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지수”를 개발하여 3개월/1년 단위로 추이를 제시합니다.

2015년 4분기 국민안전지수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6년04월04일 20시07분

메타정보

  • 41

첨부파일

본문

 

작년 국민안전지수, 미약한 개선

범죄 등 사회 안전 개선됐는데도 자연재해 늘어난 탓 

장기적으로는 범죄율 감소 등 개선 추세 어가 

 

 

73709eb507aea0632c147fea7623dd66_1459767
 

1. 범죄나 자살, 또는 재해 및 식품안전 등의 국민생활안전 정도를 나타내는 국민안전지수가 2015년에 155.98(2003년=100.0)을 기록, 전년도(2014년) 153.90보다 2.08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3. 국민안전지수는 국민행복지수의 항목 중 ◈경제/사회 안정 및 안전 부문의 대항목에서 ▲사회안전, ▲자연재난/재해안전, ▲식품안전의 중항목을 발췌하여 산출한 것으로 국민안전을 위해서는 사회폭력 등의 사회 안전, 홍수, 태풍, 대설 등에 의한 자연재해안전, 불량식품 등 식품 안전 중요한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다. 

 

4. 장기적인 추세로 보면 사회 안전 및 안정지수는 개선추세를 어가고 있는데 범죄율은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증가하다가 그 후로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고 있으며. 혼율은 2009년의 일시적으로 높아졌다 개선추세로 돌아섰다. 자살률은 2006년의 단기간 개선을 제외하면 악화되는 추세를 보고 있는데 특히 2011년 후 급격한 증가를 나타냈다. 그러나 지난해 지수는 전년도와 같은 수치를 보였다. 자연재해와 재난은 2007년에 개선된 후 악화하고 있으며 식품안전은 2007년 일시적인 하락을 제외하고는 개선추세를 보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5. 국민안전지수를 시점별로 보면 노무현정부 때인 2006년 145.69까지 개선되다가 그 후 하락세로 돌아서 명박정부 2년차인 2009년 120.83까지 떨어졌고, 후 상승세로 전환, 명박정부 마지막해인 2012년 148.03까지 올랐다. 그리고 박근혜정부 출범 후 3년만인 2015년에 155.98로 소폭 상승했다.

 

6. 지난해 메르스 사태 등으로 국민생활에 상당한 고통 수반됐으나 전반적인 안전지수를 반전시킬 만큼의 영향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41
  • 기사입력 2016년04월04일 20시07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