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아름드리

경제구조의 변화에 따른 핀란드 경제의 장기침체와 구조개혁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6년03월15일 09시27분

작성자

메타정보

  • 43

첨부파일

본문

[요약]

- 핀란드 경제는 2012~15년 기간 중 마너스 성장을 기록했는데, 장기간의 경기침체가 지속되는 것은 경기침체의 원인 복합적며, 구조조정을 동반하고 있기 때문

 

· 인구 540만 명의 핀란드는 북유럽의 전형적인 복지국가로 국가경쟁력, 사업환경 지수 등에 있어 양호한 평가를 받아왔으나, 2012년 후 4년 연속 마너스 성장을 기록하면서 그리스를 제외한 유럽 국가 중 가장 장기간의 경기침체를 겪고 있음

 

· 핀란드 경기침체의 특징은 매년 마너스 성장의 폭 크지 않으며, 대외수출의 호조가 내수침체를 상쇄하는 남유럽 국가(그리스, 스페인 등)들의 경기침체와는 다른 양상을 보여 왔다는 점 

 

① 핀란드의 경기침체는 내수부진의 성격을 띤 남유럽과는 달리 수출경쟁력 약화와 같은 공급측 요인 더 우세하게 작용

 

· 핀란드는 다른 유럽 국가들에 비해 장기간 노동비용의 상승 지속되었는데, 현상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후에도 지속되었고, 특히 임금상승의 정도가 생산성 증가를 상회하면서 수출경쟁력 점차 약화

 

· 핀란드의 수출 감소한 데에는 2008년 전 세계 휴대폰 시장의 40%를 점유했던 노키아의 쇠퇴 등 전자통신 산업의 경쟁력 하락 결정적으로 작용

 

· 임금상승 및 통신장비 산업의 세계시장 점유율 하락은 탈제조업화와 같은 핀란드 경제의 구조변화와 병행하여 발생하였는데, 2000~14년 기간 중 핀란드는 OECD 회원국 중 탈제조업화 현상을 가장 심하게 겪었음

 

· 공급측 요인과 함께 2014년 후 발표된 EU의 대러시아 제재도 핀란드 수출산업에 불리하게 작용

 

② 핀란드 정부는 산업경쟁력 향상과 재정건전성 회복을 목표로 구조개혁을 추진

 

· 핀란드 정부는 임금상승을 억제하고 주요 산업의 구조조정을 추진하는 한편, 지출축소를 통한 재정건전화와 병행하여 사회복지 및 노동분야에서 광범위한 개혁을 추진

 

· 개혁의 필요성에 대한 정치권의 공감대가 형성된 점, 핀란드 내 노사정 대화의 전통은 구조개혁에 긍정적으로 작용

 

③ 구조개혁 진행 중임을 감안할 때 핀란드 경제는 2016~17년 중 불가피한 저성장 시기를 거칠 것으로 예상되나, 내수부진으로 인한 남유럽식 경기침체가 나타날 것으로 보지는 않음

 

· 핀란드의 경기침체는, 소규모 개방경제의 경우 대외경쟁력 유지가 중요하며, 경쟁력 유지를 위한 구조개혁은 호황기에 적극적으로 루어져야 함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

 

 

④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조조정은 가격경쟁력 측면과 비가격경쟁력 측면에서 뤄지고 있음

 

· [가격경쟁력] 핀란드 정부는 2015년 6월 22일 가격경쟁력 향상을 위한 임금 개혁안을 발표

 ※ 임금개혁안은 ① 일회성 인건비 삭감 ② 향후 수년간 임금상승 억제 ③ 임금협상의 유연성 제고를 통해 2019년까지 전체 임금의 5% 삭감을 목표하고 있음

 ※ 또한 정부는 추가적 임금상승 없 노동시간을 5% 연장하는 사회계약(social contract)을 제안

 

  ⇒ 정부의 개혁안 성공할 경우 가격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나 현재까지 노사대표(social partners)간의 협상 타결에 난항을 겪고 있는 상황

 ※ 합의가 지연되는 가운데 정부는 △연차휴가기간 축소 △공휴일의 무급연휴 전환 △질병수당 축소 △고용자의 사회보장비용 부담 축소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음

 

· [비가격경쟁력] 노키아의 하락으로 인한 IT 시장 점유율 감소와 글로벌 경쟁심화에 따른 제지 ‧ 목재 산업의 쇠퇴는 경제 전반에 걸친 산업구조 조정을 통한 경쟁력 강화를 요구

