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디지털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개
게시물
59개

6/6 페이지 열람 중


김광두의 1년 후 게시판 내 결과

  • “공정한, 혁신 경제생태계로 희망을” 새창

    철저한 구조조정 등 고통분담으로 시한폭탄을 제거해야민간혁신경제 체제를 구축하고 정부역할을 재정립4차산업혁명의 인프라로 혁신 생태계 구축 절실교육개혁 및 교육산업 육성을 통한 인적 자원 고도화1. 세계경제의 급격한 변화의 물결 속에서 한국경제는 △성장잠재력의 하락 △저출산 고령화의 심화 △숙련 편향적 과학기술 △사회갈등의 지속 △ 소득 및 교육의 불평등 심화 등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어 새로운 변화와 개혁의 원동력을 찾아야 할 시점이다.2. 한국경제의 현주소를 진단해 보면 ① 고도비만증에 걸려 있다. 즉 부채의존 경제의 심화가 심각하다…

    김광두, 서강대학교 경제학부 석좌교수(admin) 2017-03-25 17:40:56
  • [보수진보토론회] (토론) 교육불평등 백년대계의 개혁방향은? 새창

    ▲국가미래연구원, 경제개혁연구소⋅경제개혁연대 공동주최국가미래연구원과 경제개혁연구소⋅경제개혁연대는 24일 「교육의 불평등, 백년대계의 개혁 방향은?」토론회를 개최했다.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 원장의 사회로 진행된 이 날 토론회는 김희삼 교수(광주과학기술원 GIST대학)와 이기정 교사(서울 미양고등학교)가 발제를 맡고, 곽노현 전 서울시 교육감, 김정래 부산교육대학교 교수, 황영남 서울 영훈고등학교 교장, 성열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장, 남기곤 한밭대학교 교수 등이 토론자로 참여했다.다음은 이날 발표된 토론내용을 간추린 것이다. <…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6-09-03 21:24:10
  • 북유럽을 가다 1 - 앵그리버드의 신화 _ ROVIO社 새창

    Introduction - 2003년 대학생 3명이 설립한 게임회사 ROVIO가 2009년에 52번째로 만든 게임 의 대성공으로, 핀란드에서 몰락한 NOKIA의 대안으로 떠오른 창조경제형 기업의 사례가 됨.- 게임캐릭터를 활용한 라이센스, 만화채널, 교육/출판, 공원사업 등 사업분야 확장을 통해 종합엔터테인먼트회사 지향하며, 2012년 매출 약 2200억원을 달성. - ROVIO는 어떻게 세계인의 사랑받는 기업이 되었고, 이들의 꿈은 무엇일까? 1. Peter Vesterbacka (Chief Marketing Officer) - …

    국미연 일자리팀(admin) 2015-07-27 20:47:42
  • 김진해의 문화이슈 까톡_ 7회 광고 새로운생태계를 창조하라 새창

    1. 광고, 예술인가 상업인가? -상업적 요소가 강하나 표현 방식은 아트-광고 화법은 다양한 예술적 표현 방식을 차용하는 상업예술-광고는 전시예술, 공연, 영화 등을 차용하여 예술의 범주에 포함됨-광고는 문화임2. 광고계 현황은?-2014년 광고시장 약 10조-창조에 목말라하는 젊은이들이 선호함-입사경쟁은 치열하나 실은 3D 직종처럼 힘들고 고된 직업3. 청년들, 광고인이 되기 위한 소양은?-채용시 청년들의 잠재적인 능력, 즉 ‘창의적 인재’이지의 여부가 중요함-고로, 자신만의 독창적인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는 능력 개발이 필요-근…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15-04-18 18:26:40
  • 미래사회 메가트랜드와 과학기술 전망 새창

