행산업 및 금융혁신) ▲오태록 연구위원( 비은행예금취급기관 및 여신전문금융업…

    한국금융연구원(KIF)(admin) 2023-12-09 16:3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