 ※ [전자 ‧IT 산업] 성장동력 회복을 위한 산업계 내의 구조조정 진행 중

 ※ [제지산업] 신흥시장을 상대로 고품질의 목재 수출 및 목재 부산물을 통한 생물연료에너지 개발 등 환경 친화적 신산업 전략 추진

 ※ [화학산업] 액화천연가스를 통한 친환경선박제조기술 등 선진화된 선박제조기술을 기반으로 조선업의 재활성화 추진

 ※ [신성장동력] 산업경쟁력 하락과 에 따른 수출부진을 해소하기 위해 혁신과 기업가 정신 제고를 통한 신성장동력 발굴 추진

138755fd06e41932de5ee64a2ea1dadd_1458001
 

[comment]

- 김시중 서강대교수는 ‘중국 경제발전 방식 전환의 진전도 평가’ (중소연구, 제39권 제4호, 2015/2016 겨울)에서 중국의 경제구조가 그들 추구하는 발전전략의 전환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 변화의 정도는 아직 미흡하고 속도는 기대보다 느리다는 것다. 성장률 하락 지속되면서 구조변화는 느리게 진행되고 있는 현 상황은 중국경제의 미래에 상당한 불확실성을 야기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

 

· 대내외 경제 여건 및 경제구조의 변화에 따라 중국의 경제발전 기본 전략의 수정 불가피해졌으며 중국의 지도부는 능동적으로 런 전략 수정을 시도

 

 ※ 수요 측면에서 총수요 구성의 변화 곧 투자와 수출의 비중 하락하는 반면 소비의 비중 상승하는 변화가 요구됨. 즉 투자와 수출 의존도를 낮추는 대신 가계 소비의 증가가 경제 전체의 성장을 견인하는 새로운 동력으로 등장해야 한다는 것임 

 

 ※ 공급 측면에서는 요소 투입 증가에 제약 나타나는 상황 곧 투자의 증가 속도가 하락하고 신규 노동력 공급의 제약과 임금 상승 뚜렷해지는 상황에서 경제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 총요소생산성(total factor productivity, TFP)의 상승 요구됨

 

  ⇒ 중국 추구하는 ‘경제발전 방식의 전환’은 산업구조 측면에서 제조업의 비중 축소와 서비스업의 비중 확대를 수반할 것으로 기대

  ⇒ 그동안 과도한 투자가 누적되면서 투자의 한계효율 하락해 왔는데 를 역전시킬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투자 재원 배분 특히 임금 상승을 감수하면서도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집약적 제조업의 성장을 필요로 함

  ⇒ 2009-2010년의 대규모 경기부양의 결과로 형성된 과잉 설비의 문제가 중국 제조업의 지속 성장에 큰 장애요소가 되면서 서비스화 현상 가속화되고 있음

 

 ※ 각 산업별 고용 비중에 대비한 GDP 비중으로 측정된 3차 산업의 노동생산성은 (2014년의 경우 48.2/40.6) 2차 산업의 노동생산성(2014년 42.6/29.9)에 비해 약 20% 낮다. 에 따라 상대적으로 노동생산성 높은 2차 산업에서 보다 낮은 3차 산업으로 고용 재배치되는 구조 변화는 경제성장률의 하락을 수반

 

 ※ 근년에 급속히 성장하는 산업들은 화웨(華爲), 샤오미(小米) 등 대표하는 ICT(정보통신기술) 산업, 대규모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단기간 내에 수출산업으로 떠오른 고속철도 산업, 창업 붐의 중심에 있는 모바일 인터넷산업, 정부 지원에 힘입어 세계 최대 규모로 성장한 태양광 및 풍력 등의 신에너지 산업 등인데, 들은 모두 임금 상승을 흡수할 수 있는 기술집약적 산업 혹은 자본집약적 산업들며, 즉 보다 정교한 분석 없도 중국 산업구조의 고도화의 진전을 확인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음 

138755fd06e41932de5ee64a2ea1dadd_1458001
138755fd06e41932de5ee64a2ea1dadd_1458001
 

- 주일한국기업연합회는 ‘최근 중국경제의 변화와 일본의 대응’(2015.9.6)에서 최근 중국은 세계경기 불황과 인건비 상승, 과잉투자, 동남아시아 · 인도 등 경쟁국 출현 등에 의한 경쟁심화, 과다한 지방정부 부채 등 국내외 문제가 겹친 경기부진 상황나, 일본기업은 중국의 경제규모와 성장성을 감안하여 계속 중요시장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도시화, 노령화, 고도화, 환경규제 등의 환경 변화를 기회로 보고 있음

 