    1. 과학기술은 사회경제적 요구에 의해서 발전한다. 그리고 다시 과학기술은 사회경제적 변화를 야기한다. 즉, 사회경제와 과학기술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며 동시에 발전해나간다. 미래의 기술을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것은 미래사회에서 더 잘 살기위해서만이 아니라 미래사회를 대비하고 준비하기위해서 그리고 새로운 미래의 희망과 비전을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다. 2. 1970년에 대한민국 정부에서 만든 2000년의 한국에 대한 예측보고서를 지금의 실제상황과 비교해보면 우리의 지금의 모습을 좀 더 잘 평가할 수 있다. 1970년에 …

    문 길주, 대기환경보전단체연합회 회장(admin) 2014-03-04 19:53:29
  • 북유럽을 가다 1 - 앵그리버드의 신화 _ ROVIO社 새창

    Introduction - 2003년 대학생 3명이 설립한 게임회사 ROVIO가 2009년에 52번째로 만든 게임 의 대성공으로, 핀란드에서 몰락한 NOKIA의 대안으로 떠오른 창조경제형 기업의 사례가 됨. - 게임캐릭터를 활용한 라이센스, 만화채널, 교육/출판, 공원사업 등 사업분야 확장을 통해 종합엔터테인먼트회사 지향하며, 2012년 매출 약 2200억원을 달성. - ROVIO는 어떻게 세계인의 사랑받는 기업이 되었고, 이들의 꿈은 무엇일까? 1. Peter Vesterbacka (Chief Marketing Officer)…

    일자리팀(admin) 2014-02-17 03:23:18
  • 유대인 글로벌 인재교육, "우리의 무대는 세계다" 새창

    창조경제의 중요한 한 축이 창의인재의 교육이다. 창의인재교육에 있어서 가장 잘 알려진 것이 유대인의 교육법일 것이다. 유대인의 인구수는 세계의 0.15%이지만 노벨상수상자중에서 25%를 차지하고, 아이비리그 입학생중에서도 약 25%를 차지하는 놀라운 성과를 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앤디 그로브(인텔), 스티브 발머(마이크로소프트), 래리 앤더슨(오라클), 마이클 델(델 컴퓨터), 마크 저커버그(페이스북), 브르게이 세린과 래리 페이지(구글)와 같은 디지털 업계의 대표적인 기업들의 창업자들이 우대인이다.그렇다면 유대인들의 이런 성공의…

    육 동인, 커리어케어 대표(admin) 2013-10-22 21:32:07
  • [IFS 세미나] 창조경제 정의 새창

    “창조경제”란 새로운 아이디어의 창출(창조력), 새로운 아이디어나 기존 아이디어의 기존∙새로운 기술과의 융∙복합(응용력), 새로운 아이디어나 융복합 기술의 사업화(실천력)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중소∙벤처기업의 창업이 활성화되고, 중소∙대기업 간의 상생구조가 정착되어 일자리 창출형 성장이 선순환되는 경제. 특히 디지털 시대에서는 실물자산, 금융자산보다 지식자산의 중요성이 더 커지게 되는 경제구조가 될 것이다. 창조경제는 세계경제의 국가간 분업 구조의 동태적 변화 속에서, 한국의 입지를 지속적으로 확보하여, 한국의 “미래 먹거리”…

    김 광두, 국가미래연구원 원장(admin) 2013-05-15 07:53:18
  • 콘텐츠 산업의 일자리 창출 정책 새창

    콘텐츠 일자리 창출 추진 방향을 크게 두 가지로 본다면, 첫째로 ‘공급주도형 정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즉, 재정지출을 확대하는 수요 유도형보다는 신규 고용을 조건으로 하거나 직접 일자리를 만드는 정책이 효율적이라는 의미다. 둘째로, ICT 생태계, 즉 C-P-N-D 생태계에서 그동안 P N 중심이었다면 이제는 P N 과 함께 C를 중심으로 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단순하게 C만 중시하는 것이 아니라 C-P-N-D 생태계 속에서 C를 보는 패러다임을 의미한다. 우리가 지금까지 생태계의 뒷 단에서 성과를 보았다면 이제는 제…

    김 대호, 인하대 교수(admin) 2013-04-28 08:0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