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미래연구원은 국민행복에 도움이 되는 사회적 담론 형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상세검색

이슈 전체검색 결과

게시판
1개
게시물
99개

2/10 페이지 열람 중


김광두의 1년 후 게시판 내 결과

  • [산업경쟁력포럼] 혁신을 저해하는 규제: 어떻게 혁파할 것인가 | 이혁우 배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새창

    ◈ 주제발표<1> 혁신을 저해하는 규제, 어떻게 혁파할 것인가?▲ 이혁우 배재대학교 행정학과 교수1. 규제개혁 거버넌스의 개편이 필요하다. 그동안 정부에 따라 추진의 정도와 내용에 기복이 많았고, 추진체계 지속 변화뿐 만 아니라 예산/조직/인적자원 등 규제개혁 투자부족으로 정부 내 규제관리 역량 축적이 안 됐다.2. 정부 내 규제개혁 bottle-neck를 해소할 수 있는 핵심대안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① 규제개혁장관회의: 대통령이 주재하고, 규제개혁에 대한 주기적 보고체계를 확립해 각 부처에 규제…

    이혁우(woo1111) 2023-03-02 15:29:53
  • [대담] 대선 결과를 분석하면 지방선거가 보인다 - AI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심층진단 새창

    한성대학교 김상봉 교수는 빅데이터 여론조사회사인 (주)위너아이와 함께 AI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대선 진행과정에서 나타나 각종 이슈의 파장과 민심의 향배를 꾸준히 추적해왔다. 오늘의 대담은 이러한 AI빅데이터 분석을 토대로 황희만 전 MBC부사장의 진행으로 대선 진행 과정과 결과를 심층 분석하고, 아울러 오는 6월1일 치러지는 지방선거의 향배를 짚어보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편집자]6월 1일 지방선거 경기지역은 국민의힘 힘든 선거 될 듯윤석열·안철수 후보 단일화 “효과 있었다”▲ 황희만(이하 황) :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20대 …

    김상봉(brainkim75) 2023-03-02 14:40:47
  • [산업경쟁력포럼] 기술주권, 경제안보 - 토론 새창

    ◈ 토론▲ 김진형 인천재능대학교 총장-산업경쟁력의 원천은 AI이다. 그러나 현 AI기술의 능력과 한계를 알고 적용해야 한다. 이제는 사람과 기계가 한 팀으로 일을 해야 한다.-AI기술의 확산은 필시 일자리문제를 불러온다. 청년실업은 예견되었던 일이다. 이 문제의 근원에는 교육에 있다. 대학의 소프트웨어 교육이 기술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플랫폼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과 교육을 추진해야 한다. 총장을 맡고 있는 인천재능대학교는 AI-SW교육을 특화시킨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덕환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현재 기술패권, 기술주…

    국가미래연구원(admin) 2023-03-02 11:28:22
  • [국미연 특강] 美 통화정책 및 인플레 논란, 시장 함의는? | 서철수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장, CFA 새창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장 서철수입니다. 우리 국가미래연구원에서 또 이렇게 뵙게 돼서 반갑습니다. 최근에 이슈가 되고 있는, 인플레이션. 그리고 그것이 시장, 특히 주식 시장에 어떤 함의를 갖는가? 이런 부분들에 대해서 이번 시간에 조금 더 말씀을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제일 중요한 포인트는 작년부터 양대정책. 즉,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의 커다란 변화가 생겼다는 겁니다. 통화정책은 미국 연준의 폴 볼커(Paul Volcker) 의장 이래로 미연준이 이른바 선제적인 통화정책을 해왔습니다. 인플레 생기기 최소한 몇 분기 전에 미리 선제적인 …

    서철수 미래에셋리서치센터장(admin) 2023-03-02 10:17:21
  • [辛경제] 주가 전망, 불안한 이유 ③ 국제금리 동향 새창

    - 주식시장을 불안하게 보는 세 번째 이유로는 금리 문제다. 지난 2008년도 국제금융위기 이후 미국을 필두로 해서 전 세계가 거의 제로금리를 보였다. 벌써 12년~13년째 해 오고 있다.- 이런 초저금리가 상당히 많은 문제점을 유발하고 있다. 무슨 문제냐? 돈이 실물경제로 흐르지 않고 증시에 몰리거나 부동산 투기에 동원된 것이다. 그런 문제점을 맨 처음 파악하고 대책을 세운 사람이 미 연준(FRB)의 재닛 옐런 의장이다. 2015~2017까지 연준의장으로 있으면서 연방은행이 푼 돈이 실물경제로 가야하는데 증권 쪽으로 흘러가 증시를…

    신세돈(seshin) 2023-02-28 13:38:11
  • [GFIN 공개세미나] 팬데믹 이후 기업의 혁신 트렌드와 금융에의 시사점 | 윤만호 EY한영 회장 새창

     1. 펜데믹 이후의 기업경영 환경변화 ① Covid19 이후 달라지는 기업경영 환경  - 소비자의 주력 소비처가 집 밖에서 집 안으로 이동  - 온라인 활동 증가에 따른 소비자 빅데이터 활용 확산  - Value for Money 성향 확산에 따라 가성비 상품 및 PB 부상  - 기후 이슈 대응을 위한 탈탄소화 트렌드 확산  - 미·중 갈등 심화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체계 재편  - 비대면 상품/서비스 사업모델의 주류화 ② 코로나 장기화로 개인별 소득 또한 양극화 심화  - 펜데믹으로 가속화된 사회 경제적 양극화 현상으로 인해 사…

    윤만호 EY한영 회장(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