· 2015년 5월 중국 국무원은 “메드 인 차나 2025”라는 새로운 제조업 진흥 정책을 발표 

 

138755fd06e41932de5ee64a2ea1dadd_1458001
 

※ 중국의 인터넷 산업의 국내 총생산(GDP) 비율은 2013년 4.4%에 달해 미국과 독일 등을 추월하고 온라인 산업 2013년에서 2025년 사에 중국경제 성장률을 0.3 ~ 1.0% 끌어 올릴 것으로 추정

 

· 일본 기업들은 현재 중국에서 추진 중인 13차 5개년 개혁 끝나는 2020년까지 년 6% 성장을 기대하고 있으며, 2020년에 1인당 GRDP(지역내총생산) 1만달러의 도시인구가 7~8억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

 

 ※ 거의 모든 일본기업들 중국의 사업환경에 대해 긍정적으로 전망하여 중국의 GDP성장률은 앞으로도 5-6%대의 성장을 계속할 것며, 시장확대, 소비 고도화, 환경규제가 엄격해질수록 시장진입 쉬워질 것라며 특히 구매력의 상승과 환경규제의 강화, 도시화로 인해 창출되는 사업기회에 기대가 컸음

 

 ※ 중국기업 경쟁력을 갖춤에 따라 공급과잉과 경쟁심화에 따른 가격하락을 우려하는 일본기업들도 있었는데, 러한 사업환경 악화에 대한 대응으로서 (1)본사파견 주재원을 축소하고 현지의 고용비중을 높며 (2)앞으로 3-5년후에도 익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시설자동화를 추진하고 (3) 높은 부가가치 상품으로 동함으로서 가격하락의 압력에서 벗어나는 등의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었음 

 

· 일본기업 인식하는 2020년을 향한 중국시장의 5대 과제

138755fd06e41932de5ee64a2ea1dadd_1458001
 

 ※ 사업기회의 적시 포착

  ⇒ 중국 소비시장은 규모도 크고 변화도 빨라(고성장에서 중속성장으로 동 중) 언제, 어디서, 무엇을, 누구를 대상으로 사업을 전개할 것인가를 항상 주시하고 있었음

 ※ 경쟁 상대와의 차별화

  ⇒ 글로벌 기업간 경쟁심화와 경쟁력을 갖춘 중국기업도 증가하고 있어 조사 기업들 중에는 2020년을 대비해 공급과잉과 경쟁심화로 인한 가격하락 압력의 회피 움직임 있었음

  ⇒ 예를 들어 기술 없으면 진입 어려운 의료기기나 개호기기 분야에 진출을 검토하고 있거나 차별화 된 애프터서비스(1년 내에 고장시 신품으로 교환) 등의 차별화 전략을 모색하고 있었음

 ※ 잠재수요의 발굴

  ⇒ 현재 판매중인 상품나 서비스 시장에 뛰어들 경우 다양한 소비자의 니즈를 맞출 수 없다는 인식하에 일본기업들은 소비자 생활 습관을 정확히 파악하여 새로운 라프 스타일을 시장에 제안하거나, 새롭고 즐거운 분위기의 백화점 연출 등을 통한 잠재수요 발굴 노력을 하고 있음

 ※ 현지화 및 리스크 관리

  ⇒ 제조업, 비제조업 모두 시장의 니즈를 파악하고 빨리 대응하기 위해서는 경영을 현지로 양해야 한다는 인식 형성되어 있음

  ⇒ 경영의 현지화는 경영자 방임과 부정 발생의 리스크가 있어 사업수행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본사나 외부기관에 의한 감사실시 등 정기적 모니터링 중요하다고 인식 

 

- KOTRA는 ‘중국 시장 및 한중 교역구조 변화와 대응방안’(2016.2)에서 위안화 변동과 관련하여 적정 수준의 환율 유지, 환 변동 보험 확대 등 환율 불안정성에 대비하고, 중국의 수출입 및 우리의 대중국 수출입 둔화에 대응하여 투 트랙 전략 모색 및 신규(정책) 수요 맞춤형 전략 강구가 필요성 강조

 

· 위안화 변동에 따른 불안정성에 대비하는 가운데 적정 수준의 환율 방어 강구

 

 ※ 적정 수준의 원화 환율 방어 강구

 ※ 환 변동 보험 강화 등 환율 불안정성에 대비

 ※ 환율 변동에 따른 국가 간 생산비용 변동을 감안한 공급망(supply-chain) 조정강구

  ⇒ 중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생산비용 변화를 고려한 생산 및 공급망 재배치

 

· 수출입 투 트랙 강화 및 신규 및 정책 수요 맞춤 전략 강구

 

 ※ 가공무역 수출의 고부가가치화 및 밸류체인(공급망) 조정

 ※ 소비재 수출 확대 및 제고를 위한 한중 FTA 활용 강화, 전자상거래 활용 확대

 ※ 중국의 신규 및 정책수요 시장 (‘중국제조 2025’, ‘일대일로’, ‘신형도시화’ 관련 시장 등) 수출 확대

 

· 대중국 무역구조 변화에 따른 대응 방안

 

 ※ 가공단계별 구조 변화의 방향은 반제품 및 자본재 중심구조에서 부품·부분품 및 소비재 중심구조로의 변화하고 있는데, 는 한중 무역에서 국제분업(밸류체인)과 최종 소비재가 더욱 중요해 짐을 의미하며 러한 변화를 감안한 제품 개발과 디자인, 그리고 브랜드 제고와 유통망 구축 중요해 질 것임

 

 ※ 업종별 변화의 방향은 석유화학 및 관련 제품의 비중 감소와 전기전자 및 각종 소비재의 비중 확대인데, 한중 무역에서 20% 가량을 차지하는 주력 석유제품 및 석유화학의 대중국 수출 둔화에 대비한 신제품 개발 및 고부가가치화 노력 중요

  ⇒ 전기전자 및 소비재 비중 확대 추세를 감안하여 기술개발은 물론 디자인 및 브랜드 개발, 유통망 강화와 연관 분야 개발 (전자상거래, ICT 기반 인프라 및 소프트웨어 등) 중요

 

 ※ 가공무역은 앞으로도 한중간 수출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 나갈것임을 감안하여 관련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가공무역 방식을 다양화 하는 동시에 다국 간 가공무역으로 확대하고, 한국-중국-제3국(베트남 등)을 포괄하는 가공생산(밸류체인)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

 ※ 한중 FTA는 미국, 일본, 대만, 독일 등 우리의 대중 진출 경쟁국 누릴 수 없는 우리만의 기회므로, 다양한 활용전략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활용 

 

138755fd06e41932de5ee64a2ea1dadd_1458001
138755fd06e41932de5ee64a2ea1dadd_1458001
138755fd06e41932de5ee64a2ea1dadd_1458001
 

- 포스코경영연구원은 ‘일본의 超엔저와 중국의 低성장에 따른 한국 철강산업 위기론의 실체와 대응’(2016.2.25)에서 한중일 3국의 제품과 시장 중복은 더욱 심화될 것므로 기술 기반의 High-end 경쟁력과 원가 기반의 Low-end 경쟁력을 동시에 제고하는 Hybrid 전략 수립 및 추진 필수적라는 의견 제시

 

· 일본의 超엔저와 중국의 低성장으로 동북아 철강 경쟁강도가 심화되고, 철강 및 철강 수요산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한국 철강산업 위기론 대두

 

 ※ 일본의 超엔저는 높은 수출 경합도를 가진 한국의 산업별 글로벌 경쟁에 매우 불리한 요인으로 산업별 영향 서서히 가시화되고 있으며, 중국의 低성장 전환에 따른 철강 수요 둔화로 저가재의 대규모 수출 공세가 지속

 

· 철강산업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 심각한 수준며 철강 수요산업을 통한 간접적 영향까지 더해져 국내 철강 생태계 약화 예상

 

 ※ 엔저 지속에도 불구, ’14년까지는 일본 철강재 수출의 급격한 증가세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16년 후 일본 밀들의 수익성 하락으로 향후 적극적인 수출 공세가 전개될 가능성 높아지고 있으며, 중국의 철강 경기 침체는 철강 구조조정 안정화 목표시점인 ’18년 후에나 다소 완화 전망

 

· 단기적으로 중국의 低성장 영향, 중기적으로 일본의 超엔저 영향으로 인해 국내 철강 수요산업의 생산 축소가 예상되며, 에 따라 국내 철강 수요는 ’18년까지 500만 톤(10%) 수준 감소 가능성

 

 ※ 일본의 超엔저 영향 지속될 경우 조선의 영향 가장 크고, 가전/기계 순으로 생산 감소가 예상되나 건설/자동차/조립금속의 영향은 크지 않을 전망

 

 ※ 중국의 低성장에 따라 중국향 수출 감소 및 중국산 수입 증가로 국내 수요산업의 생산 감소가 전망되며, 산업별로는 조립금속, 기계, 가전, 조선, 자동차 순으로 영향 예상됨

 

 ※ 단기적으로 중국의 低성장 영향 크고, 중기적으로는 일본의 超엔저 영향 국내 철강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됨

 

· 한국 철강산업 당면한 위기는 구조적 전환기에 나타난 현상으로 정부와 기업의 역할 분담을 통해 체계적인 대응 추진 필요 

 

 ※ 정부의 철강산업 구조조정 구상은 금융 공기업의 단기적 성과 보다 중장기적 산업 경쟁력을 우선시하는 의사결정 필요 

 

138755fd06e41932de5ee64a2ea1dadd_1458001
138755fd06e41932de5ee64a2ea1dadd_1458001
138755fd06e41932de5ee64a2ea1dadd_1458001
 

- 금속노조 노동연구원은 ‘2016년 자동차산업 동향’(2016.2.29)에서 글로벌 업체들은 환율 리스크 최소화 및 성장 차급 공략 강화를 위해 생산입지 전략을 추구하고 있으며, 에 따라 국내 자본은 국내업체의 가격 경쟁력 약화를 유로, 외자기업은 국내공장의 존속의 필요성을 알려야 한다는 유로 모두가 다 생산성과 효율 극대화를 강조하고 있어, 기술변화와 경쟁에 따른 일방적 생산협조가 아닌 자동차산업의 변화를 노동조합 앞서 나가는 지혜가 필요하다는 의견 제시

 

· 2016년 세계 자동차산업은 2015년에 어 완만한 회복세를 어갈 전망

 

 ※ 2015년 세계 자동차산업의 흐름의 특징은 선진시장 회복세가 나타난 반면 신흥시장의 부진 크게 나타났는데, 글로벌 경제위기 후 구조변화를 겪으면서 자동차산업의 중심축 선진시장에서 중국을 중심으로 한 신흥시장 중심으로 바뀐 가운데 신흥시장의 침체는 결과적으로 세계 자동차산업의 저성장을 결과하고 있음

 ※ 2016년 세계 자동차시장은 지속 성장은 유지 하겠으나 성장률은 2% 대에 그칠 전망

 

· 유럽 업체들을 중심으로 했던 클린디젤을 통한 발전전망 무력화됨과 동시에 각국의 디젤차량 억제정책으로 디젤차 비중 축소될 것으로 전망되며, 따라서 그에 대한 대안으로 자연스럽게 친환경차 전략 강화되어 친환경차시장의 성장 가속화 될 전망

 

 ※ CO2 규제 강화를 위해 유럽의 나라별 CO2 연동 세제 도입 확대 및 강화로 PHEV/EV 판매에 유리한 여건 조성되어 있는 가운데, 최근 지원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여론 확산

 ※ 자동차의 상용화는 기존의 가솔린·디젤차량(ICE)에서 하브리드차(HEV), 플러그인 하브리드차(PHEV), 전기차(EV), 연료전지차(FCEV) 순서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수요 또한 에 상응하여 발전할 것으로 예상

 

· 2016년 국내 시장 판매는 감소세로 전환할 것으로 전망되며, 176만 대를 판매 할 것으로 전망되며, 경우 국내시장 판매는 3년 만에 감소세로 전환

 

 ※ 현대기아차그룹은‘도약 2021 비전’을 통해‘신사옥, 고급차, 친환경차 등 3대 축을 제시

 ※ 한국지엠은 경쟁력 확보 및 지속가능경영 위한 미래 청사진‘GMK 20XX’을 발표한 바 있는데, 주요 내용은 향후 5년간 약 8조원의 투자와 6개의 차세대 글로벌 차량 및 파워트레인을 한국에서 생산할 계획라는 것었으나 그 진척도는 제대로 행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

 ※ 쌍용차는 2014년부터는 중장기 경영목표인 ‘Promise 2016’을 설정하였는데, ‘Promise 2016’은 글로벌 판매 30만대, 매출 6조원 달성 등 총 7가지의 전략과제로 구성

 

· 자동차산업의 기술혁신의 변화는 가파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종산업의 결합과 친환경차의 증대는 시간 문제일 뿐임.제 노동조합은 자동차산업의 변화추를 냉정히 확인하되 를 민주적 생산질서를 만드는 것과 작업장의 건강한 생산체계와 연결시키려는 고민 진행되어야 함 

 

138755fd06e41932de5ee64a2ea1dadd_1458001
138755fd06e41932de5ee64a2ea1dadd_1458001
138755fd06e41932de5ee64a2ea1dadd_1458001
 

43
  • 기사입력 2016년03월15일 09시27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